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24-month cycle

검색결과 24건 처리시간 0.024초

Red and Black Clownfish Amphiprion melanopus의 산란, 부화 및 자어성장 (Spawning, Hatching and Larval Growth of Red and Black Clownfish Amphiprion melanopus)

  • 김숙리;허성범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239-247
    • /
    • 2007
  • 관상가치와 교재생물로서 교육적인 이용도가 높은 흰동가리속 red and black clownfish Amphiprion melanopus의 인공종묘생산의 기초자료를 확보하기 위하여 실험실적인 규모에서 친어를 사육하여 산란과 부화를 조사하였다. 한마리의 암컷이 2004년 4월 19일 부터 2007년 4월 16일 까지 총 48번의 산란을 하였으며, 산란 직후의 수정란의 장경은 $2.6{\sim}2.15\;mm$ (평균$2.32{\pm}0.11\;mm$, n=50), 단경은 $0.94{\sim}0.96\;mm$ ($0.94{\pm}0.001\;mm$, n=50)로 타원형이다. 수정란은 유백색으로 유구를 많이 가진 상태로 난막에 쌓여 배체의 동물극 쪽이 부착사에 의해 산란기질에 부착되어 있었다. 산란상에 대한 선택성은 red clay pot > ceramic pot > volcanic scoria > live rock으로 나타났으며, 부화율은 red clay pot에서 66%로 live rock 34%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먹이종류에 대한 산란량은 Tetra bits+바지락육질+진주담치육질+astaxanthin을 혼합하여 먹인 실험구에서 $638{\pm}16.04$개로 Tetra bits만 공급한 구간 $477{\pm}28.96$ 개와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부화를 위한 배발생의 최적 환경요인은 수온 $28^{\circ}C$, 염분 33 psu, 광주기 6L:18D로 나타났다. 갓 부화한 자어의 전장은 $3.7{\sim}4.8\;mm$ (평균 $4.6{\pm}0.14\;mm$, n=50)로 7일째 까지는 $7.5{\pm}0.60\;mm$, 14일까지는 $11.0{\pm}0.77\;mm$, 20일에는 $12.4{\pm}0.85\;mm$, 30일에는 $18.8{\pm}0.82\;mm$, 70일에는 $37.9{\pm}2.26\;mm$로 성장하였다.

사육조건이 꽃게 (Portunus trituberculatus (Miers)) 유생과 어린 게의 생존과 성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ulture Conditions on the Survival and Growth of Larvae and Young Swimming Crabs Portunus trituberculatus (Miers))

  • 서형철;임한규;김종식;조영록;장인권;강언종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4권3호
    • /
    • pp.243-250
    • /
    • 2011
  • The effects of food, temperature, salinity, and rearing density on the survival and growth of the swimming crab Portunus trituberculatus, were studied. With regard to food, the larval survival rate to zoea IV was the highest (53.9%) in the mixed feed group (rotifers+ Artemia), followed, in order, by the rotifer, commercial feed, and Artemia groups. The growth of young crabs reared on different diets was the highest in group VI. The survival rate to zoea II at 20 to $30^{\circ}C$ ranged between 77.2% and 83.1%, and was the highest for crab I (17.3%) at $25^{\circ}C$. When young crabs were cultured individually at four different temperatures (20, 25, 30, and $35^{\circ}C$), the growth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at 25 to $30^{\circ}C$, but was higher than at $20^{\circ}C$. The survival rate of larvae to crab I was 12.7 and 11.4% at 25 and 28 psu, respectively, while all of the larvae died at 15 psu. For young crab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growth and survival from 20 to 30 psu. The survival rate decreased with increasing rearing density from zoea I to crab I. Each molting cycle took 1 month from crab I to VIII. Subsequently, the interval increased with growth. The mean body weight of crab XV after 24 months was $428.05{\pm}57.63\;g$.

핵의학과 환경미화원의 일시 출입자 분류에 대한 고찰 (A study on Classification of Temporarily Access Group about Sanitation Workers in Nuclear Medicine Department)

  • 유재숙;장정찬;김호성
    • 핵의학기술
    • /
    • 제16권1호
    • /
    • pp.50-56
    • /
    • 2012
  • 일시 출입자로 분류된 핵의학과 출입 환경미화원은 주기적으로 타과와 업무순환을 하고, 또한 작업 시간과 환경 등의 변화가 많기 때문에 관리하기에 어려운 점이 있으며 따라서 이들의 분류를 명확히 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핵의학과에서 근무하는 환경미화원의 피폭 상황을 분석하여 일시 출입자로 분류된 조건의 타당성에 대하여 검토해 보고 작업 환경의 변화 및 근무 시간의 조절이 필요한가를 알아보았다. 우선 먼저 PET실과 혈액 검사실에서 근무하는 환경미화원과 감마 카메라실에서 근무하는 환경 미화원 2명을 대상으로 한 달간 근무 시간 중에 OSL을 각각 착용시켜 개인 피폭 선량을 측정하였다. 둘째로 survey meter를 이용하여 두 명의 환경미화원의 작업 환경, 근무 형태에 따라 시간대 별로 핵의학과 내 14개 구역을 선정, 총 10회 공간 선량률을 측정한 결과 이들의 피폭 선량은 연간 1mSv를 초과하지 않았으며, survey meter를 이용하여 조사한 결과 또한 연간 1 mSv를 초과하지 않을 것으로 추정되지만 그 수치가 1 mSv에 근접하였다. 따라서 일시 출입자로써의 분류를 좀 더 명확히 하기 위해서는 PET 안정실과 같은 피폭이 상대적으로 많은 구역에서의 노출 확률을 줄이기 위하여 이들에게 방사선 관리 구역내 교육을 실시하고, 또한 근무시간 및 근무 형태를 적절히 변경한다면 이들의 피폭 선량은 확연히 줄어들 것으로 사료된다.

  • PDF

과도한 주간 졸림과 탈력발작을 주소로 내원한 환자에서 발견된 갑상선 중독증 (Excessive Daytime Sleepiness Case Confounding with Thyrotoxicosis)

  • 정재경;김의중
    • 수면정신생리
    • /
    • 제18권1호
    • /
    • pp.40-44
    • /
    • 2011
  • 기면병은 과도한 주간 졸림, 탈력발작, 수면 분절화, 입면환각의 특징을 가진 수면 질환이다. 기면병의 증상은 내과적, 신경과적 질환으로부터 생길 수도 있다. 17세의 고등학생 남자 환자가 3개월 전부터 발생한 참을 수 없는 과도한 주간 졸림으로 본원 수면클리닉을 통해 입원하였다. 내원 이후 측정된 체질량지수는 30.4 kg/$m^2$였고 맥박은 분당 70~90회, 혈압은 150/100~120/70 mmHg로 관찰되었다. 갑상선기능 검사에서 T3 391.2 ng/dL(60~181), free T4 4.38 ng/dL(0.89~1.76), TSH(thyroid stimulating hormone) <0.01 ${\mu}IU$/mL(0.35~5.5)로 갑상선 중독증이 시사되었다. 수면다원검사가 실시되었고, 수면 자세의 변환은 시간당 81 회로 매우 많은 편이었다. 입면 잠복기는 33.5분, 수면 효율은 47.9%, 입면에서 렘수면 입면시간은 153.6분으로 지연되었고 렘수면은 27.1%로 증가하였다. 주기성 사지 운동지수는 13.4/h로 나타났다. 수면잠복기반복검사에서 평균 입면잠복시간은 24초, SOREMP(sleep onset REM period)은 3회에서 관찰되었다. actogram상 수면-각성의 경계가 불분명하였고, HLA typing에서 DQB1 $^*0602$는 음성이었다. 환자의 갑상선중독증은 대해 3개월간 methimazole 30 mg, propranolol 40 mg이 투약되며 갑상선 기능이 호전되었다. 탈력발작은 venlafaxine 75 mg으로 조절되었고, 야간 수면 유지와 주기적 사지운동증을 치료 하기 위해 clonaze-pam 0.5 mg이 사용되었고 주관적인 야간 수면의 질은 향상되었다. 과도한 주간 졸림에 대해서는 3개월간 modafinil 200~400 mg이 투여되었고 부분적이긴 하지만 다소의 호전을 보이고 있다. 본 증례는 기면병으로 최종 진단된 환자에 있어 병력과 검사상 발견된 갑상선 중독증, 그리고 수면 효율 감소 등이 과도한 주간 졸림을 평가하는데 혼란 변수로 작용한 경우라 하겠다. 다만, 주간 과다 졸림이 modafinil에 부분적인 효과를 보이는 것, HLA DQB1 $^*0602$ 음성의 결과를 보인 환자에게 나타났던 탈력발작에 대해서도 더 설명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향후 CSF hypocretin level을 추가로 측정하고 수면 문제의 추이를 관찰하면서 추가적인 PSG와 MSLT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