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2형 당뇨

Search Result 607, Processing Time 0.03 seconds

Diabete Care: Healthy Life - 신장합병증을 동반한 당뇨환자의 교육

  • Kim, Seon-Yeong
    • The Monthly Diabetes
    • /
    • s.287
    • /
    • pp.38-43
    • /
    • 2013
  • 당뇨병성 신장 합병증은 신부전의 가장 흔한 원인 질환으로써, 20년 이상 경과한 제1형 당뇨병 환자의 40-50%에서 유발되며 제2형 당뇨병 환자에서 10~15%정도로 1형에 비해 유병률이 낮아 보이지만 제2형 당뇨병의 빈도가 훨씬 높으므로 혈액 투석을 받는 당뇨병 환자의 절반이상은 제2형 당뇨병 환자이다.

  • PDF

Interrelationship of Matrix Metalloproteinase and $TNF-{\alpha}$ in Human Gingiva with Chronic Periodontitis associated to Type 2 Diabetes Mellitus (단순 만성 치주염 환자 및 2형 당뇨병을 가진 만성 치주염 환자의 치은조직에서 Matrix Metalloproteinase와 $TNF-{\alpha}$ 의 발현 양상 비교)

  • Kim, Doe-Heun;Park, Eei-Kyun;Shin, Hong-In;Cho, Je-Yeol;Suh, Jo-Young;Lee, Jae-Mok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v.36 no.2
    • /
    • pp.409-425
    • /
    • 2006
  • 치주질환의 병원균은 세포벽의 항원에 의하여 조직내 존재하는 mononuclear phagocytes가 활성화되어 cytokine들이 생성됨 으로써 치주 결체조직의 파괴를 진행시킨다. 이런 관련된 cytokine들은 순차적으로 상주하는 치은세포 및 대식세포가 Matrix metalloproteinase 합성을 하도록 유도하여 조직파괴를 시작한다. 이들 Matrix metalloproteinase중 MMP-2, MMP-9 (Gelatinase A,B)는 type IV collagen 및 변성된 interstitial collagen을 파괴하며 치주환자의 치은 열구액, 치은조직, 타액 네에서 높게 보고 되어왔다. 당뇨병은 치주질환의 위험요소중 하나로 달뇨 환자에서는 치주질환의 유병율이 일반인에 비해 높고 치주질환의 중증도도 더 심하여 진행도 빠르다고 알려져 있다. 그 병리 기전 중 하나로는 당뇨 환자에서는 치은 열구액 내 중성구 유래의 Matrix metalloproteinase의 활성 증가 및$TNF-{\alpha}$ 의 활성 증가가 추정되고 있다. 본 실험에서는 제2형 당뇨병 환자와 비당뇨 환자들에서 만성 치주염 부위의 치은 및 건강한 치은에서 염증매개체 중 하나인 MMP-2, MMP-9 및 $TNF-{\alpha}$ 의 발현에 대해 상호 비교 분석함으로서 염증, 혈당이 미치는 영향을 밝히고 제 2형 당뇨병 환자에서 심한 치주조직 파괴의 기전을 연구하고자 하였다. 경북대학교병원 치주과 내원환자 중 제2형 당뇨병 환자와 비당뇨 환자들 및 치주질환이 없는 건강인 대조군을 대상으로 여러 가지 환자요소, 임상 치주상태를 기록하고, 전신적으로 건강한 환자의 건강한 부위(n=8,Group 1), 전신적으로 건강한 환자으 만성 치주염 부위(n=8, Group 2), 제2형 당뇨병 환자의 만성 치주염 부위 (n=8,Group 3)에서 각각 변연치은을 채득하고 액화질소에 급속 동결하였다. Western blotting을 이용하여 각 조직 내 MMP-2, MMP-9 및 $TNF-{\alpha}$ 의 발현을 관찰, densitometer를 이용하여 상대적 발현을 정량, 각 조직의${\beta}-actin$을 이용하여 표준화하여 실험군과 대조군들의 평균치를 비교하였다. 비당뇨 환자들의 만성 치주염 부위 및 제2형 당뇨병 환자의 만성 치주염 부위에서 모두 건강 대조군에 비해 MMP-2와 MMP-9 의 발현이 증가되었다. 또한 MMP-2와 MMP-9는 2형 당뇨 환자의 만성 치주염 부위가 비당뇨 환자의 만성 치주염 부위보다 증가된 발현양상을 보였으며, $TNF-{\alpha}$ 발현 비교시 각 군간 유의성 있는 변화는 없었으나 2형 당뇨환자군에서 MMP-2 및 MMP-9의 증가와 함께 다소 증가 양상을 보였다. 결론적으로 본 실험에서 MMP-2 및 MMP-9의 증가가 만성 치주염 및 2형 당뇨 환자에서의 만성치주염에서 비당뇨환자 보다 MMP-2, MMP-9의 증가양상을 보여 주었으며 $TNF-{\alpha}$ 가 2형 당뇨환자의 만성치주염 진행과정에 기여인자로써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당뇨와 임신 - 임신성 당뇨병 치료와 관리 _고혈당이 태아와 임신부에게 미치는 영향

  • 사단법인 한국당뇨협회
    • The Monthly Diabetes
    • /
    • s.256
    • /
    • pp.60-61
    • /
    • 2011
  • 당뇨병으로 인한 태아의 위험은 당뇨병의 유전요인보다는 임신부의 대사 장애에 의한 것으로 당뇨병 형태에 따른 태아의 위험 차이는 없는 것으로 추축할 수 있다. 그러나 제 1형 당뇨병임신부는 케톤산혈증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고 케톤산 혈증이 발생하면 태아 사망의 가능성도 높아진다. 또 제 1형 당뇨병임신부는 당뇨병성 혈관합병증이 동반될 가능성이 많아 자기의 주 수 보다 체중이 미달되는 경우와 조산 및 임신 중 고혈압질환이 발생할 위험성이 높아진다. 제 2형 당뇨병임산부는 임신부가 비만일 경우 거대아 출산 및 임신 중 고혈압질환이 발생할 위험이 높아진다. 그러나 대부분의 합병증은 임신 전과 임신기간 동안 양호한 혈당조절로 감소시킬 수 있다.

  • PDF

Diabetes Self-management According to the DISC Personality Type and Diabetes-related Distress in Older Adults with Type 2 Diabetes (제2형 당뇨병 노인의 성격유형과 당뇨병 관련 스트레스에 따른 당뇨병 자기관리 행위)

  • Lee, Soo Jin;Song, Misoon
    • 한국노년학
    • /
    • v.34 no.2
    • /
    • pp.229-246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differences in the personality type, diabetes-related distress, and diabetes self-management among older adults with type 2 diabetes. The data of 180 older adults was collected at S Senior Center from between August 14 and October 14, 2012.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elf-management between individual personality types(p<.001). The self-management level was lower in the dominance personality type than in the steadiness and conscientiousness types. In particular, foot care subunit self-management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dominance personality than in the other personality types(p<.001). Moreover, dominance personality was the most important factors influencing diabetes self-management negatively. Using hypoglycemic agent and drinking also influence on diabetes self-management negatively(modified R2=16%). Therefore, when we provide intervention to the older adults with type 2 diabetes, we should consider their personality type and check whether using hypoglycemic agent and drinking alcohol or not. Furthermore, we need to develop intervention program focus on the older adults with dominance personality type, using hypoglycemic agent and having drinking behavior.

당뇨병에 좋은 운동

  • Yang, Yun-Jun
    • The Monthly Diabetes
    • /
    • s.208
    • /
    • pp.18-20
    • /
    • 2007
  • 당뇨병 치료 방법은 식사조절, 운동, 교육, 약물치료, 인슐린 주사 등이다. 운동은 당뇨 치료의 기본이다. 성인 당뇨병환자의 대부분인 제 2형 당뇨병에서 운동은 혈당을 낮추며, 체중을 감소시키고, 체내 지방질을 좋아지게 하며, 심장.혈관.신경계 및 망막 합병증을 감소시킨다. 인슐린 주사를 반드시 맞아야 하는 제 1형 당뇨병환자가 운동을 하면 인슐린 주사를 줄이거나 맞지 않을 수 있다.

  • PDF

특집 - 당뇨병의 맞춤형 치료법이란?

  • Hong, Ji-Yeong
    • The Monthly Diabetes
    • /
    • s.212
    • /
    • pp.10-12
    • /
    • 2007
  • 당뇨병 맞춤 치료는 포괄적이고 과학적인 증거에 의해 당뇨병환자에게 각자 맞는 치료 관리 방법을 적용하는 것이다. 당뇨병 전문의들은 혈당치를 기준으로 환자들의 치료방법을 선택하고 인슐린의 분비상태와 효과에 대한 평가를 하지 않는 기존의 당뇨병 치료 모형을 보완하고, 한국인 당뇨병의 특성에 적합한 제 2형 당뇨병의 치료 모형을 개발하고자 시도해 왔다.

  • PDF

운동요법을 통한 당뇨병 환자의 고혈압치료

  • 양윤준
    • The Monthly Diabetes
    • /
    • s.151
    • /
    • pp.26-27
    • /
    • 2002
  • 성인 당뇨병 환자의 대부분인 제 2형 당뇨병에서 운동은 혈당을 낮추며, 혈압을 저하시키며, 체중을 감소시키고, 체내 지방질을 좋아지게 하며, 심장$\cdot$혈관$\cdot$신경계 및 망막합병증을 감소시킨다. 또 인슐린 감수성을 증가시키고 당화혈색소를 10$\~$20$\%$ 감소시키는 등 당뇨병의 근원적 치료에 기여한다. 또 인슐린 주사를 맞아야 하는 제 1형 당뇨병 환자가 운동을 하면 인슐린 주사를 줄이거나 맞지 않을 수 있다.

  • PDF

Clinical Characteristics of Type 2 Diabetes in Children and Adolescents (소아 및 청소년 2형 당뇨병의 임상적 특징)

  • Lee, Seong Yong;Shin, Choong Ho;Yang, Sei Won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v.45 no.6
    • /
    • pp.754-763
    • /
    • 2002
  • Purpose : The incidence of type 2 diabetes in children and adolescents has been reported to increase recently.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linical features of type 2 diabetes developing during childhood and adolescent period. Methods : The medical records of 33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were reviewed. We analysed clinical manifestations, demographic data, and modes and responses of treatment. Results : Age at diagnosis was $13.4{\pm}1.8$ years. Seventy percent of patients revealed pubertal signs at diagnosis. Half of the patients had BMI more than $25kg/m^2$. Seventy-three percent of patients had family history of type 2 diabetes. Acanthosis nigricans were found in 18% of patients. Nineteen(57.6%) patients were diagnosed incidentally by random urine or blood glucose test without any typical diabetic symptom or sign. The modes of therapy to control hyperglycemia were insulin alone(75.8%), oral hypoglycemic agents alone(9.1%), insulin and oral hypoglycemia agents(9.1%), and only diet with exercise(6%). At the time of investigation, 45.5% of patients were not using insulin. The typical diabetic symptoms at diagnosis were more prevalent in patients who required insulin for more than two years than patients who did not(P<0.05). Conclusion : The development of type 2 diabetes in children and adolescents is possibly related to puberty, obesity, family history, and defects in insulin secretion rather than insulin resistance. Many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type 2 diabetes required insulin initially and some of them could discontinue. More than half of the patients were diagnosed as diabetes without any typical symptom or sign, which might be one of the predictive factors of the prolonged insulin requirement.

The Study on the Perception of Self-Regulation in Diabetic Patients (당뇨병 환자의 자기조절 인식에 관한 연구)

  • Han, Hye-Sook;Bae, Sun-Hee;Park, Young-S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1.01a
    • /
    • pp.107-109
    • /
    • 2021
  • 본 연구는 당뇨병 환자의 자기조절에 대한 주관적 유형과 특성을 분석하고자 시도되었으며, 당뇨병 환자의 주관성을 연구하는데 효과적인 Q방법론을 적용하였다. 대상자는 제2형 당뇨병을 진단받은 사람으로서 경구약이나 인슐린 주사로 치료받고 있으나 현재는 입원한 싱태가 아닌 사람 38명으로 구성하였으며, Q표본 40개의 진술문을 가장 부정(-4)에서 가장 긍정(+4) 범위의 9점 척도 상에 분류하도록 하였다. Q분류된 자료는 QUANL PC program을 이용하여 주요인분석(principal component factor analysis)과 배리맥스 회전(varimax rotation)을 통해 Q 요인분석이 행해졌다. 분석결과 당뇨병환자 자기조절에 대학여 제 1유형은 근거기반 순응형, 제2유형은 위기의식 자립거부형, 제3유형은 정보기반 관계지향형, 제4유형은 자기신뢰 실천형, 제5유형은 주관적 결핍 기반 반응 행동형으로 5가지 유형의 관점을 보여주었다. 따라서 당뇨병 환자 효율적 관리방법을 위해 당뇨병 환자의 질병 관리의 부정적 행위 성향을 이해하고, 당뇨지식 교육, 당뇨관리 정보 및 긍정적 심리를 통한 자기조절 프로그램을 개발 할 필요가 있다.

  • PDF

성인형(제2형)당뇨병은 문화병인가?

  • Yu, Hyeong-Jun
    • 건강소식
    • /
    • v.10 no.12 s.97
    • /
    • pp.30-33
    • /
    • 1986
  • 유전적으로 당뇨병이 될 소질이 있어도 스트레스,무절제등의 환경요인이 덧붙지 않으면 평생을 당뇨병을 모르고 지내게 되는데,문화의 발달에 따라 그러한 환경요인들은 보다 자주,보다 강하게 밀려오고 있어,당뇨병은 문화의 발달에 따라 그 빈도가 늘고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