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2D survey

검색결과 1,848건 처리시간 0.03초

동해 가스하이드레이트 탐사에 적용한 지구물리탐사 방법 (Geophysical Methods applied for Gas Hydrate Exploration in the East Sea)

  • 이호영;박근필;유동근;구남형;김원식;김병엽;강동효;김한준
    • 한국지구물리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구물리탐사학회 2007년도 특별 심포지엄 논문집
    • /
    • pp.53-62
    • /
    • 2007
  • Preliminary gas hydrate surveys were carried out From 2000 to 2004 in the East Sea. Research results showed the geophysical evidence of gas hydrate existence. In 2005, Gas Hydrate R&D Organization was established and 10 year gas hydrate development program was initiated. In the $1^{st}$ stage of the program from 2005 to 2007, 6,600 L-km 2-D seismic survey was conducted in the $1^{st}$ year 2005, and $400\;km^2$ 3D survey was conducted in the $2^{nd}$ year 2006. Acquired seismic data were processed and seismic section and 3D cube were produced. By geophysical interpretation and velocity analysis, prospective areas were mapped and candidate drilling sites were recommended. For the precise interpretation, velocity was analyzed using AVO method, and BSR signal was analyzed using deconvolution method. For the prospective area, OBS and high-resolution seismic surveys were conducted. This presentation shows the introduction and examples of the research results of the geophysical methods applied for the gas hydrate exploration in the East Sea.

  • PDF

드론을 활용한 지하시설물측량 및 3D 시각화 (Underground Facility Survey and 3D Visualization Using Drones)

  • 김민수;안효원;최재훈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1-14
    • /
    • 2022
  • 굴착 현장에서 신속·정확·안전한 측량을 위해 본 연구에서는 드론을 이용한 지하 시설물 측량의 적용 가능성 및 3D 시각화의 기대효과를 다음과 같이 도출하였다. Phantom4 Pro 20MP의 드론으로 30m의 비행 고도, 중복도 85%의 비행계획으로 0.85mm의 GSD (Ground Sampling Distance)값을 확보하였고, GCP (Groud Control Point)4점과 검사점 2점을 계산하여 기준점에 대하여 7.3mm, 검사점은 11mm의 성과를 취득할 수 있었다. 저가의 드론으로 측량할 경우 GCP의 중요성이 확인되었으며, 지상 기준점이 없는 경우, X값의 오차 범위는 -81.2cm에서 +90.0cm, Y값의 오차 범위는 +6.8cm에서 155.9 cm 값을 도출하였다. Pix4D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포인트 클라우드 데이터를 분류하였다. 지하 시설물 데이터와 도로 포장면의 데이터를 분류하고, 중첩과정을 통해 실제 모형의 도로와 지하 시설물의 데이터를 3D 시각화하였다. 중첩된 포인트 클라우드 데이터는 Open Source 프로그램인 CloudCompare를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장소의 위치와 심도 정보를 확인할 수 있게 되었다. 본 연구결과로 지하 시설물 측량의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자리매김하게 될 것이다.

산란계 사료 내 비타민 D3 첨가에 따른 난각품질과 계란내 비타민D3 함량에 관한 농장조사 (Farm Survey on Eggshell Quality and Egg Vitamin D3 Contents in Laying Hens Fed Vitamin D3-enriched Diets)

  • 조동해;권병연;김다혜;이경우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50권2호
    • /
    • pp.73-80
    • /
    • 2023
  • 비타민 D3는 난각 형성에 필요한 칼슘의 흡수와 대사에 필수적일 뿐 아니라 칼슘과 인의 대사를 조절하여 뼈 건강에 필수적인 요소이며 건강한 면역체계를 유지하는 영양소이다. 계란과 관련된 비타민 D3에 관한 연구는 많이 이루어져 왔으나 산란계 농장에서 수행한 연구는 보고된 바가 거의 없다. 본 연구는 비타민 D3 강화계란을 생산하는 산란계 농가에서 생산되는 계란의 난각 품질과 계란 내 비타민 D3 함량을 분석하고자 농가 조사를 수행하였다. 산란계 4개 농가를 선정하여 16,500 IU 및 29,000 IU 함유한 사료 급여 전과 후에 계란을 수거하여 난각 품질과 계란내 비타민 D3 함량을 측정하였다. 분석 결과 비타민 D3 첨가는 난각두께를 개선하는 효과는 있었으나, 난각색과 난각강도에는 미치는 영향은 미미하였다. 산란계 사료내 비타민 D3를 첨가하면 계란 내 비타민 D3 함량이 증가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결과적으로 산란계 농가에서 사료 내비타민 D3를 추가로 공급한다면 난각 품질의 개선과 비타민 D3 강화계란을 생산할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향후 더 많은 산란계 농가에서 사료와 계란 내 비타민 D3 함량에 대한 추가 조사를 진행한다면 계란 내 비타민 D3 함량을 추정할 수 있는 회귀식을 도출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었다.

새만금 신간척지 식생과 토양화학성의 변화 (Change of Vegetation Characteristics and Soil Chemical Properties at Saemangeum Reclaimed Land in Korea)

  • 김선;정재혁;이장희;최원영;이경보;임일빈
    • Weed & Turfgrass Science
    • /
    • 제2권3호
    • /
    • pp.260-266
    • /
    • 2013
  • 본 시험은 간척 후 나타나는 식생과 토양의 변화를 조사하기 위하여 2008년 체절 된 새만금 간척지에서 식생의 발생이 시작된 2010부터 2012년 사이에 식생과 기반 토양의 특성을 조사한 결과이다. 조사위치별 토양염농도는 첫 조사시 담수호 인근에서 22.3 dS $m^{-1}$이었고 안쪽 내륙 인접부는 3.44 dS $m^{-1}$ 이하였으나 3년 후에는 전체가 4.22 dS $m^{-1}$ 이하로 낮아졌다. 토양유기물함량은 3년차 조사에서 약간씩 증가하는 경향이었고, 위치에 따른 유기물함량은 육지쪽에 인접하고 갈대 등의 식생발생량이 많았던 지점에서 높았으며, 토양 pH는 전체적으로 감소되는 경향을 나타냈다. 식생군락의 변화 중 식생종수는 조사 첫해 지점당 평균 7.1종 $m^{-2}$ 이었으나 3년 후에는 10.6종 $m^{-2}$으로 증가하였고, 식생종수는 염생식물과 내염성식물이 혼생된 중간정도의 염농도를 나타낸 군락에서 많았다. 식생 수는 대부분의 조사지점에서 증가하였고, 조사지점별로는 해홍나물이 밀생한 solt pan(솔트팬) 특성을 나타내고 있는 지점에서 많았고, 식생유입 초기인 해수면 인근과 갈대 및 갈대와 자귀풀의 우점도가 높은 군락에서 적었다. 군락 건물중은 첫 조사시 식생량이 적었던 해변쪽에서 증가하였고, 갈대의 우점도가 높았을 때 최대치를 나타냈다. 주요식생의 우점도는 토양염농도 감소의 영향을 받아 해홍나물, 퉁퉁마디, 갯꾸러미풀, 잔디는 크게 감소하였고 산조풀과 갈대는 증가하였다.

Effects of calcium intake, milk and dairy product intake, and blood vitamin D level on osteoporosis risk in Korean adults: analysis of the 2008 and 2009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 Hong, Heeok;Kim, Eun-Kyung;Lee, Jung-Sug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7권5호
    • /
    • pp.409-417
    • /
    • 2013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effects of dietary calcium (Ca) intake, milk and dairy product intake, and serum vitamin D level on bone mineral density. The survey data from the 2008-2009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for adults (3,819 males, 5,625 females) aged > 20 years were examined; osteoporosis was defined according to the standards for Asian populations (T-score < -2.5). The risk for osteoporosis significantly decreased as Ca intake increased; this effect persisted (quartile 4 vs. quartile 1 of Ca intake: odds ratio [OR] 0.66; 95% confidence interval [CI]: 0.50-0.87) even after adjustment for gender, age, and other factors (body mass index, serum vitamin D, menstruation, female hormone intake, menopausal status, and the number of days per week of muscular strength exercise). Additionally, the risk for osteoporosis significantly decreased as the Ca/P ratio increased (quartile 4 vs. quartile 1: OR 0.76; 95% CI: 0.58-0.98). The degree of risk was 0.96 (0.66-1.38) in those who consumed < 1 portion of milk or dairy products daily, and 0.71 (0.53-0.96) in those who consumed > 1 portion per day, compared with those who had zero intake. The risk for osteoporosis significantly decreased as the serum 25(OH) vitamin D level increased. From these results, we advocate an increase in Ca, milk, and dairy product intake, and that serum 25(OH) vitamin D levels be maintained within the normal range, for the maintenance of bone health and the prevention of osteoporosis in adults.

자력자료를 이용한 몽골 우기누르 철-망간 분포 특성 (Distribution of Fe-Mn Ore in Ugii Nuur, Mongolia Using Magnetic Data)

  • 박계순;이범한;김인준;허철호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35권6호
    • /
    • pp.422-428
    • /
    • 2014
  • 한국지질자원연구원은 몽골 광물자원청과 공동으로 우기누르 철-망간 광화대에 대한 공동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의 일환으로 수행된 육상 자력탐사에서 획득한 자료를 바탕으로 3차원 자력 역산을 수행하였으며, 3차원 지질모델링 기술을 이용하여 철-망간 광화대에 대한 3차원 영상화 및 광체 평가를 위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총자력 이상의 분포 특성을 통해 연구지역의 광상에서 지표 노두로부터 수평적으로 연장되는 광체의 부존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Fe 함량과 상관성이 높은 자기감수율 역산 결과를 토대로 연구지역의 제 1광상 및 제 2광상 모두에서 지표에서 드러난 광체가 지하 하부로 연장되어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 지표에 드러나지 않은 광체의 부존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시추 조사를 통해 일부 대표 지역의 광체 품위 자료가 확보되고 이번 연구결과와의 복합 해석을 수행한다면 효과적인 개발 가능성 평가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한국 성인에서 당뇨병이 빈혈의 발생에 미치는 영향 - 2005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중심으로 (The Presence of Diabetes Mellitus and Anemia in Korean Adults-based on Data from 2005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KNHANES III))

  • 김지혜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1권6호
    • /
    • pp.502-509
    • /
    • 2008
  • Anemia is common in Diabetes Mellitus(DM) with chronic kidney disease. Recent research suggests that DM itself also may be a risk factor of anemia even though kidney failure causes anemia. However, it has not been reported that the impact of DM on anemia in representative data of Korean population. A total of 5,417 Korean adults aged 20 years and older(2,328 men, 3,089 women) were selected from the participants of the 2005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KNHANES) for this study. Anemia was defined as hemoglobin(Hb) < 13 g/dL and hematocrit(Hct) < 39% for men or Hb < 12 g/dL and Hct < 36% for women. DM was defined as a fasting blood glucose $\geq$ 126 mg/dL. Korean adults with anemia had a higher prevalence of DM than in normal adults(11.4 vs 7.5%; p<0.0001). The unadjusted odds ratio(OR) for anemia was greater in Korean men with DM than in normal men(OR=4.25; 95% CI: 2.48-7.29). This results did not differ after adjustment for the putative risk factors for anemia including chronic disease(OR=2.64; 95% CI: 1.45-4.83). However, the presence of DM was not related with anemia in Korean women. In conclusion, this study revealed that DM might be an independent risk factor for anemia in Korean men. Identification and management for anemia are needed in Korean population with DM as well.

경종작물분야의 델파이 기술예측조사 (Survey for Technology Forecasting for Crop Production using Delphi Method)

  • 이종인;조근태;채영암;김재한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9권3호
    • /
    • pp.261-270
    • /
    • 2004
  • 델파이법을 이용한 본 연구는 한국농업의 미래 유망기술을 예측$.$도출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이 미래유망기술을 토대로 우리나라의 농업은 고부가가치를 지닌 2떼기의 핵심전략산업으로 성장하게 할 것이다. 델파이법을 이용하여 경종작물 분야의 전문가에게 각 기술의 전문도, 중요도, 실현시기(국내 및 세계), 연구개발수준, 실현시기의 확신도, 기술적으로 가장 앞선 국가, 연구개발 추진주체, 유효한 정책수단 등을 질문하였다. 이 조사의 대상은 경종작물분야의 전문가로 한정하였다. 미래유망기술로는 44개의 기술이 도출되었고, 이 조사에 응답한 전문가는 39명이었다.

표면파 분산특성과 전기비저항 분포특성에 대한 인접구조물의 영향 (Influence of Adjacent Structures on Surface-Wave Dispersion Characteristics and 2-D Resistivity Structure)

  • 조성호;김봉찬;조미라;김석철;윤대희;홍재호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08년도 추계 학술발표회
    • /
    • pp.1318-1327
    • /
    • 2008
  • Geotechnical sites in urban areas may have embedded structures such as utility lines and underground concrete structures, which cause difficulties in site investigation. This study is a preliminary research to establish knowledge base for developing an optimal technique for site investigation in urban areas. Surface-wave method and resistivity survey, which are frequently adopted for non-destructive site-investigation for geotechnical sites, were investigated to characterize effects of adjacent structures. In case of surface wave method, patterns of wave propagation were investigated for typical sets of multi-layered geotechnical profiles by numerical simulation based on forward modeling theory and field experiments for small-size model tests and real-scale tests in the field. In case of resistivity survey, 3-D finite element analyses and field tests were performed to investigate effects of adjacent concrete structures. These theoretical and experimental researches for surface-wave method and resistivity survey resulted in establishing physical criteria to cause interference of adjacent structures in site investigation at urban areas.

  • PDF

3D 프린팅 관련 교과목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 전문대학 패션디자인과를 중심으로 - (A Survey for the Development of a 3D Printing Related Course in Fashion Design Department)

  • 정화연
    •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33-47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fundamental data for the development of new course on 3D printing in the fashion design department. In order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of and educational needs in 3D printing,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266 students (female 68.8%, male 31.2%) majoring in fashion design aged 18-25 living in the capital area. The results of this survey showed that when investigating perceptions of 3D printing, it was found that 68.8% of answerers had indeed heard of 3D printing. Regarding the path they came to know about 3D printing, mass media such TV was the most frequent answer (54.6%). On the other hand, to the question asking about their intention to take the subject if given, approximately 71% said "Yes". Also, if a modeling class were given, the division that they wanted to explore most in the fashion industry was fashion jewelry. Finally, to the question asking interest in starting a business, 71.1% answered that they had interest. Out of those that answered that they had interest, when questioned about in which field they wanted to start a business, the most frequent answer was fashion online shopping mall. Finally, NCS-based 3D printing courses were suggested in the Fashion Design area. As 3D printing techniques are actively applied to the fashion industry overseas, creative education is needed through the integration of fashion and 3D printing technology by introducing 3D printing related programs in college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