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2차 에어로졸

Search Result 33, Processing Time 0.06 seconds

Indoor Smog Chamber Study III: Effect of Initial Particle Size Distribution on the Formation and Growth of Secondary Aerosols (실내 스모그 챔버 연구 III: 초기 대기 에어로졸의 입경분포가 2차 에어로졸 생성 및 성장에 미치는 영향)

  • 박주연;배귀남;김민철;김용표;문길주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2.11a
    • /
    • pp.391-392
    • /
    • 2002
  • 대기 중에는 오염원으로부터 직접 배출된 1차 에어로졸과 광화학 반응 등에 의해 가스가 입자로 변환되어 생긴 2차 에어로졸이 존재한다. 2차 에어로졸의 생성과정을 규명하기 위하여 스모그 챔버 연구가 많이 수행되고 있다. 본 연구팀에서도 대기를 실내 스모그 챔버에 도입하여 광화학 반응에 의한 2차 에어로졸의 생성 및 성장과정을 규명하는 실험을 수행하고 있다 (박주연 등, 2002). (중략)

  • PDF

Study on Aerosol Density Measurement Using a Diode Laser (반도체 레이저를 이용한 에어로졸의 밀도 측정 연구)

  • 김덕현;차형기;신은철;연규황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1.11a
    • /
    • pp.259-260
    • /
    • 2001
  • 최근 들어 대기오염 연구, 클린룸 및 실내환경 연구, 신물질 제조, 그리고 호흡기 관련 입자 연구 등 여러 산업 분야에서 에어로졸에 대한 관심이 증가되고 있다. 특히 에어로졸의 크기별 밀도분포는 산업 및 국빈 보건 분야에서 매우 중요한 환경 인자로 취급되고 있다. 외국의 경우$^{1.2}$ 레이저나 다른 광원을 이용한 에어로졸 크기 측정연구는 60년대부터 활발히 진행되어 상용화되어 있으나 국내에서는 이에 대한 연구가 아직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반도체 레이저를 이용하여 0.2$\mu\textrm{m}$에서 10$\mu\textrm{m}$ 내의 입자에 대한 크기별 밀도 측정을 다루었다. (중략)

  • PDF

Atmospheric Aerosol Monitoring Over Northeast Asia During 2001 from MODIS and TOMS data (MODIS와 TOMS자료를 이용한 2001년 동북아시아 지역의 대기 에어로졸 모니터링)

  • 이권호;홍천상;김영준
    •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 /
    • v.20 no.2
    • /
    • pp.77-89
    • /
    • 2004
  • The spatial and temporal variations of aerosol optical depth (AOD) over Northeast Asia regions have special importance in the aerosol research for estimation of aerosol radiative forcing parameters and climate change. Aerosol optical and physical properties (AOD and ${\AA}$ngstrom parameter) have been investigated by using Moderate Resolution Imaging Spectroradiometer (MODIS) and Total Ozone Mapping Spectrometer (TOMS) Aerosol Index (AI) to estimate aerosol characteristics over the study region during 2001. Additionally, aerosol characteristics over the Korean peninsular during Aerosol Characteristic Experiment in Asia (ACE-Asia) Intensive Observation Period (IOP) have been investigated by using satellite observation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daily-observed aerosol data indicate seasonal variations with relatively higher aerosol loading in the spring and very low during the winter. The typical Asian dust case showed higher AOD (>0.7) with lower Angstrom exponent (<0.5) and higher AI (>0.5) that is mainly due to the composition of coarse particles in the springtime. Mean AOD for 2001 at 4 different places showed 0.65$\pm$0.37 at Beijing, 0.31$\pm$0.19 at Gosan, 0.54$\pm$0.26 at Seoul, and 0.38$\pm$0.19 at Kwangju, respectively. An interesting result was found in the present study that polluted aerosol events with small size dominated-aerosol loading around the Korean peninsular are sometimes observed. The origin of these polluted aerosols was thought to East China. Aerosol distribution from satellite images and trajectory results shows the proof of aerosol transport. Therefore, aerosol monitoring using satellite data is very useful.

CMB을 이용한 제주지역 대기중 미세입자의 오염원 규명에 관한 연구

  • 허철구;이기호;양순미
    • Proceedings of the Korean Environmental Sciences Society Conference
    • /
    • 2000.05a
    • /
    • pp.42-44
    • /
    • 2000
  • 1999년 9월부터 2000년 2월까지 제주지역 에어로졸을 대상으로 측정분석된 자료를 토대로 오염원평가를 하고자 CMB모델을 수행하였다. 모델결과 조대입자에서는 자연적인 오염원으로 해염과 토양먼지등의 영향을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고, 미세입자에서는 대체적으로 2차 오염물질의 영향을 많이 받고 있는 것으로 보아 오염물질이 외부에서의 유입, 대기중 오염물질의 장기체류로 인한 2차오염물질의 형성으로 사료된다.

  • PDF

$Al_2O_3$-PTFE Composite Thick Films Using Aerosol Deposition and Calculation of $Al_2O_3$ Contents

  • Kim, Hyeong-Jun;Kim, Yun-Hyeon;Nam, Song-M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0.02a
    • /
    • pp.112-112
    • /
    • 2010
  • 최근 세라믹스의 고온소결과정 없이 상온 후막제조가 가능한 에어로졸 데포지션법이 개발되어 이를 응용한 다양한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차세대 3차원 초고밀도 집적용연성(flexible)기판재료로서 $Al_2O_3$-PTFE(polytetrafluoroethylene) 복합체를 에어로졸 데포지션을 이용하여 상온제조 하였으며, 제조된 복합체 내의 $Al_2O_3$ 함량계산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제조된 복합체는 기존의 세라믹만의 $Al_2O_3$ 후막에 비하여 PTFE의 첨가로 인한 잔류응력 감소효과가 있음이 확인되었으며 SEM, TEM 등 미세구조 분석을 통하여 충격고화 시 파우더의 미립화감소를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공정의 최적화를 위한 분석 시 중요한 요소인 복합체 내의 세라믹 함량을 간편한 전기적 특성 측정을 통하여 계산하는 방법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를 위하여 이종 물질의 혼합에 관한 이론인 Hashin-Shtrikman bound theory와 3차원 정전장 해석 시뮬레이션을 병행하여 계산의 오차범위를 산출하고 실제 제조된 복합체 내의 $Al_2O_3$ 함량을 5 vol.% 이내의 오차로 측정할 수 있었다.

  • PDF

The Changes of UV-B Radiation at the Surface due to Stratospheric Aerosols (성층권 에어로졸에 의한 지표면 UV-B 복사량 변동)

  • Jai-Ho Oh;Joon-Hee Jung;Jeong-Woo Kim
    • International Union of Geodesy and Geophysics Korean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 /
    • v.21 no.1
    • /
    • pp.31-46
    • /
    • 1993
  • A radiative transfer model with two-stream/delta-Eddington approximation has been developed to calculate the vertical distributions of atmospheric heating rates and radiative fluxes. The performance of the model has been evaluated by comparison with the results of ICRCCM (Intercomparison of radiative codes in climate models). It has been demonstrated that the presented model has a capability to calculate the solar radiation not only accurately but also economically. The characteristics of ultraviolet-B radiation (UV-B; 280-320nm) are examined by comparison of relation between the flux at the top of atmosphere and that at the surface. The relation of UV-B is quadratic due to the strong ozone absorption in this band. Also, the dependence of the UV-B radiation on the stratospheric ozone depletion and stratospheric aerosol haze due to volcanic eruption on the stratospheric ozone depletion and stratospheric aerosol haze due to volcanic eruption has been tested with various solar zenith angles. The surface UV-B increases as the solar zenith angle increases. The existence of stratospheric aerosols causes an increase in the planetary albedo due to the aerosols' backscattering. The planetary albedo with aerosol's effect has been increases as the solar zenith angle is not sensitive. It may be caused by the fact that the aerosols' scattering effect becomes saturated with the relatively long path length in a large solar zenith angle. Finally, the regional impact of stratospheric aerosols due to volcanic eruption on the intensity of UV-B radiation at the surface has been estimated. A direct effect is that the flux is diminished at the low latitudes, while it is enhanced in the high latitudes by the aerosols' photon trap or twilight effect. In the high latitudes, both aerosols' scattering and ozone absorption have strong and opposite impacts to the surface UV-B radiation is located at the mid-latitudes during spring season in both hemispheres.

  • PDF

반도체 및 Optic Industries 클린룸 배기가스의 오염제어 및 청정화기술

  • 황유성
    • Air Cleaning Technology
    • /
    • v.17 no.4 s.67
    • /
    • pp.39-57
    • /
    • 2004
  • 첨단산업으로 불리는 반도체, LCD, PDP, 유기EL(OLED) 등의 생산 공정은 고도의 청정상태를 요구하며, 때문에 이들의 생산공정 중 대부분이 클린룸 내에서 이루어진다. 클린룸 내에서의 주요공정은 크게 박막형성(Layering), 노광(Photo Lithography), 식각(Etching) 등 3가지 공정으로 나눌 수 있으며, 반도체 제조공정의 경우 특별히 도핑(Doping) 공정이 추가된다. 오염물질을 함유하는 클린룸 배기는 일반적으로 산, 알칼리, Toxic(PFCs, Flammable), VOC 등으로 분류하며, 각각의 배기는 각 배기특성에 맞는 오염제어 장치를 통해, 정화된 후, 대기로 방출된다. 산, 알칼리 배기는 일반적으로 최종 단계에서 중앙집중식 습식스크러버에 의해 흡수, 중화 처리되며, VOC의 경우 농축기(Concentrator) & 축열식 열 산화장치(RTO) 설비에 의해 연소 처리된다. 하지만 CVD공정으로부터의 배기가 주를 이루는 Toxic배기의 경우, 다량의 PFCs(과불소화합물) 가스를 함유하고 있는 이유로, 대부분 클린룸 내부에 P.O.U(Point of use) 처리장치가 설치되며, P.O.U에 의해 1차 처리된 후 최종적으로 중앙집중식 습식스크러버를 거쳐 대기로 방출된다. 알칼리배기의 주성분으로는 암모니아($NH_3$), HMDS (Hexa Methyl DiSilazane), TMAH (Tetra Methyl Ammonium Hydroxide), LGL, CD 등이며 흡수액에 황산(Sulfuric Acid)용액을 공급, 중화처리하고 있다. 탄소성분을 먹이로 하는 미생물의 번식에 의한 막힘 문제를 제외하고는 큰 문제가 없다. 하지만 Toxic배기 및 산배기의 경우 처리효율이, 가스흡수 이론에 의한 계산결과와 비교할 때, 매우 저조하게 나타나는 효율부족 현상을 겪고 있으며, 이는 잔여 PFCs 가스성분 및 반응에어로졸, 응축에어로졸 등의 영향으로 추정하고 있다. 최근 Toxic 배기의 경우, P.O.U 설비를 Burn & Wet type으로 변경하여, 배기 중 PFCs 및 반응에 에어로졸($SiO_2$)의 농도를 원천적으로 감소시키는 노력이 진행 중이다. 산배기의 경우, 산결로 현상에 의한, 응축에어로졸이 문제가 되고 있으나 내식열교환기(Anti-Corrosive Heat Exchanger), 하전액적스크러버 시스템(Charged Droplets Scrubber System), Wet ESP(Wet Electrostatic Procipitator) 등의 도입을 통해 문제해결을 위한 노력을 경주하고 있다.

  • PDF

The PM2.5 Emission Source Contribution Analysis using The PMF Model in Urban Area (PMF 모델을 이용한 도심지역 PM2.5 오염원 기여도 분석)

  • Koo, Tai-Wan;Hong, Min-Sun;Moon, Su-Ho;Kim, Ho-Jung
    • Journal of the Korean Applied Science and Technology
    • /
    • v.36 no.3
    • /
    • pp.905-914
    • /
    • 2019
  • In this study, The PMF model was used to identify pollutant sources and their contribution to pollution sources of $PM_{2.5}$. The contribution of A city to each source was 19.8% for Secondary Sulfate, followed by Mobile 19.5%, Industry 16.0%, Biomass Buring 14.1%, Secondary Nitrate 14.1%, Oil Combustion 11.6%, Aged Sea Salt 2.6%, Soil 2.5% and so on. Sulfate and Ammonium concentrations were the highest contributing sources in the source profile, which was analyzed to be Secondary Aerosols produced by Photochemical Reactions of gaseous precursors (SOx and ammonia gas) in the atmosphere.

Effect of PZN addition on microstructure of PZT thick films by aerosol deposition process (에어로졸 증착법에 의한 PZT 후막의 미세구조에 미치는 PZN 첨가의 영향)

  • Jang, Joo-Hee;Park, Yoon-Soo;Park, Dong-Soo;Park, Chan
    • Journal of the Korean Crystal Growth and Crystal Technology
    • /
    • v.28 no.1
    • /
    • pp.14-20
    • /
    • 2018
  • Lead zinc niobate (PZN) added lead zirconate titanate (PZT) thick films with thickness of $5{\sim}10{\mu}m$ were fabricated on silicon and sapphire substrates using aerosol deposition method. The contents of PZN were varied from 0 %, 20 % and 40 %. The initial particles (PZT, 2PZN-8PZT, 4PZN-6PZT) had irregular shape and submicron sizes. The as-deposited film had fairly dense microstructure without any crack, and showed only a perovskite single phase formed with nano-sized grains. The as-deposited films on silicon were annealed at the temperatures of $700^{\circ}C$, and the films deposited on sapphire were annealed at $900^{\circ}C$ in the electrical furnace. The effects of PZN addition on the microstructural evolution were observed using by FE-SEM and HR-T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