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2차 투수지수

Search Result 14, Processing Time 0.023 seconds

Studies on Deacidification of Citrus Fruit and Juice for Juice Products by Heating Treatment and Electrodialysis (열처리 및 전기투석에 의한 초기수확 밀감의 탈산에 관한 연구)

  • Ko Won-Joon;Yang Min-Ho;Kang Yeung-Joo
    • Food Science and Preservation
    • /
    • v.13 no.2
    • /
    • pp.144-153
    • /
    • 2006
  • The effects on deacidification of citrus fruits produced at early harvesting season for juice products were examined by heating treatment of raw fruits and electrodialysis of juice. Weight and total acidities were decreased by heating treatment for 40 hr at $25^{\circ}C,\;30^{\circ}C,\;35^{\circ}C\;and\;40^{\circ}C$, but $^{\circ}Brix$ and pH increased Sugar to acid ratio also increased. Total acidities were decreased from 1.25 (Oct30, 2004), 1.24 (Nov.5, 2004), 0.99 (Nov.13, 2004) and 0.98% (Nov.19, 2004) to 0.48 (Oct30, 2004), 0.51 (Nov.05, 2004), 0.37 (Nov.13, 2004) and 0.42% (Nov.19, 2004) by electrodialysis for 100 min respectively, and $^{\circ}Brix$ also slightly decreased, but solid to acid ratio was increased as a result. However pH and color remained almost unchanged by electodialysis. Also, free sugar contents of citrus juice little were changed, but organic acid content were decreased fairly. Narirutin and hesperidin content among flavonoids were slightly decreased by electrodialysis, but they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K^+,\;PO_4^{2-},\;SO_4^{2-}\;and\;Cl^-$ content were decreased by electrodialysis, and $K^+$ contents decreased by more than 80% However, $Na^+$ consent was increased by about 2 times. Total polyphenol contents and electron donating abilities were decreased a little by electrodialysis but nitrite scavenging abilities were little changed. By acceptability test citrus juice prepared by electrodialysis for 100 min was superior to original citrus juice.

Development of Real-time Inflow Forecasting Models for Securing Reservoir Conservation Storage (이수용량 확보를 위한 실시간 저수지 유입량 예측모형의 개발)

  • Jang, Su-Hyung;Yoon, Jae-Young;Ahn, Jae-Hyun;Kim, Won-Seock;Yoon, Yong-Nam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5.05b
    • /
    • pp.821-825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홍수조절 용 저수지의 예비방류 시행을 충분히 효과적으로 시행하고 강우종료 후에도 충분한 이수용량이 확보되도록 실시간 강우자료를 이용한 저수지 유입량 예측모형을 개발하였다. 사전예보(기상청 등)에 의한 총 예상강우량과 선행강우량, 현재 저수지 수위를 입력자료로 저수지 유입 총량과 수위변화량을 계산하여 홍수조절 응 저수지의 초기수위저하 및 하류 하도의 홍수방어를 사전에 대비할 수 있는 자료를 제시하였다. 또한, 유역을 하나의 통합시스템으로 구성하고 실제 강우가 시작되면 매시간 현시간 이후 강우가 중단된다는 가정 하에 현시점까지의 우량주상도를 통합시스템에 적용하여 이후 저수지 유입량을 예측하였다. 무한천 예당저수지에 적용하였으며 통합시스템의 구성은 저수지유역을 10개 소유역으로 분할하고 소유역별 홍수유출량은 Clark의 유역추적법, 하도구간은 Muskingum의 하도홍수추적 방법으로 계산되도록 하였다. 그리고 홍수유출시스템 내에는 강우관측소별 티센가중치에 따라 소유역별 평균강우량이 자동으로 입력되도록 하였으며, 예측정확도를 위해 현시간 이전까지 매시간마다 저수지의 수위변동과 실제 방류량으로부터 실측유입량을 산정하여 모형의 매개변수가 자동 보정되도록 하였다. 1995년 8월 23일$\~$8월 26일과 1999년 8월 2일$\~$8월 4일의 집중호우에 대하여 적용한 결과 모형의 예측정확도는 신뢰수준에 있었으며, 이와 같은 자료는 장수형 등(2005)이 제시한 효율적 저수지 운영관리 시스템과 하나로 통합되어 하류 하도의 통수능력을 고려한 홍수방어능력을 극대화한 예비방류의 시행과 강우종료 후에도 이수용량에는 손실이 없는 저수지의 관리방안의 지침이 되는데 효율적이라 판단되었다. 방법을 개발하여 개선시킬 필요성이 있다.>$4.3\%$로 가장 근접한 결과를 나타내었으며, 총 유출량에서도 각각 $7.8\%,\;13.2\%$의 오차율을 가지는 것으로 분석되어 타 모형에 비해 실유량과의 차가 가장 적은 것으로 모의되었다. 향후 도시유출을 모의하는 데 가장 근사한 유출량을 산정할 수 있는 근거가 될 것이며, 도시재해 저감대책을 수립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로 판단되는 대안들을 제시하는 예비타당성(Prefeasibility) 계획을 수립하였다. 이렇게 제시된 계획은 향후 과학적인 분석(세부평가방법)을 통해 대안을 평가하고 구체적인 타당성(feasibility) 계획을 수립하는데 토대가 될 것이다.{0.11R(mm)}(r^2=0.69)$로 나타났다. 이는 토양의 투수특성에 따라 강우량 증가에 비례하여 점증하는 침투수와 구분되는 현상이었다. 경사와 토양이 같은 조건에서 나지의 경우 역시 $Ro_{B10}(mm)=20.3e^{0.08R(mm)(r^2=0.84)$로 지수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유거수량은 토성별로 양토를 1.0으로 기준할 때 사양토가 0.86으로 가장 작았고, 식양토 1.09, 식토 1.15로 평가되어 침투수에 비해 토성별 차이가 크게 나타났다. 이는 토성이 세립질일 수록 유거수의 저항이 작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경사에 따라서는 경사도가 증가할수록 증가하였으며 $10\% 경사일 때를 기준으로 $Ro(mm)=Ro_{10}{\times}0.797{\times}e^{-0.021s(\%)}$로 나타났다.천성 승모판 폐쇄 부전등을 초래하는 심각한 선천성 심질환이다. 그러나 진단 즉시 직접 좌

  • PDF

Improvement of Flood Forecasting System in the Nakdong River (낙동강홍수예보시스템 개선)

  • Yoon, Kwang-Seok;Lee, Min-Ho;Lee, Byung-S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5.05b
    • /
    • pp.806-810
    • /
    • 2005
  • 홍수로 인한 국민의 재산과 인명피해를 방지 또는 최소화하기 위한 방법으로 주요지점을 선정하여 홍수예보를 수행하고 있다. 이러한 홍수예보는 초기 강우법, 수위법 등의 단순한 방법으로 수행되었으나, 컴퓨터가 발달되면서 여러 형태의 홍수유출모형이 개발되어 현재에는 홍수유출모형을 이용한 홍수예보를 수행하고 있다. 낙동강홍수예보 시스템은 1987년 낙동강홍수통제소의 개소시 42개소의 수위관측소와 54개소의 우량관측소를 중심으로 43개 소유역을 구분하고 티센망을 구성하여 홍수예보시스템을 구축하였다. 홍수예보시스템이 구축된 후 여러 차례의 매개변수 개선과정을 거쳐 운용하고 있다. 반면, 지속적인 수문관측소의 증설이 이루어졌으나 이를 모형에 반영하지 않아 증설된 수위관측소를 반영하여 114개 소유역으로 구분하고 추가된 우량관측소를 이용하여 티센망을 구성하였으며, 당초 반영되지 않았던 소규모댐을 모형에 추가하여 예측의 정확도를 재고하였다. 증설된 수문관측소를 모형에 반영과 함께 우량자료의 신뢰성 및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한 우량관측소의 확장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행한 낙동강홍수예보 시스템의 소유역을 114개로 나누고 기존의 유효우량산정법, 유역유출모형 하도유출모형의 매개변수를 전통적인 방법으로 재산정하여 홍수기에 적용한 결과 당초의 홍수예보시스템으로 예측한 결과보다 소유역의 적절하게 재구성하는 것으로도 예측의 정밀도가 개선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소유역의 수와 하도의 수가 증가하면서 발생하는 오차를 감소시킬 필요성이 있으며, 이는 지속적인 시스템의 운용을 통하여 모형구성을 개선함으로서 어느 정도 개선될 것으로 판단된다. 그밖에 기존의 매개변수산정을 전통적인 방법에서 우리나라 하천 또는 낙동강유역의 하천에 적당한 방법을 개발하여 개선시킬 필요성이 있다.>$4.3\%$로 가장 근접한 결과를 나타내었으며, 총 유출량에서도 각각 $7.8\%,\;13.2\%$의 오차율을 가지는 것으로 분석되어 타 모형에 비해 실유량과의 차가 가장 적은 것으로 모의되었다. 향후 도시유출을 모의하는 데 가장 근사한 유출량을 산정할 수 있는 근거가 될 것이며, 도시재해 저감대책을 수립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로 판단되는 대안들을 제시하는 예비타당성(Prefeasibility) 계획을 수립하였다. 이렇게 제시된 계획은 향후 과학적인 분석(세부평가방법)을 통해 대안을 평가하고 구체적인 타당성(feasibility) 계획을 수립하는데 토대가 될 것이다.{0.11R(mm)}(r^2=0.69)$로 나타났다. 이는 토양의 투수특성에 따라 강우량 증가에 비례하여 점증하는 침투수와 구분되는 현상이었다. 경사와 토양이 같은 조건에서 나지의 경우 역시 $Ro_{B10}(mm)=20.3e^{0.08R(mm)(r^2=0.84)$로 지수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유거수량은 토성별로 양토를 1.0으로 기준할 때 사양토가 0.86으로 가장 작았고, 식양토 1.09, 식토 1.15로 평가되어 침투수에 비해 토성별 차이가 크게 나타났다. 이는 토성이 세립질일 수록 유거수의 저항이 작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경사에 따라서는 경사도가 증가할수록 증가하였으며 $10\% 경사일 때를 기준으로 $Ro(mm)=Ro_{10}{\times}0.797{\times}e^{-0.021s(\%)}$로 나타났다.천성 승모판 폐쇄 부전등을 초래하는 심각한 선천성 심질환이다. 그러나 진단 즉시 직접 좌관상동맥-대동맥 이식술로 수술적 교정을 해줌으로써 좋은 성적을 기대할 수 있음을 보

  • PDF

Effects of Well Parameters Analysis Techniques on Evaluation of Well Efficiency in Step-Drawdown Test (단계양수시험 해석시 우물상수 산정 방법이 우물효율에 미치는 영향)

  • Chung, Sang-Yong;Kim, Byung-Woo;Kim, Gyoo-Bum;Kweon, Hae-Woo
    • The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 /
    • v.19 no.1
    • /
    • pp.71-79
    • /
    • 2009
  • Step-drawdown tests were conducted at four pumping Wells, two in porous media and two in fractured rocks, respectively. In general, P = 2.0 suggested by Jacob (1947) is applied to porous media and fractured rocks in terms of drawdowns of step-drawdown test. In an attempt to review problems of linear model (Jacob's graphic method) in interpreting the step-draw down test, the outcomes of well parameters (aquifer loss coefficient (B), well loss coefficient (C) and well loss exponent (P)) calculated from linear and nonlinear model (Labadie and Helweg's least-squares method) were compared and analyzed. The values of C and P calculated from linear and nonlinear models differed according to permeability of aquifer and the conditions of pumping well. The value C obtained from nonlinear models in porous media and fractured rocks is about $10^0{\sim}10^{-2}$ and $10^{-3}{\sim}10^{-6}$ times lower than in their linear models, respectively. The value P of porous media obtained from nonlinear model ranged from 2.123 to 2.775, while it ranged from 3.459 to 5.635 for fractured rocks. In case of nonlinear model, well loss highly depends on the value P. At this time, well efficiencies calculated from linear and nonlinear models were $1.56{\sim}14.89%$ for porous media and $8.73{\sim}24.71%$ for fractured rocks, showing a significant error according to chosen models. In nonlinear model, it was found that the regression analysis using the least squares method was very useful to interpret step-drawdown test in all aquif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