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21st Century Library

검색결과 57건 처리시간 0.024초

저출산에 의한 학생수 감소에 따른 여유교실 활용방안 모색 (A Study on the Effective Utilization of Extra Classrooms of a School)

  • 이백렬
    • 교육녹색환경연구
    • /
    • 제6권2호
    • /
    • pp.53-65
    • /
    • 2007
  • Our society is changing into the society of knowledge and information since the advent of 21st century. This may require that schooling need to have a new paradigm. Korea has already entered into the aging society with the help of various population control policies such as birth control from 1960s, and is expecting to go into the so called ultra- aging society. Elementary and middle schools have been facing the rapid decrease in the number of students since the mid-1980s, which high schools are now confronting with.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s how to effectively utilize extra classrooms at schools. The present study offers eight basic directions that may help establish the utilization planning of extra classrooms. One direction is offering an appropriate space utilization environment, another is to present a plan for having special classrooms. Others are having multi-purpose classrooms, management on the unified rooms for library and audio-visual teaching, securing facilities rooms for the school staff. And others are the planning of the diversion of living space for improving sanitation and the provision of meals, the necessity of the extension or rebuilding of school buildings for other uses according to school development schemes, the utilization planning for community residents to which each school belong.

  • PDF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Science in Ibero-America

  • Araujo, Carlos Alberto Avila
    • Journal of Information Science Theory and Practice
    • /
    • 제7권4호
    • /
    • pp.6-19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problematize the existence of a possible Ibero-American informational thinking. It was initially observed that a relative absence of Ibero-America in the international presentations and mappings of information science exists. Below, the reality of the 22 countries that compose Ibero-America is discussed, a region that can be understood from a sociocultural and geopolitical perspective. Then, a mapping of the information science research in these countries is made. The main research topics found are: epistemological studies, relationships with library science, information literacy, representation and organization, bibliometric studies, information management, user studies, technological dimensions, and relationships with archival science and museum studies. Finally, a general epistemological configuration of information science is presented at a global level, highlighting the great trends of study of information that marked the decades of the 1960s and 1970s (physical model), 1980s and 1990s (cognitive model), and the 21st century (sociocultural model), and which manifested themselves in the different subareas that make up the field. The most recent research in information science, in addition to addressing information transfer (physical dimension) and its relationship with data and knowledge (cognitive dimension), has also incorporated aspects related to the social effects of information, its role in the constitution of identities and culture, and the importance of its material conformations. Such expansion reflects attempts to address the complexity of informational phenomena. Therefore, it is concluded that it is important to place the specific contributions of Ibero-America in this context.

대규모 멀티 플레이어 온라인 롤 플레잉 게임 참여자의 디지털 리터러시 활용 관행에 관한 민족지학적 연구 (An Ethnographic Study on the Digital Literacy Practices of Role-Players in a Massively Multiplayer Online Role-Playing Game)

  • 홀리스터 조나단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0권4호
    • /
    • pp.429-467
    • /
    • 2019
  • 정보와 미디어 집약적인 21세기 게임 환경에서 디지털 리터러시 스킬과 비판적 역량의 활용은 점점 더 중요해지고 있다. 이 연구는 공상 과학 판타지를 주제로 한 대규모 멀티 플레이어 온라인 롤 플레잉 게임 (MMORPG)인 와일드스타(WildStar) 참여자들의 디지털 리터러시 활용 관행에 대해 탐구하고 설명한다. 활동적인 역할 참여자는 게임 내부의 특정한 역할을 가지고, 그룹 중심의 대화형 스토리를 만드는데 적극적으로 참여한다. 역할 참여자가 어떻게 정보, 미디어 및 기술을 찾고, 사용하고, 평가하고, 관리하는지 잘 이해하기 위해, 이 연구는 광범위한 역할 참여자 관찰 데이터, 위키페이지나 토론게시판의 글과 같은 참여자들의 커뮤니티 활동을 보여주는 데이터, 그리고 17 명의 참여자들을 대상으로 한 반구조화 면담 데이터를 통합 분석한 하이브리드 민족지학적 방법을 사용하였다. 참여자들은 다양한 미디어와 기술을 사용하여 롤 플레잉을 보완하고 단순화시키면서, 더욱 몰입적인 롤 플레잉을 만들었다. 개인별 디지털 리터러시 수준은 상대적으로 상이하고, 참여자들은 더 유능하고 경험 많은 커뮤니티 구성원의 기술에 의존하기도 했다. 온라인 게임의 특성과 롤플레잉의 교육적 효과를 고려한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과 도서관 프로그램의 영향과 적용 방안에 대해서도 논의하였다.

An An.0, pproach to the Reorganization of University Libraries in the 21st Century

  • 홍현진;이병목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29권
    • /
    • pp.443-464
    • /
    • 1998
  • 21세기를 맞이하여 대학도서관은 정보기술의 도입, 업무내용의 변화, 이용자의 요구변화등 급격하게 변화하는 새로운 환경에 직면해 있다. 본 연구는 한국의 대학도서관 조직구조의 현황에 대한 분석과 함께 다양한 조직이론들과 정보환경의 변화에 기초해서 도서관조직을 활성화시키기위한 개념적인 조직모델을 제시하고자 한다. 한국의 대학도서관은 거의 10년동안 법적인 제약과 조직내외의 환경적인 한계 등으로 인해 전산화시스템의 도입, 도서관부관장의 임명, 그리고 도서관과 컴퓨터 센터와의 통합시도와 같은 약간의 변화외에는 거의 변화가 없었다. 전형적인 한국의 대학도서관은 수서, 기술서비스, 열람과 참고봉사 부문으로 조직되었다. 여기서 수서 기능을 기술서비스의 부문으로 간주한다면, 본 연구의 대상인 대학도서관 114개관 중 95개관(82.5%)이 전통적인 도서관조직의 형태인 기술서비스와 공공서비스 부문으로 조직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전통적인 도서관조직의 문제점들을 급복할 수 있는 21세기의 개념적인 대학도서관 조직모델로서, 네가지 부문 - 서비스 부문, 서비스지원 부문, 기술지원 부문, 그리고 통합·조정부문-을 대학도서관의 개념적인 기본 구성요소로써 제안하였다. 그러나 모든 도서관의 서비스나 업무과정에 대해 적합한 잉상적인 조직구조는 없으며, 조직의 재조직과정은 도서관의 형태와 목적, 업무과정에 따라 매우 다양하다. 따라서 도서관의 재조직화는 환경의 변화에 따라 끊임없는 과정이 될 것이며, 도서관조직의 성공은 이러한 변화에 적응할 수 있는 개인과 조직의 역량에 달려있다고 하겠다.대한 순서에 있어서 차이가 있다. 4) 도서관에 대한 태도에 있어서 두 집단은 상이한 입장을 보이고 있다. 학자들의 과반수는 중요 정보원으로서 자신의 개인장서를 활용하며, 도서관의 장서 및 그 조직방법에 대해서도 별로 만족하지를 못하고 있다. 반면에, 실무가들은 도서관에 대하여 비교적 만족하며 따라서 도서관에 대한 이용도도 높다. 5) 두 집단 모두 보조인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지 않으며 사서의 도움을 받는 경우도 극소수에 불과하다. 이러한 조사결과를 기초로 하여 볼 때 법률전문직을 둘러싼 정보환경을 개선하기 위하여는, 인쇄된 일차적 정보자료의 검색방법등을 개선하고, 나아가서는 법령과 판례정보를 위한 효율적인 시스템을 구축하며, 뿐만 아니라 이용자의 요구에 충분히 대처할 수 잇는 도서관으로 변화되는 것이다. 이와 함께 가장 중요한 것은 법과대학과 사법연수원에서 법학 연구방법에 관한 강좌를 개설하여 각종 법률정보원의 활용 내지 도서관 이용방법에 관하여 교육하는 것이다.글을 연구하고, 그 결과에 의존하여서 우리의 실제의 생활에 사용하는 $\boxDr$한국어사전$\boxUl$등을 만드는 과정에서, 어떤 의미에서 실험되었다고 말할 수가 있는 언어과학의 연구의 결과에 의존하여서 수행되는 철학적인 작업이다. 여기에서는 하나의 철학적인 연구의 시작으로 받아들여지는 이 의미분석의 문제를 반성하여 본다. 것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크기에 의존하며, 또한 이러한 영향은 $(Ti_{1-x}AI_{x})N$ 피막에 존재하는 AI의 함량이 높고, 초기에

  • PDF

국내 정보학분야 연구동향 분석, 2000-2011 (Detecting Research Trends in Korean Information Science Research, 2000-2011)

  • 서은경;유소영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215-239
    • /
    • 2013
  • 21세기에 들어서서 디지털 정보환경이 발빠르게 변화함에 따라 국내 정보학 연구 역시 많은 발전과 변화를 겪고 있는 것을 산학계 모두 인지하고 있지만 실제 2000년부터 현재까지 어느 정도로 변화되었는지를 분석한 논문은 많지 않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2000년에서부터 2011기간동안 연구재단에 등재된 문헌정보학 관련 학회지에 수록된 정보학분야 논문 1,007편의 논문을 대상으로 정보학분야의 연구동향을 분석하였다. 먼저 시간에 따른 연구주제의 변화를 살펴보기 위하여 논문 데이터를 주제 범주화 한 후, 각 주제 범주 내에서의 논문 및 주요 키워드의 성장률을 시계열적으로 분석하였다. 그리고 단어 동시출현 네트워크를 2000-2011년뿐 아니라 2000-2005년과 2006-2011년의 두 시기로 나누어 시각화하고 분석함으로써, 한국의 정보학 분야의 연구경향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지난 12년간의 한국의 정보학 연구는 정보시스템중심적 연구에서 이를 도서관에 적용하는 도서관응용적 연구로 나아가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특히 지식관리, 웹기반 시스템 평가, 정보검색 분야에서 두드러지게 변화가 나타났다. 다른 연구의 결과와 비교해 볼 때, 이 연구는 정보학 연구분야의 한국 로컬화의 변화를 찾아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전통식품산업 지식기반체계 구축에 관한 연구 - 영광 모싯잎 송편산업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Knowledge Based System for Traditional Food Industry in Korea - A Case Study on Yeonggwang Mosisongpyun Industry -)

  • 조은정;최수명;김한얼
    • 농촌계획
    • /
    • 제17권1호
    • /
    • pp.89-98
    • /
    • 2011
  • Recently, the food industry has evolved into a new and innovative trend according to its globalization and change of food consumption patterns. However, it is hard for the traditional food industry in Korea to meet the changing consumers' needs because of its poorer quality control and lower industrialization technology than other advanced industries. Also the knowledges acquired through a lot of time and efforts would be lost after the human resources with tacit knowledges leave by their too much aging. Especially, the 21st century would be called as knowledge based society which means that knowledge be the important contributing factor in the economic growth. In this regard, this study aimed at proposing the knowledge based system for systematically managing or preserving knowledges of Mosisongpyun industry in Yeonggwang County to seek for the sustainable development of the traditional food industry in Korea. The knowledge based system of Mosisongpyun industry in Yeonggwang County is finally proposed as follows; First, hardware is composed with the necessary unit facilities such as interpretive center, learning and experience room, library, etc. And the integrating facilities such as Mosisongpyun theme park, traditional village, and knowledge industrialization support center are proposed. Second, software is composed with the necessary unit softwares such as the preservation manual of traditional knowledge and skill, web-site administrator, development of graded textbooks, development database software, etc. And the integrating softwares such as development of innovation and management ability in Mosisongpyun industry are proposed. Third, humanware is composed with the necessary unit programs such as exhibition, own training program, incubator support system, etc. And the integrating programs such as the farm association corporation, the testing and research institute, the institution of learning and training are proposed.

대영도서관 소장 「무이산구곡계전도(武夷山九曲溪全圖)」로 본 중국 무이구곡의 문화경관상 (The Cultural Landscapes of Wuyi-Gugok of China as seen from the 「Landscape of the Jiuqu River in the Wuyi Mountain」 in British Library)

  • 정조하;노재현;강정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11-31
    • /
    • 2019
  • 대영도서관 소장의 청나라 중기에 제작된 「무이산구곡계전도」을 대상으로 그림에 명기된 경물의 명칭을 분석하는 한편 산세, 포구(浦口)와 선박, 건축요소, 토목요소, 인물, 석각 등으로 경물명을 유형화한 후 곡별 문화경관적 속성을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무이산구곡계전도」에 등장하는 건축요소는 총 28 건으로 정자(亭)가 7개소(25%), 사묘[廟]가 4개소(14.3%), 서원과 관(觀)이 각각 3개소(10.7%), 도원(道院)과 마을(村)이 각각 2개소(7.1%)로 집계되었으며, 토목요소는 총 29건으로 동(洞)이 9개소(31%), 고적(古跡)이 6개소(20.7%), 대(臺)가 3개소(10.3%), 도(渡)·교(橋)·지(池)가 각각 2개소(6.9%), 원(園)·문(門)·갱(坑)·정(井)·유지(遺址)가 각각 1개소(3.4%)로 나타났다. 이들 형체요소와 토목요소는 18C 중반 무이산 구곡계의 문화경관적 속성을 드러내는 중요한 유적이다. 각 곡별 형체요소는 1곡이 12개소(21.1%), 5곡이 11개소(19.3%), 4곡이 9개소(15.8%), 9곡이 8개소(14%), 3곡이 7개소(12.3%), 6곡이 4개소(7%), 2곡이 3개소(5.3%), 7곡이 2개소(3.5%) 그리고 8곡이 각각 1개소(1.8%)로 정리되어 1곡과 5곡 그리고 4곡이 갖는 문화경관적 특성이 한층 부각되었다. 한편 『무이산지』의 명소 유형에 대한 묘사에 따르면, 「무이산구곡계전도」에 표현된 경물의 묘사는 총 38개 유형으로 집계되었는데, 이중 암(岩)·봉(峰)·석(石) 등 3개 경물이 차지하는 경관적 비중이 압도적이었다. 이는 무이구곡의 벽수단산의 경색을 보이는 단하지모적 특성이 반영된 결과이다. 「무이산구곡계전도」에 표현되었거나 내포된 무이산의 문화적 함의를 분석 및 해석한 결과, 무이산 구곡계에는 이학문화, 도교문화, 불교문화, 차문화, 기타문화 등 5개 문화가 존재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한편 「무이산구곡계전도」에 표시된 총 171곳의 경물 명중에는 현장 바위글씨[石刻]와 일치되거나 동일한 의미를 보이는 석각은 찬경제각(贊景題刻) 3방, 철리제각(哲理題刻) 3방, 길어제각(吉語題刻) 1방 등 총 7개소로 나타났으며 이는 그림과 석각 간의 상호텍스트성을 보이는 중요한 근거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