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24-Hour Rule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023초

선적 24시간전 적하목록전송규칙(24 Hours Rules)의 주요내용과 문제점 (The Main Substance and Some Problems of 24 hours Advance Cargo Manifest Declaration Rule)

  • 한상현;엄광열
    • 정보학연구
    • /
    • 제8권1호
    • /
    • pp.95-112
    • /
    • 2005
  • This paper will look into the Main Substance and Some Problems of 24 hours Advance Cargo Manifest Declaration Rule, focuses on the Policy implication of Korea's and counter measures of our parties concerned about 24-hour advance vessel manifest rule. The 24-hour rule requires cargo owners to submit cargo manifest information to U.S. Customs 24 hours before vessel sailing from the final foreign port to a U.S. port. Cargo manifest information must be complete, accurate, and timely. As of February 2, 2003 manifest information can be submitted by paper or electronically. Cargo descriptions must be at a level of detail consistent with Harmonized Tariff Schedule (HTS) codes used by U.S. Customs. HTS codes are 10 digits. Electronic submissions are made via the Automated Manifest System (AMS) run by U.S. Customs.

  • PDF

물류보안이 수출입 리스크관리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연구 (An Empirical Investigation on the Effect of Logistics Security in Import and Export Risk Management)

  • 이홍원;김재봉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317-325
    • /
    • 2014
  • 우리나라 정부는 글로벌 보안 추세와 전쟁 및 테러리즘에 대처하기 위해 컨테이너 보안조치(CSI, 24시간 규칙 포함), 종합인증 우수업체(AEO) 등 다양한 보안 제도 및 보안 조치를 도입했다. 하지만 수출입 과정의 다양한 구성원들은 CSI, 24시간 규칙, AEO의 목적과 기능에 여전히 부정적이다. 이것은 보안 리스크를 수출입 과정의 장애나 방해 요인으로 여기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이러한 리스크를 규명, 측정, 평가하고 적절한 관리 방안을 제시함에 있다. 이를 위한 리스크규명과 리스크관리에 따른 성과 측정을 위해 선행연구 및 현장조사를 바탕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했다. 설문조사를 통해 대상 리스크를 상대적인 값을 구분하여 Key Risk, Major Risk, Minor Risk로 나눌 수 있었으며 각 리스크를 대상으로 분산분석을 실시하여 집단별 관리정도의 차이를 알아낼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회귀분석을 통해 리스크관리 정도별 물류성과 검증을 실시하여 CSI 리스크관리가 물류 재무적 성과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며, CSI 리스크관리와 AEO 인증 리스크관리는 물류 서비스 성과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아낼 수 있었다.

A Novel Binary Ant Colony Optimization: Application to the Unit Commitment Problem of Power Systems

  • Jang, Se-Hwan;Roh, Jae-Hyung;Kim, Wook;Sherpa, Tenzi;Kim, Jin-Ho;Park, Jong-Bae
    • Journal of Electrical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6권2호
    • /
    • pp.174-181
    • /
    • 2011
  • This paper proposes a novel binary ant colony optimization (NBACO) method. The proposed NBACO is based on the concept and principles of ant colony optimization (ACO), and developed to solve the binary and combinatorial optimization problems. The concept of conventional ACO is similar to Heuristic Dynamic Programming. Thereby ACO has the merit that it can consider all possible solution sets, but also has the demerit that it may need a big memory space and a long execution time to solve a large problem. To reduce this demerit, the NBACO adopts the state probability matrix and the pheromone intensity matrix. And the NBACO presents new updating rule for local and global search. The proposed NBACO is applied to test power systems of up to 100-unit along with 24-hour load demands.

미국물류보안규범이 우리나라의 공급망 참여자에 미치는 영향과 대응방안 (A Study on Impact of the U.S. Security Initiatives on Korean Participants in Global Supply Chain)

  • 허은숙
    • 통상정보연구
    • /
    • 제10권1호
    • /
    • pp.217-236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iscuss the impact of the New Container Security Initiatives of U.S., CSI(Container Security Initiative) and C-TPAT(Customs-Trade Partnership against Terrorism). The CSI which aims to pre-screen high-risk containers in ports of loading. It is a unilateral effort that seeks to develop bi-lateral agreements between the United States and foreign countries with significant container trade volumes into the U.S. C-TPAT is a voluntary initiative to develop cooperative security relationships between the U.S. government and U.S. firms in the global supply chain. Government and Industry have already responded with proposals to create more confidence in supply chain security. These proposals call for heightened inspection and scrutiny of the goods flowing through a supply chain, increased information exchange among participants of supply chain. While government and the private sector are working together to launch new initiative to create more secure and reliable supply chains, industry is rapidly exploring the potential of new technologies such as RFID. The security recommendations will eventually become the requirements to be complied with by importers and their supplier extending to the carriers. It is needed that Korean shippers involved in US importer's supply chain should pay attention to the requirements and start implementing the security measures.

  • PDF

해상적하목록 사전제출을 통한 수출입물류 효율화 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iciency of Import-Export Logistics through Advance Presentation of Vessel Manifest)

  • 김용진;서동균
    • 한국항만경제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275-296
    • /
    • 2011
  •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에서 해상적하목록 사전제출제도를 도입하여 수출입물류 원활화와 안전을 도모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는데 있다. 우리나라의 주요 교역대상국인 미국, EU, 중국에서 해상적하목록 사전제출제도를 도입하고 있고 물류보안 강화가 국제적 추세인 상황에서 변화된 무역관행에 수출기업의 조기 적응을 유도하고 수입 우범화물에 대한 통제를 강화하기 위해 해상적하목록 사전제출제도가 필요하다. 국가간에 거래되는 수출입화물이 선박에 적재되기 24시간 전에 화물정보를 세관에 사전 제출함으로써 세관당국으로 하여금 고위험화물을 사전에 선별토록 하고, 적법화물에 대해서는 신속한 통관을 가능토록 하여 결과적으로 수출입물류 프로세스의 원활화와 안전이 동시에 확보될 수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글로벌스탠다드에 부합하는 해상적하목록 사전제출제도를 조속히 도입하고 이와 병행하여 인터넷기반 적하목록 취합 제출 시스템 구축과 선적지 수출검사 체계를 도입한다면 우리나라 수출입물류의 안전과 원활화에 크게 기여할 것이다.

Development of a New Personal Magnetic Field Exposure Estimation Method for Use in Epidemiological EMF Surveys among Children under 17 Years of Age

  • Yang, Kwang-Ho;Ju, Mun-No;Myung, Sung-Ho;Shin, Koo-Yong;Hwang, Gi-Hyun;Park, June-Ho
    • Journal of Electrical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7권3호
    • /
    • pp.376-383
    • /
    • 2012
  • A number of scientific researches are currently being conducted on the potential health hazards of power frequency electric and magnetic field (EMF). There exists a non-objective and psychological belief that they are harmful, although no scientific and objective proof of such exists. This possible health risk from ELF magnetic field (MF) exposure, especially for children under 17 years of age, is currently one of Korea's most highly contested social issues. Therefore, to assess the magnetic field exposure levels of those children in their general living environments, the personal MF exposure levels of 436 subjects were measured for about 6 years using government funding. Using the measured database, estimation formulas were developed to predict personal MF exposure levels. These formulas can serve as valuable tools in estimating 24-hour personal MF exposure levels without directly measuring the exposure. Three types of estimation formulas were developed by applying evolutionary computation methods such as genetic algorithm (GA) and genetic programming (GP). After tuning the database, the final three formulas with the smallest estimation error were selected, where the target estimation error was approximately 0.03 ${\mu}T$. The seven parameters of each of these three formulas are gender (G), age (A), house type (H), house size (HS), distance between the subject's residence and a power line (RD), power line voltage class (KV), and the usage conditions of electric appliances (RULE).

국제물류보안 인증제도 동향 및 시사점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mplications and Trends of Logistics Security Assurance Programs for International Trade Facilitation)

  • 고현정
    • 한국항만경제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333-354
    • /
    • 2011
  • 2001년 미국에서 발생한 9.11 항공기 테러사건은 국제교역의 보안에 관한 관심과 우려를 증대시켰다. 그리고 미국은 테러 위협에 대해 다층적 방어 전략을 추진하면서 행정조직을 대폭 개편하여 국토안보부를 설치하고 CSI, 화물정보 24시간 전 신고제도, SAFE Port Act, 9/11 테러대책이행법, C-TPAT 등 다양한 물류보안 제도를 마련하였다. 그 결과 전 세계적으로 물류보안 제도가 강화되고 있다. 우리나라는 동북아 물류허브화 정책추진 및 물류정책기본법에 물류보안시책을 마련하는 등 공급사슬보안에서 국가 이미지를 제고하고 국가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체계적인 대응전략을 마련하고 있다. 하지만 국내 인증제도에 참여하는 실제적 당사자인 기업은 각 기관별로 운영되는 물류인증을 획득하기 위해 투자되는 시간과 비용의 중복 문제점을 지적하고 있다. 물류보안 인증제도는 국가차원의 보안강화에 따라 화물흐름의 지체현상을 필연적으로 겪게 되는 기업을 지원하자는 의도인 바, 기업의 부담을 최소화하는 통합된 국가 물류보안제도의 마련은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제기구 및 주요국의 인증제도를 분석하고 시사점을 제시하여 국내 물류보안 인증제도의 효율적 운영방향을 설정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국가 공급사슬보안체계 구축의 기본 방향을 크게 3가지, 즉 글로벌 수준의 공급사슬보안체계 구축, 국내적으로 효율적 운영체계 구축, 국가적 차원의 지원체계 구축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