• 제목/요약/키워드: 2D-SDS-PAGE

검색결과 225건 처리시간 0.029초

배양세포주(MDBK cell)내에 caffeine, 철분 및 vitamin E 혼합처리시 배양시간 경과에 따른 지질과 단백질 구성성분의 변화 (Changes of the lipid and protein components according to the time lapsed after combined treatment of caffeine, iron and vitamin E in MDBK cells)

  • 도재철;허린수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809-819
    • /
    • 1996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effects of caffeine or combinations of caffeine and iron or vitamin E on the lipid and protein components in the MDBK(Mardin-Darby Bovine Kidney) cells. For the In vitro test, MDBK cells in ${\alpha}$-MEM(Minimum Essential Medium) were divided into 4 treatment groups according to drug types and dosages as follows; the control(group A), group B was treated with 0.3mM caffeine, group C was treated with 0.3mM caffeine and 0.3mM ferric chloride, group D was treated with 0.3mM caffeine and 0.3mM vitamin E. Those groups were further divided into 5 subgroups according to the time lapsed(control, 4hrs, 8hrs, 24hrs and 48hrs lapsed group). The concentrations of the carbonyl group and malondialdehyde(MDA) and the patterns of the SDS-PAGE(Sodium Dodecyl Sulfate-Poly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 and fatty acid compositions were analyzed to determine the oxidative damages and metabolic changes on the lipid and protein components in the MDBK cells. The results obtained from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concentrations of carbonyl group and malondialdehyde in MDBK cells of group C were significantly higher(p<0.01) in comparison to the control, and increased according to the time lapsed. But the results of groups B and D were little different in comparison to the group C. 2. As the analytical results of fatty acid compositions in MDBK cells, the proportions of palmitoleic acid and linoleic acid in groups B, C and D were lower in comparison to the control, while the proportion of arachidonic acid in groups B, C and D were significantly higher(p<0.01) in comparison to the control. 3. In order to determine the oxidative damages to the protein in MDBK cells, the patterns of the SDS-PAGE were examined and the patterns of SDS-PAGE in groups C and D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43kd and 200kd of molecular weight.

  • PDF

곡물류의 형질전환 유도에 관한 연구 (IV) 벼 배발생 세포의 생화학적 특징 (Studies on the Transformation of Crop Plants. IV. Biochemical Characteristics of Embryogenic Callus in Rice)

  • 정병균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36권4호
    • /
    • pp.377-382
    • /
    • 1993
  • 벼(Oryza sativa L.) 캘러스는 2.0 mg/L 2,4-D와 0.5 mg/L kinetin이 첨가된 MS 배지에서 성숙종자로부터 유도되었으며 embryogenic callus(EC)와 nonembryogenic callus(NEC)는 색깔과 외부형태에 의해 경시적으로 선별되었다. EC와 NEC의 전체 단백질로부터 SDS-PAGE와 등전점 전기영동에 의한 전기영동적 분석은 EC와 NEC의 각각에 대해 특이적, 양적인 차이를 보여주었다. 또한 EC와 NEC의 2차원 전기영동 분석은 약 20여개 이상의 EC 특이단백질과 10여개의 NEC 특이 단백질 양상을 보여주었으며, 아울러 EC 특이적인 90, 65, 50 kD의 단백질은 microheterogeneity를 보여주는 반면, NEC에서는 분자량의 변이가 큰 일련의 산성 이질단백질군을 보여주었다.

  • PDF

잠란의 휴면특이 peptides 검출을 위한 2D-전기 영동 분석

  • 고현정;김현수;김영태;강석우;황재삼;성수일
    • 한국잠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잠사학회 2003년도 제46회 춘계 학술연구 발표회
    • /
    • pp.43-43
    • /
    • 2003
  • 잠란의 휴면 개시, 유지 및 각성 등에 따른 단백질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2D-전기영동에 의한 peptides 분석을 하였다. 잠품종은 백옥잠을 사용하였으며, 단백질 분석은 산란 후 5일 경과란(휴면란), 산란 후 20시간에 침산하여 1일 및 2일 경과란, 및 산란 후 2일 경과 후 냉장(5$^{\circ}C$)처리하여 1일, 3일, 5일된 잠란을 각각 대상으로 하였다. 2D-전기영동은 1차로 pH3-10 range에서 isoelectric focusing 하고 2차로 SDS-PAGE한 후 silve stainin으로 peptides를 검출하였다. (중략)

  • PDF

전기영동법(電氣泳動法)에 의(依)한 대두(大豆) 근류균(根瘤菌) Rhizobium fredii와 Bradyrhizobium japonicum의 분류(分類) 및 동정(同定) (Identification of Rhizobium fredii and Bradyrhizobium japonicum by Poly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

  • 윤한대;조무제;이계호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0권2호
    • /
    • pp.163-168
    • /
    • 1987
  • 전보에서 보고한 Bradyrhizobium japonicum 9 균주와 Rhizobium fredii 7 균주의 균체 중의 단백질 Pattern의 차이를 일차원 및 이차원 전기영동법에 의하여 조사하였다. 일차원 전기영동법 (SDS-PAGE)에 의해서는 두 group의 균체에서 모두 52개의 band가 관찰되었고 그 중 6개의 main band 로써 group 간의 차이가 확인되었으며, 이차원 전기영동법(2D-PAGE)에 의한 두 group간에 단백질 구성은 Rhizobium fredii 에서는 단백질이 산성 쪽에, Bradyrhizobium japonicum 는 alkali성 쪽에 비교적 많이 분포되어 있었다. 또한 두 group 간의 균체 아미노산 조성을 조사한 결과 조선상의 뚜렷한 차이가 없었다. 분리된 근류균을 확인하는데 전기영동법이 유용하였으며, 일차원 전기영동법은 많은 균주를 신속하게 확인할 수 있었고 이차원 전기영동법은 해상력 및 분리된 단백질 spot를 분석하는데 용이하였다.

  • PDF

제초제 Thiobencarb 처리에 의한 수도품종간 단백질 유형의 변화 (Protein Patterns of Rice(Oryza sativa L.) Cultivars as Affected by Herbicide Thiobencarb)

  • 김학윤;김길웅;신동현;김건우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354-361
    • /
    • 1996
  • Thiobencarb 처리에 의한 수도품종의 내성 정도를 조사하고 내성 메카니즘을 연구하기 위하여 내성 및 감수성 품종간의 단백질 함량, SDS-PAGE에 의한 단백질 유형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본 시험에 공시한 5개 품종 중 IR 10198-66-2와 IR 9660-50-3-1은 온실 및 실내실험에서 공히 thiobencarb에 대하여 내성을 보였으며 IR 22, IR 31802-48-2-2, IR 20656-R-R-R-6-1은 제초제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생장이 크게 억제되어 감수성을 나타내었다. Thiobencarb 처리에 의한 단백질의 함량은 내성 및 감수성 품종간에 뚜렷한 차이를 보였는데 감수성 품종의 단백질 함량은 제초제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크게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내성품종의 경우 감소가 거의 없었다. SDS-PAGE에 의한 단백질 밴드는 내성 품종의 경우 5ppm 처리에서도 변화가 없었으나 감수성 품종은 5ppm 처리에서 94-30 kD 사이와 14.4kD 부근의 단백질 밴드가 사라지는 경향을 보였다. Thiobencarb 3ppm을 처리한 감수성 품종인 IR 22의 2차원 전기영동에 의한 단백질 패턴에서는 14.4kD와 55kD 부근의 spot가 사라지거나 density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상의 단백질 함량과 유형의 변화로 미루어 보아 thiobencarb 처리는 감수성 품종의 특정 단백질 합성을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벼의 thiobencarb에 대한 내성은 이 부위의 단백질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연쇄 구균의 세포벽 단백질이 L929 세포의 DNA합성에 미치는 영향 및 SDS-PAGE 양상에 관한 연구 (THE EFFECTS OF CELL WALL PROTEINS OF STREPTOCOCCUS SPP. ON DNA SYNTHESIS OF L929 CELLS AND THEIR SDS-PAGE PATTERNS)

  • 이세종;임미경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20권1호
    • /
    • pp.71-95
    • /
    • 1995
  • Bacteria have been regarded as a one of major etiologic factors in root canal infections. In endodontic treatment the effective removal of pathogenic microorganisms in the root canal is the key to successful outcome. Bacterial cell wall components may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development of pulpal and periapical disea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 of sonic extracts of Streptococcus spp. on cultured L929 cells and to characterize cell wall protein profiles of Streptococcus spp. Streptococcus spp. were isolated from infected root canals and identified with Vitek Systems(Biomeriux, USA). Five streptococci, namely S. sanguis, S. mitis, S uberis, S. mutans (ATCC 10449) and S. faecalis (ATCC 19433) weere enriched in brain heart infusion broth. Cell pellets were sonicated and cell wall extracts were dialyzed and membrane filtered. Prepared cell wall proteins were applied to cultured L929 cell. The cell reaction were evaluated by monitoring DNA synthesis, cell numbers and the change of cell morphology. The total cell wall protein profiles of microorganisms were characterized by sodium dodecyl sulfate polyacrylamide-gel eledruphoresis(SDS-PAGE). DNA synthesis of L929 cells were reduced by the increasing concentration of sonic extracts. DNA synthesis was significantly suppressed in more than $50{\mu}g$/ml of sonic extract conentration in five streptococci. S. nutans (ATCC 10449) showed stronger suppression on DNA synthesis than remaining four streptococci, which had the similar effect on DNA synthesis. Analysis of DNA synthesis measured by [$^3H$]-thymidine uptake was more sensitvie method than cell counting. Sonic extracts affected the microscopic findings of L929 cells. The protein profiles indicated that all five strains shared two major proteins with molecular masses of 70.8 and 57.5 kD respectively. S. uberis and S. mutans shared common minor proteins of which molecular weights were 147.9 and 112.2 kD respectively. However some minor proteins were unique for S. mitis, S. uberis and S. faecalis.

  • PDF

Alachlor의 제초기구(除草機構)에 관한 연구(硏究) - II. Alachlor가 귀리의 Peroxidase합성(合成)에 미치는 영향(影響) (A Study of Mode of Action of Alachlor - II. Effect of Alachlor on Peroxidase Synthesis in Oat(Avena sativa L.))

  • 권성환;김재철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233-239
    • /
    • 1990
  • Alachlor를 귀리(Avena sativa L.)의 뿌리에 처리시(處理時) peroxidase의 변화(變化)에 대해서 조사(調査)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Alachlor 처리구(處理區)는 무처리구(無處理區)에 비해서 $10^{-6}M$에서 0.20 unit, $10^{-3}M$은 0.27 unit로, 농도(濃度)가 높을수록 peroxidase의 합성량(合成量)이 증가(增加)되었다. 2. Peroxide를 직접 귀리의 뿌리에 12시간(時間) 처리시(處理時), 65mM에서 16%, 130mM에서 59%의 뿌리 생장(生長) 억제(抑制)되었다. 3. 귀리의 근단(根端) 분열(分裂) 조직(組織)은 4개의 동위(同位) peroxidase로 분리(分離)되는데, alachlor 처리시에는 특히 $P_1$, $P_6$$P_7$의 isoperoxidaserk 생성(生成)되었으며, SDS-PAGE에서 귀리의 근단(根端) 조직(組織)은 100kD 이하의 단백질(蛋白質)로 구성(構成)되어 있다.

  • PDF

An Evaluation of Changes in the Allergenicity of Kochujang upon Preparation Using Aloe Extract

  • Son, Bo-Kyung;Huh, Yoon-Ee;Kim, Jung-Yun;Noh, Geon-Woong;Lee, Sang-Sun
    • Nutritional Sciences
    • /
    • 제9권4호
    • /
    • pp.317-322
    • /
    • 2006
  • Soybeans are well-known as allergenic foods. Koreans consume large amounts of soybean foods, such as kochujang, which have gone through the fermentation process. To lower the allergenicity of these foods, we prepared hypo allergenic kochujang with aloe extract (AK). A sensory evaluation was conducted along with a clinical evaluation that used a double-blind, placebo-controlled food challenge (DBPCFC) test These tests were designed to evaluate the acceptability of the fermented foods. In comparison to normal kochujang (NK), AK elicited a higher sensory test score, and the rate of positive reactions in atopic dermatitis patients during the DBPCFC test was reduced. Methods of protein extraction, protein quantitation with sodium dodecyl sulphate poly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 (SDS-PAGE), and protein identification using two-dimensional (2D) gel electrophoresis were performed for both NK and AK to compare the functional factors. We found a reduction in the levels of high molecular proteins even though the bands of the proteins had not entirely disappeared, indicating that the boiling and fermentation process changed the soybean protein patterns. The rate of the reduction of high molecular proteins was more effective in the AK. In conclusion, AK can be recognized as a food with hypoallergenic effect.

인삼 Light Harvesting Chlorophyll Protein의 특성 및 엽소병에서 Singlet Oxygen($^1O_2$) Quenching (Characteristics of Light Harvesting Chlorophyll-Protein Complex and Singlet Oxygen ($^1O_2$) Quenching in Leaf-burning Disease from Panax ginseng C. A. Meyer)

  • 양덕조;이성택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13권2호
    • /
    • pp.158-164
    • /
    • 1989
  • 인삼엽소병(leaf-burning disease) 원인과 light-harvesting chlorophyll-protein(LHCP) complex의 solar energy 분배능력과의 상호 연관성을 조사하기 위한 기초 연구로써 인삼 thylakoid의 chlorophyll-protein(CP) complex의 조성 및 특징을 조사하였다. 인삼의 CP-complex는 non-denaturing SDS-PAGE 방법에 의해 4개 bands로 분리되었으며 각 band는 Bassi와 Dunahay의 결과에 따라 CPI(PSI의 reaction center와 LHCP I antennae), CP I(PSI reaction center), LHCP II(LHCP II)의 oligoform), 그리고 LHCP II(PS II antennae; CP29, CP26)로 확인되었다. 인삼의 LHCP II 는 양지식물인 spinach, soybean과 비교해 볼 때 오히려 인삼의 band intensity가 더 높았으며, CP I band는 인삼에서만 분리되었다. 인삼 CP-complex band의 absorption 및 fluorescence spectra, chlorophyll a.b ratio 에서도 비교식물과 차이를 나타내었다. Thylakoid membrane의 polypeptide 함량은 인삼에서 비교식물에 비해 현저히 낮은 polypeptide 함량은을 나타내었다. SDS-PAGE에 의한 polypeptide pattern은 band의 수나 band intensity에서 비교식물과 차이를 나타내었으며, 특히 29-35 kD, 55 kD과 60 kD 근치에서 현저한 band intensity 차이를 확인하였다. Specific $^1O_2$에 의해 chl. a가 60%, chl.b는 90%, 그리고 carotenoid는 70%가 파괴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PDF

약용식물 추출액이 우산이끼 자가관양배양세포의 생존율, 엽록소함량 및 광합성전자전달 활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everal Medicinal Plants Extract on Survival Rate, Chlorophyll Contents and Photosynthetic Electron Transport Activity of Liverwort Photoautotrophic Cultured Cell)

  • 정형진;권순태;김시무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133-141
    • /
    • 1995
  • 약용 식물의 추출액이 자가영양배양세포의 광합성전자전달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9종의 약용식물 추출액으로부터 종자발아, PA세포의 엽록소 억제정도, DCIP의 환원율, 세포 생존율, 광계 I의 전자전달활성, 단백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식물의 추출액을 농도별로 처리하였을 때 10% 처리시 전 식물체에서 상추의 발아억제 현상을 나타내었고, 특히 백두옹과 초오 추출물 10% 처리시는 100% 억제를 나타내었다. 2. 백두옹의 증류수 및 MeOH 추출액을 PA세포에 처리한 경우 엽록소의 생성을 100% 억제 하 였다. 이는 광합성 전자전달 저해제로 알려진 DCMU 10-3M 처리와 동일한 억제 효과였다. 3. PA세포에 추출물 처리시 백두옹이 힐반응 억제가 가장 컸으며, 세포 생존력은 가장 낮았다. 4. 광합성 산소발생은 반하, 독활, 백두옹, 만형자 추출액 처리시 14-77% 억제되었고, 특히 PA 세포 2ml 반응액에 백두옹 추출물 60rl 처리시 50% 산소발생 억제를 나타내었다. 5. 추출액을 PA 세포에 처리한 후 단백질을 추출하여 SDS-PAGE를 이용하여 조사한 결과 대조구에 비하여 백두옹 추출물 10% 처리에서 14KD, 31KD, 41KD, 53KD, 73KD의 밴드가 나타나지 않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