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2차 효과

Search Result 5,393, Processing Time 0.047 seconds

The Design Guideline of Passing Lanes on Two-Lane Highways (2차로 고속도로 양보차로 설계 기준)

  • 최병국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16 no.3
    • /
    • pp.73-79
    • /
    • 1998
  • 2차로 도로에서 양보 차로를 설치하면 고속차량이 저속차량을 추월할 수 있는 공 간을 제공하여 도로를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안전사고를 감소시키는 데도 큰 효과가 있다. 우리 나라에서는 양보 차로가 설치된 예가 없기 때문에 TWOPAS simulation model을 우리 나라 조건에 맞도록 수정한 TWOPASK1을 이용하여 양보 차로의 운영효과를 평가하였다. 효과 척도로는 현재 도로용량편람 2차로 도로의 서비스수준 평가에 사용되는 차량군 백분율을 이용하였다. 다양한 유효길이, 양보 차로 길이, 교통량 수준의 총 84 조합의 simulation을 분석한 결과 양보 차로가 있는 경우가 양보 차로가 업는 경우보다 차량군 백분율이 감소하였으며 양보 차로 길이가 길수록 차량군 백분율이 많이 감소하였다. 추천되는 양보차로 길이는 양방향 교통량이 400~1,000대/시일 때 800~1,200m, 1,000~2,000대/시일 대 1,200~2,000m가 적정하며, 2,000대/시 이상일 때는 양보 차로의 효과가 적으며, 이 때는 4차로으로의 확장이 요구된다.

  • PDF

식쌍성들의 광도곡선에 나타나는 색효과

  • 김희수;박흥서
    • Bulletin of the Korean Space Science Society
    • /
    • 1992.10a
    • /
    • pp.22-22
    • /
    • 1992
  • 식쌍성 Algo1과 44i Boo에 대해 각각 두 개의 비교성을 이용하여 광전관측을 수행하여 광도곡선을 얻었다. 색효과는 목적성과 비교성의 색의 차이에 기인한 효과로서 광도곡선상에 체계적인 오차로 남게 된다. 따라서, 자료보정 과정에서 전체 소과계수인 k만으로 보정하게 디면 색효과에 의한 체계적인 오차는 광도곡선상에 그대로 남게 된다. 즉, 쌍성관측에서는 비교성을 목적성과 거의 같은 위치의 것을 택하여 관측하기 때문에 투과 대기량의 차이와 곱해져 등급에 영향을 주는 1차 소광계수에 의한 효과보다는 색의 차에 기인한 2차 소광계수에 의한 효과가 더 크다는 의미이다. 물론 투과 대기량의 크기가 큰 곳에서는 1차 소광계수에 의한 효과도 커지게 된다. Algo1의 경우, 비교성과 점검성을 이용하여 얻은 광도걱선들은 평탄영역에서 이들의 색의 차이 때문에 다르게 나타났으며, 색항을 보정한 결과 두 광도곡선이 거의 유사하게 나타났다. 44i Boo의 경우는 평탄 영역이 거의 보이지 않고, 색에 의한 효과는 광도곡선의 전 영역에 걸쳐 나타났으며, 비교성이 점검성에 비하여 목적성으로부터 더 멀리 떨어진 관계로 k1,k2항이 모두 중요하게 나타났다. 한편, 1,2차 소광 보정 이후에도 날짜에 따라 다른 그림을 보여 준 것은 기기 효과에 기인한 것으로 보여졌으며, 자료에 가장 큰 오차로 기여하는 것은 시간에 따른 대기 상태의 변화이기 때무에 보다 정확한 자료보정을 하기 위해서는 동-서쪽으로 나누어 소광보정을 하는 것이 바람직 할것으로 보여졌다.

  • PDF

Improved Time Delay Difference Estimation for Target Tracking using Doppler Information (도플러 효과의 보상을 통한 시간지연 차의 추정)

  • 염석원;윤동헌;윤동욱;고한석
    •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 /
    • v.17 no.8
    • /
    • pp.25-33
    • /
    • 1998
  • 본 논문에서는 한 쌍의 센서를 이용하여 미지의 수중 음향 신호의 시간지연의 차 (Time Delay Difference)를 추정하고 탐지하는 알고리즘을 다루고 있다. 전형적인 시간지연 차의 최적화 추정 기법은 두 신호의 상관관계(Cross Correlation)에 의한 ML(Maximum likelihood)추정으로 구할 수 있지만, 실제 수중 음향 환경 하에서 시간 지연뿐만 아니라 표 적의 이동에 의하여 발생하는 도플러 효과로 신호의 주파수도 변하게 된다. 이러한 신호 주 파수의 올바른 고려 없이 단순히 두 신호의 시간지연만을 추정하는 방법은 불가피한 에러를 생성하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시시각각 변하는 시간지연의 차를 구하기 위한 준 최적화 기 법인 확률분포 함수의 Recursive Filter에 시간 지연 차와 도플러효과의 2차원 확률분포 함 수를 적용한 추정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관측된 신호의 리샘플링(Resampling)을 통하여 도 플러 효과를 보상한 후 2차원 Conditional likelihood를 구하고 Projection과 Correction 과정 을 통하여 시간지연과 도플러 효과에 대한 사후확률을 구한다. 그리고 이러한 알고리즘을 가상 시나리오에 대한 모의실험을 통하여 평가한다.

  • PDF

Learning-by-doing Effect on Price Determination System in Korea's Emission Trading Scheme (한국 탄소배출권시장 가격결정체계의 학습효과 연구)

  • Son, Donghee;Jeon, Yongil
    • Environmental and Resource Economics Review
    • /
    • v.27 no.4
    • /
    • pp.667-694
    • /
    • 2018
  • We analyze the learning-by-doing effects of the allowance pricing system on the Korea's emission trading scheme. The price of allowance (Korean Allowance Unit) is influenced differently by internal market factors and economic conditions variables in the first (January 2015 to June 2016 ) and the second commitment year(January 2016 to June 2017). The prices and transaction volumes of complementary credits (KCU and KOC) as well as economic conditions variables (such as call rate, exchange rate, stock price)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only for the second commitment year. Thus, the learning-by-doing effect makes the market participation decision on K-ETS market more efficient in the second commitment year, adopting the previous experience and knowledge in the K-ETS market. The factors estimated significantly in both commitment periods include the institutional binary variable for requiring the submission of the emissions verification reports issued both on February and March.

Anti-allergic Effects of Castanea crenata Leaf Tea (밤나무 잎차(茶)의 항알레르기 효과)

  • Choi, Ok-Beom;Kim, Kyung-Man;Yoo, Gyurng-Soo;Park, Keun-Hyung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v.30 no.2
    • /
    • pp.468-471
    • /
    • 1998
  • Regarding the characterstics of allergic diseases, preventive and continuous treatment is desirable, and tea would be the one of the best functional food formula for it. Here we report the development of tea processing method for the leaves of Castnaea crenata. Two forms of Castnaea crenata leaf tea were prepared, non-fermented steaming tea and semi-fermented rolling tea. Anti-allergic actions of Castanea crenata leaf tea were asessed by testing their effects on the degranulation of mast cells. For this, hexosaminidase release (degranulation marker) from RBL-2H3 cells (mast cell line) was used. At the concentration of $300\;{\mu}g/mL$ of the water extract, the degranulation of RBL-2H3 cells were inhibited 50.4% and 35.4% by non-fermented steaming tea and semi-fermented rolling tea, respectively.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tea processing method we developed could provide a valuable resource for the treatment of allergic diseases.

  • PDF

IBD 모체이행항체가 있는 병아리의 생독백신 사용법

  • 서창희
    • KOREAN POULTRY JOURNAL
    • /
    • v.27 no.8 s.310
    • /
    • pp.140-143
    • /
    • 1995
  • 모체이행항체를 가지고 있는 병아리에 IBD백신을 접종할 때에는 다음과 같은 사항을 유의하여 실시한다. -1일령 병아리에 백신을 접종할 때에는 최소한 2번 접종한다. 2차접종은 2-3주령에 실시해야 한다. 우리나라의 경우 병아리의 모체이행할체 수준이 높기 때문에 2주령에 1차접종을 하고 4주령에 2차접종을 하는 것을 권하고 있다. -백신제조용 바이러스는 약독이나 중간독주를 사용해야 한다. 미국의 경우 모체이행항체가가 높은 병아리에 강독으로 제조한 백신을 사용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는 바람직하지 못하다. -농장의 실질적인 위생상태가 백신프로그램의 효과를 증대시키는데 효과가 있다. -항원성이 다른 IBD변이주가 입증된 지역에서는 약독화 시킨 변이주 바이러스를 혼합한 백신의 사용도 고려해 보아야 한다. 다행히 우리나라에서는 IBD변이주 바이러스는 입증된바가 없다.

  • PDF

Impact Analysis of Connected-Automated Driving Services on Urban Roads Using Micro-simulation (미시교통시뮬레이션 기반 도심도로 자율협력주행 서비스 효과 분석)

  • Lee, Ji-yeon;Son, Seung-neo;Park, Ji-hyeok;So, Jaehyun(Jason)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 /
    • v.21 no.1
    • /
    • pp.91-104
    • /
    • 2022
  • The operational design domain (ODD) of autonomous vehicles needs to be expanded on highways and urban roads in light of the substantial commercialization of Level 3 autonomous vehicles. Therefore, this study developed a specific infrastructure autonomous vehicle-based cooperative driving service to ensure the driving safety of autonomous vehicles on city roads. The traffic operation efficiency, safety evaluation, and core evaluation indices for each service were selected and analyzed to study the effect of each service. The result of the analysis confirmed that the traffic operation efficiency and safety of autonomous vehicles were improved through the V2X communication-based autonomous cooperative driving service. On the whole,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in deriving the effect of the autonomous cooperative driving service based on V2X communication on urban roads with interrupting traffic flow.

MPEG Standard for Representation of Sensory Effects (실감효과 재현을 위한 MPEG RoSE 표준화)

  • Ju, Sang-Hyeon
    • Broadcasting and Media Magazine
    • /
    • v.14 no.2
    • /
    • pp.113-122
    • /
    • 2009
  • RoSE(representation of sensory effects)기술은 A/V미디어에서 제공하는 시청각 효과 이외에 바람/향기/진동 등의 실감효과를 팬/발향기/진동의자 등의 다양한 디바이스와 연동시킴으로써 미디어의 실감효과를 극대화하는 기술이다. 2007년 10월 82차 MPEG회의에 처음 제안된 RoSE프레임워크는 SE(sensory effects), USP(user sensory preferences), SDC(sensory device capabilities), SDCom(sensory device commands)의 표준아이템이 상호 연동하는 시스템 구조를 갖는다. 지난 2월 87차 MPEG로잔(Lausanne)미팅에서는 이들을 현실과 가상을 연결하는 인터페이스 표준을 정하는 MPEG-V(ISO/IEC 23005) 프로젝트의 Part 2(control information)와 Part 3(sensory information)으로 분리 배치하고 오는 7월 89차 런던 미팅에서 CD(committee drait)를 목표로 표준화를 진행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XML에 기반한 이들 4개의 표준 아이템 구성을 살펴보고 현재까지 MPEG 에서 진행되어 온 RoSE표준화 과정을 소개한다.

Monitoring and research of NPS pollution priority Management - Jaun district Watershed (자운지구 비점오염원 관리를 위한 모니터링 연구)

  • Park, Byeong Ky;Shin, Jae Young;Lee, Su In;Ju, So Hee;Cho, Joong Da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524-524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홍천 자운지구 고랭지 농업지역을 대상으로 장기간의 유역조사와 하천 모니터링을 통해 관측된 축척 데이터를 이용하여 비점오염저감 효과를 정량화하고 추후 모니터링 자료로서 탁수와 비점오염원 저감시설의 저감효과와 비점오염원의 효율적인 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모니터링 결과 소양호 유역의 오염부하(1차 강우사상) 중 홍천군 자운지구의 유역단위 비점오염 저감효과의 분석에는 강우량과 단위면적당 오염부하를 이용하였으며, 자운천은 SS 5,396,761 kg, COD 82,261 kg, BOD 57,329 kg, T-N 68,711 kg, T-P 3,091 kg이었으며, 오염부하(2차 강우사상)는 SS 320,293 kg, COD 34,588 kg, BOD 22,350 kg, T-N 48,954 kg, T-P 640 kg으로 나타났다. 또한 소양호 유역의 EMC(1차 강우사상) 중 자운천은 SS 829.9 mg/L, COD 12.7 mg/L, BOD 8.8 mg/L, T-N 10.567 mg/L, T-P 0.475 mg/L 이었으며, EMC(2차 강우사상)는 SS 68.6 mg/L, COD 7.4 mg/L, BOD 4.8 mg/L, T-N 10.487 mg/L, T-P 0.137 mg/L로 나타났다. 소양호 유역의 단위면적당 오염부하(1차 강우사상) 중 자운천은 SS 402.0 kg/ha/event, COD 6.1 kg/ha/event, BOD 4.3 kg/ha/event, T-N 5.118 kg/ha/event, T-P 0.230 kg/ha/event 이었으며, 오염부하(2차 강우사상)는 SS 23.9 kg/ha/event, COD 2.6 kg/ha/event, BOD 1.7 kg/ha/event, T-N 3.646 kg/ha/event, T-P 0.048 kg/ha/event로 나타났다. 오염부하에서는 1차 강우에 비해 2차 강우에서는 SS 5,076,468 mg/L, COD 47,673 mg/L, BOD 34,979 mg/L, T-N 19,757 mg/L, T-P 2451 mg/L로 1차 강우사상에 비해 오염부하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EMC에서는 1차 강우에 비해 2차 강우에서는 SS 761.3 mg/L, COD 5.3 mg/L, BOD 4.0 mg/L, T-N 0.080 mg/L, T-P 0.338 mg/L로 1차 강우사상에 비해 EMC가 저감되었다. 단위면적당 오염부하는 1차 강우에 비해 2차 강우에서는 SS 378.1 mg/L, COD 3.5 mg/L, BOD 2.6 mg/L, T-N 1.472 mg/L, T-P 0.182 mg/L로 1차 강우사상에 비해 EMC가 저감되었다. 강우량과 강우강도 그리고 영농활동의 시기에 따른 EMC와 단위면적당 오염부하는 큰 차이를 보였으며, 예년에 비해 적은 강수량으로 인해 탁수와 비점오염부하의 배출이 상대적으로 적었던 것으로 판단된다. 소양호 유역과 같은 넓은 유역에서 시행되는 비점오염원의 저감연구는 오랜 시간 동안 자료를 축적해야 유의미한 평가가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장기적이고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한 유량 데이터 자료구축과 수질분석뿐만 아니라, 발생되는 비점오염 물질의 관리를 위한 체계적인 연구가 지속되어야하며, 아울러 농민의 인식도 변화 등을 포함하는 많은 인자들을 정밀히 조사하고 다각도로 분석하여 저감효과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 PDF

Effects of Climatic Elements on Soybean Yields (콩의 수량에 영향을 미치는 기상요소 평가)

  • E-Hun Kim
    •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 /
    • v.37 no.4
    • /
    • pp.320-328
    • /
    • 1992
  • The soybean yield forcasting models based on climatic elements in six locations were estimated by the STEPWISE/MAXR, Cp statistics and GLM procedure of SAS. The climatic elements were aerial temperature, sunshine hours and precipitation from May to October in 20 years. The investigated six locations were Chunchon, Suwon, Cheongju, Kwangju, Iri and Jinju. The important climatic elements for main effects in Chunchon model were August sunshine hours-linear term, August precipitation-quadratic. June temperature to August precipitation and May temperature to August precipitation were interaction terms. The quadratic August precipitation was assumed to be related to yield in Chunchon. The main effects of Suwon were linear-June temperature, quadratic June sunshine hours and June precipitation. These terms affected yields negatively. The main effects of Cheongju were linear June temperature and quadratic August precipitation. May temperature to June precipitation, July to August precipitations were interactions. The main effects of Kwangju were linear July precipitation, quadratic June temperature and July precipitation. June to July sunshine hours of interaction terms influenced yield negatively. The main effects of Iri were linear May sunshine hours, quadratic May and July sunshine hours. May temperature to May precipitation and June to July precipitations affected yields negatively. The main effects of Jinju were linear June and August precipitations. August temperature to August sunshine hours, June sunshine hours to July precipitation and June to August precipitation were interactions. In linear terms, June and August precipitations and, in interactions, August to August sunshine hours were negative efficacies respectively. The included year variables in Chunchon, Suwon, Kwangju, and Jinju model building were recognized as a linear trend based on an assumption that the technological factors have improved through time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