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2006 IPCC guidelines

검색결과 25건 처리시간 0.025초

1996년과 2006년 IPCC 가이드라인별 경종부문 온실가스 배출량 평가 (Assessment of Greenhouse gases Emission of Agronomic Sector between 1996 and 2006 IPCC Guidelines)

  • 정현철;김건엽;이덕배;심교문;강기경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4권6호
    • /
    • pp.1214-1219
    • /
    • 2011
  • 본 연구는 국가 온실가스 배출량 평가에서 향후 적용될 2006 IPCC 신규 가이드라인의 적용성을 검토하고자 해외사례를 분석하고, 기존 가이드라인과의 방법론 및 배출계수 차이점을 분석하여 실제 배출량을 산정해 보고자 수행하였다. 해외 ANNEX I 국가들의 적용성을 검토한 결과 우리나라와 농업여건이 비슷한 일본의 경우 일부는 2006 IPCC 가이드라인의 방법론과 배출계수를 적용하고 있었으며, 미국의 경우는 대부분이 2006 IPCC 가이드라인을 적용하여 배출량을 산정하였다. 1996 IPCC와 2006 IPCC 가이드라인의 방법론과 기본계수를 적용하여 경종부문 온실가스 배출량을 평가한 결과, 신규가이드라인을 적용했을 때 약 26~29%의 배출량이 감소되었다. 이러한 배출량 차이에 대한 주요 원인은 일부 배출원 항목에 대한 삭제 및 배출계수의 차이에 있음을 알 수 있었다.

2006 IPCC 가이드라인 축산부문 도입에 따른 온실가스 배출량 계산 개선방안 연구 (Application of 2006 IPCC Guideline to Improve Greenhouse Gas Emission Estimation for Livestock Agriculture)

  • 지은숙;양승학;조성백;황옥화;박규현
    • 한국축산시설환경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75-84
    • /
    • 2012
  • 현재 우리나라 축산부문의 온실가스 배출량 계산은 1996년에 출판된 '1996년 IPCC 국가 온실가스 인벤토리 지침서 (1996 IPCC지침)'에 따라 계산하고 있으며 그 배출량 데이터는 국가 인벤토리 보고서에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새로운 지침서, '2006년 IPCC 국가 온실가스 인벤토리 지침서 (2006 IPCC 지침)'가 2006년에 출판되었기 때문에 온실가스 배출량 계산을 위한 새로운 지침서를 적용하기 위한 준비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축산에서 1996 IPCC 지침과 2006 IPCC 지침을 비교하였다. 또한 2000년부터 2008년 사이의 온실가스 배출량을 Tier 1 방법으로 계산하였다. 2006 IPCC 지침으로 계산한 온실가스 배출량은 1996 IPCC 지침을 이용할 때와 비교하여 1.27~1.33배 더 많았다. 이는 배출계수의 차이에 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가 온실가스 인벤토리의 불확실성을 감소시키기 위해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

국가온실가스 인벤토리 구축 기본절차(IPCC 지침)에 대한 조사 연구 (Survey Study on Basic Procedures for Establishment of National Greenhouse Gas Inventory (IPCC Guidelines))

  • 백천현;유종훈;김호균
    • 산업공학
    • /
    • 제22권4호
    • /
    • pp.317-328
    • /
    • 2009
  • For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human impact on a change of the global climate, it is necessary to obtain reliable information on man-induced fluxes of greenhouse gases (GHGs) into the atmosphere.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IPCC) guidelines (IPCC 1996, IPCC 2000, IPCC2006) provide the methods and procedures of estimating the national GHG emission inventories. Particularly, IPCC 2006 contains new chapter of key conceptions uncertainties, including the types of uncertainties and assessment methods of uncertainties in GHG emission inventories. In this paper, a compact and clear survey on volume 1 of IPCC 2006, which contains the general information on inventory compilation, uncertainty and guidance on the choice of methods, and QC/QA, is given with emphasis on uncertainty analysis.

2006 IPCC 가이드라인 적용에 따른 폐기물 매립 부문의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 및 변화 요인 분석 (Estimation of greenhouse gas emissions from the landfill sector with the application of the 2006 IPCC guidelines and the change factors analysis)

  • 김란희;박진규;송상훈;박옥윤;이남훈
    • 유기물자원화
    • /
    • 제28권1호
    • /
    • pp.37-51
    • /
    • 2020
  • 2015년 말 채택된 파리협정으로 2023년부터 5년 단위로 국제이행점검(Global stock-taking)이 진행될 예정이며, 국가 온실가스 인벤토리와 온실가스 감축 목표 달성 경과 등을 의무적으로 보고해야 한다. 이에 대비하여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의 신뢰도를 향상시키고, 온실가스 배출원별 특성 파악과 배출량 관리가 중요한 시점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폐기물 매립 부문을 대상으로 2000 GPG, 2006 IPCC 가이드라인 및 2019 Refinement 산정방법에 따라 온실가스 배출량을 비교·분석하였다. 그 결과, 2016년 기준 시나리오 1에서는 2,287 Gg CO2_eq, 시나리오 2-1은 1,870 Gg CO2_eq, 시나리오 2-2는 10,886 Gg CO2_eq, 시나리오 2-3은 10,629 Gg CO2_eq, 시나리오 3은 12,468 Gg CO2_eq으로 나타나 2000 GPG 대비 2006 IPCC 가이드라인 적용 시 온실가스 배출량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배출량 변화의 차이는 산정방식의 변화와 적용되는 배출계수 값에 기인하였으며, 이에 우리나라 특성에 따른 배출계수의 국가고유값 개발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비도로 수송에 의한 온실 가스 배출량 추정 (Estimation of Greenhouse Gas Emission from Off-road Transportation)

  • 최민애;김정;이호진;장영기
    • 한국기후변화학회지
    • /
    • 제1권3호
    • /
    • pp.211-217
    • /
    • 2010
  • 건설 장비, 항공 지상 지원 장비, 항만 하역 장비, 농림업 기계를 포함하는 비도로 수송 부문의 경우 IPCC Guidelines의 배출원 분류 코드에 비도로 수송(1A3e2)이 존재하나, 국내에서는 배출자료가 구축되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건설업, 항공, 해운, 농림업에 해당하는 석유 통계 자료를 유종별로 구분하였고, 1996 및 2006 IPCC Guidelines에서 제시하는 배출 계수로 Tier 1 수준의 비도로 수송 부문 온실 가스 배출량을 산출하고 비교하였다. 그 결과, 1996 IPCC Guidelines과 2006 IPCC Guidelines에 의한 2007년 비도로 수송 온실 가스 배출량은 각각 4,919천ton $CO_2eq./yr$, 5,530천ton $CO_2eq./yr$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추정한 비도로 수송 온실 가스 배출량은 국내 수송 부문 온실 가스 배출량의 약 5.5%에 해당하는 양으로 추정되었다.

IPCC 온실가스 산정지침 변화에 따른 농촌지역 벼 재배부문 배출량 및 배출특성 분석 (Analysis of Changing for GHG Emissions and Regional Characteristics on Rice Cultivation by IPCC Guideline Improvements)

  • 박진선;정찬훈;정현철;김건엽;이종식;서교
    • 농촌계획
    • /
    • 제23권2호
    • /
    • pp.75-86
    • /
    • 2017
  • IPCC Guidelines have been updated after the first official announcement to get more precise estimation of GHG emissions.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implications of the IPCC Guidelines improvements including equations of country-specific parameter values for estimating GHG emissions for rice cultivation on the agricultural sector. In addition, we analyze the effects of emission factors associated with organic amendment applicat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total GHG emissions of rice cultivation based on 1996 IPCC GL are 28% lower than those estimated by 2006 IPCC GL with the same year data; (2) GHGs can be reduced up to 60% through the assumption of organic fertilizer applications; (3) Jeonnam and Chungnam are the worst regions for GHG emissions on rice cultivation and Chungbuk shows the highest reduction rate of GHG emissions, about 40%.

에너지분야 농림업부문 온실가스 인벤토리 고도화 방안 연구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GHG Inventory in Agriculture and Forestry Categories of Energy Sector)

  • 추성민;문지혜;김연중;성재훈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11호
    • /
    • pp.294-304
    • /
    • 2019
  • 지금의 농업부문을 포함한 에너지 분야의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방법은 하향식(top-down) 방식으로 간주할 수 있으며, 이러한 하향식 온실가스 산정 방법은 제한된 배출계수와 활동자료를 바탕으로 온실가스 인벤토리를 효과적으로 작성할 수 있는 방법이다. 그러나 에너지분야 농림업부문 온실가스 저감 정책 설계를 위해서는 보다 정교한 에너지분야 농림업부문 온실가스 배출량 정보 구축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현재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방식에 대해 살펴본 후, 에너지 분야 농림업부문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과 관련한 개선방안에 대해 논의한다. 먼저 에너지분야 농림업부문 배출현황에 대한 엄밀한 파악과 구체적 정책 설계를 위해 2006 IPCC 가이드라인, 해외 국가온실가스인벤토리 보고서, 국내 통계, 관련 문헌 등을 고려하여 세분화된 국가고유 배출계수의 개발과 관련 활동자료 구축 방안을 제안하였다. 구체적으로 다음으로 2006 IPCC 가이드라인을 바탕으로 농업부문 CO2 배출량의 불확도(uncertainty)를 계측하고 불확도 개선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으며, 이를 통해 CO2 배출량 불확도를 약 1.5%p 감소시킬 수 있음을 보였다. 끝으로 온실 난방 등에 사용되는 농업부문 신재생에너지 사용으로 인한 온실가스 배출량을 반영할 수 있는 활동자료 개선 방안을 제안하였다.

지역특성과 산정식 변화를 고려한 시군단위 축산부문 온실가스 배출량 분석 (Implications of Guideline Improvements for Regional GHGs Changes on Livestock)

  • 정찬훈;박진선;이종식;김건엽;정현철;서교
    •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
    • 제59권4호
    • /
    • pp.53-64
    • /
    • 2017
  • The equations and emission factors for estimating national GHGs are developed based on IPCC guidelines. The GHGs on livestock sector has been calculated using methodologies following 1996 IPCC guideline in South Korea although 2006 IPCC guideline was announced in 2006.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implications of guideline updates for national GHGs changes in the livestock sector and analyze the effect of regional major livestock characteristics using KOSTAT time series data (1990 ~ 2014). The results show a new guideline makes GHGs reduce in the livestock sector up to 11 % with subdivided emission factors and the livestock characteristics affect regional GHGs. Gyeonggi-do, the top emitter among 16 states, records 784 thousand tons $CO_2eq.$ and Daejeon has the highest potential (82 %) of GHGs reduction. Swine is the most contributor for regional GHGs except Seoul and Gwangju, but the share of GHGs for chickens is less than 12 % in spite of the largest livestock population (87 %).

2012~2013년 국내 석유계 에너지원의 열량 및 탄소배출계수 개발 (Development of Calorific Values and Carbon Emission Factors for Petroleum Energy in Korea from 2012 to 2013)

  • 임완규;도진우;강형규;하종한;이상섭
    •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301-310
    • /
    • 2014
  • Country-specific data for net calorific values and carbon emission factors requires for a higher tier estimate of greenhouse gas emissions in the energy sector.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country-specific net calorific values and carbon emission factors for petroleum energy produced in Korea. Calorific values and carbon contents of the fuels were measured using the oxygen bomb calorimeter method and the CHN elemental analysis method, respectively. Sulfur and hydrogen contents, which were used to calculate the net calorific value, were also measured and then net calorific values and carbon emission factors were determined based on the measurement results. The net calorific values and carbon emission factors determined for the petroleum produced in Korea 2012 and 2013 were compared to those in the 2006 IPCC Guidelines. Most of the values were different compared with the default values of the 2006 IPCC Guidelines although those were placed within their upper and lower limits. Time series analysis results showed inconsistent seasonal variation for the net calorific values and carbon emission factors.

지자체 온실가스 인벤토리 구축연구 - 전라북도 사례 (A Study on Greenhouse Gas Inventories for Regional Governments (A Case Study of Jeonbuk Province))

  • 장남정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1권7호
    • /
    • pp.565-572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지자체 차원의 기후변화협약 대응을 위해 전라북도를 사례로 온실가스 인벤토리를 구축하고 그 결과에 따라 온실가스 저감전략 기본방향을 수립하였다. 전라북도 온실가스 배출원 분류체계는 대한민국 제3차 국가보고서의 배출원 분류 체계에 따랐으며, 제3차 국가보고서는'Revised IPCC 1996GL'을 기초로 작성되었다. 국가의 경우 에너지 공급 측면의 1차에너지를 기준으로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이 가능하지만, 지역의 경우 전환부문에 대한 통제가 불가능하므로 에너지 소비 측면의 2차 에너지를 기준으로 배출량을 산정하였다(지역 전력사용은 에너지 산업부문으로 포함). 전라북도 온실가스 인벤토리 구축결과 2006년 총배출량 중 에너지 연소에 의한 이산화탄소($CO_2$)가 87.1%로 가장 많았으며, 메탄($CH_4$) 8.1%, 기타 부문 이산화탄소 ($CO_2$) 2.2%, 아산화질소($N_2O$) 1.6%, F-가스(HFCs, PFCs, $SF_6$)는 1.0%를 차지하였다. 2006년 총배출량은 에너지(88.0%), 농업(7.6%), 폐기물(2.3%), 산업공정(2.1%) 부문 순으로 배출비중이 높았으며, 에너지 부문은 전력을 포함한 에너지산업, 제조업 및 건설업, 수송, 광업/농림어업/가정상업/공공기타 순으로 발생량이 많았다. 2006년 총배출량 중 산업공정 부문은 F-가스 (HFCs, PFCs, $SF_6$)소비, 농업 부문은 벼논경작, 폐기물 부문은 소각에 의한 온실가스 배출비중이 높은 특성을 보였다. 본 연구에서는 전라북도 각 부문별 특성을 분석하여 부문별 온실가스 저감을 위한 기본방향을 수립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