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re have been many conflicts in Pyeongtaek-Dangjin Port among central government, metropolitan council, and cities over the jurisdiction of reclaimed port area, an international passenger terminal construction and a bridge between the port and Dangjin area. This study found out two causes for the conflicts in terms of governance. First, the current governance structure of Pyeongtaek-Dangjin port has high levels of conflict and disputes among stakeholder. Second, there is no leading agency which is responsible for the future development of the port. It is very important to decrease the possibility of conflict and to establish leading agency. Measures to decrease the likelihood of conflict include establishment of conflict resolution mechanism, the clarification of the facts and applicable law, mutual exchanges between stakeholder. Measures to establish a leading agency include the introduction of a single governance, establishment of Pyeongtaek-Dangjin Port Authority, central-local combined governance, and empowering PA to do all port management.
사회변혁 과정에서 경쟁우위 확보는 그 시대를 대표하는 기술의 습득과 활용의 정도에 따라 좌우된다. 우리나라의 경우 정보혁명 과정에서 IT기술의 습득과 활용을 위하여 적극적인 노력을 기울인 결과 IT강국이라는 현재의 위치를 확보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최근들어 IT산업이 국가의 경제발전을 지속적으로 선도하여 나가기 위해서는 IT 산업내의 구조적 취약점을 해결해야 한다는 지적과 함께 참여정부에서 시작된 IT39 중심의 산업정책에 대한 비판도 제기되고 있다. 이에 따라 사회변화의 방향을 가늠해 보고 우리 IT산업이 직면한 문제 분석과 이를 토대로 한 새로운 IT R&D 방향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미래사회 변화의 큰 특징은 융합으로 대변된다. 정보처리 기술과 통신기술의 융합으로 시작된 이 흐름은 최근 통방융합이라는 차원을 넘어 이종기술간 및 이종산업간 융합이라는 개념으로 확장 진화되고 있다. 또한, 사회변혁의 패러다임도 지식기반사회에서 융합시대로 급격히 전환되고 있다. 융합이라는 패러다임 변혁의 물결에 편승하기 위해서는 IT기술이 융합시대에서 어떠한 역할을 하고, 어떻게 진화해 갈 것인지를 규명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IT기술은 그동안의 혁신적 발전을 기반으로 여타 기술 및 산업 발전을 견인하는 원천기술로 작용할 것이 확실시 된다. 따라서, 융합시대에서 IT기술은 기존의 독자적 산업영역에 국한되지 않고 새로운 기술과 산업으로 그 응용범위가 대폭 확장됨으로써 기존에 IT가 지녔던 기술적, 산업적 중요 성과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의 의미를 지니게 될 것이다. 융합시대에 대응하여 IT R&D 방향을 검토하는 전략적 의미도 여기에서 찾을 수 있게 된다. 융합시대에서 IT R&D는 IT가 여타 기술 및 산업발전을 위한 원천기술화를 비롯하여 (1) 유비쿼터스 인프라, (2) 디지털 인텔리전스, (3) 융합부품, (4) 메가 컨버전스 등과 같은 4대 동력에 집중할 필요가 있다. IT의 원천기술화 및 4대 동력에의 집중이야말로 융합시대를 슬기롭게 열어가는 '전략적 창(strategic window)‘이 될 것이다.
World Wide Views on Climate and Energy held on 6 June 2015 was a structured citizens' deliberative consultation forum involving 10,000 citizens in 77 countries, and South Korea was one of the participating countries. Citizen participants, selected to reflect the demographic diversity in their countries or regions, were given information beforehand and deliberated for a full day with other citizens and voted on an identical set of questions, designed to reflect policy controversies at the UN COP negotiations to be held in Paris on December 2015. This study, firstly, analyzes the backgrounds and purposes of World Wide Views on Climate and Energy and reports the WWViews event held in Seoul, Korea before examining the theoretical implication of it. And then, this study discusses about the features and opportunities of World Wide Views on Climate and Energy as a way of forming a global deliberative governance by focusing on deliberative democracy, citizen participatory governance, and global citizenship.
ASEAN marking its 50th anniversary in 2017 draws hopes and concerns. There is hope for the full realization of the vision of ASEAN Community since 2015 while there are increasing concerns about the changing internal and external environments. This article reviews the process of ASEAN's community building and its external relations. First, after reviewing institutionalization and functional cooperation in 2016, it argues that there is increasing pressure for the modification of the 'ASEAN Way' mainly due to the recent political changes in some ASEAN member states. Second, this article considers the nature of ASEAN's external relation focusing on continuity rather than change. The tendency of external relations of ASEAN appears to be 'avoiding conflict' and 'status quo' while it concentrates on development cooperation. We argue that such attitude contributes to the unity of ASEAN as it is useful in searching for regional resilience which is a common goal of ASEAN power elites.
The fundamental goal of this paper is to make a sketch of what trust looks like in Korean culture. To pursue this goal, we have resorted to materials linked to trust whose characteristics are theoretical, conceptual, observational and illustrational. Although a shortage of empirical and systematic data on trust is a big obstacle to profound understanding of trust operating in Korea, we would like to assign some significance to our attempt to conceptualize the concept of trust as it really is in the Maum(mind) of common Koreans. We believe that research paradigm for behavioral science should be cast off in research of mind-related phenomena like trust. A general practice cherished to date in doing psychological research is to pinpoint exclusively its focus on external manifestation of a given concept with no precedent analyses about it in anthropological and cultural-psychological perspectives. We would like to argue that complete understanding of naïve psychology of those phenomena should precede construction of psychological theories about them. That is, knowledge of interpretations, experiences and theories laypersons have in relation to mind-related phenomena has to be underpinnings of further theoretical elaborations about those phenomena.
공기업(公企業) 비효율성(非效率性)의 근본원인을 소유구조상(所有構造上)의 문제, 경쟁부재(競爭不在)의 문제, 지나친 정부규제(政府規制)의 문제로 이해할 때 그동안 공기업관련(公企業關聯) 정책(政策)이 소유구조상의 해결책인 민영화정책(民營化政策)에만 지나치게 편중됨으로써 경제력집중(經濟力集中)이나 증시문제(證市問題) 등으로 인해 공기업(公企業) 비효율성(非效率性)의 치유가 오히려 지연되고 있다는 시각에서 본고는 출발하고 있다. 시장기능(市場機能)의 활성화를 통한 효율성제고(效率性提高)가 공기업정책(公企業政策)의 궁극적인 목표라고 할 때 공기업의 비효율성(非效率性) 문제는 공기업관련(公企業關聯) 산업(産業)의 경쟁정책적(競爭政策的) 차원에서 문제점들을 파악하고 해결책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공기업분야에 시장기능(市場機能)이 정착되기 위해 민영화(民營化), 경쟁도입(競爭導入), 규제완화(規制緩和) 등의 효율성 제고수단들의 총체적이고 유기적인 연계가 필수적이다. 이러한 시각에서 본고는 민영화 등 공기업관련(公企業關聯) 경쟁정책(競爭政策)중 구조적(構造的)인 측면을 주로 살펴보고 있다. 공기업(公企業)의 비효율성(非效率性)을 공기업 자체의 내적(內的) 비효율성(非效率性)과 시장에서의 배분적(配分的) 비효율성(非效率性)으로 구분할 때, 내적 비효율성 못지않게 배분적(配分的) 비효율성(非效率性)이 심각한 것으로 보인다. 한국통신(韓國通信) 등 대표적 공기업 6개와 10대(大) 민간(民間) 대기업집단(大企業集團)의 수익률(收益率) 비교(比較) 등에 따르면 이들 공기업이 독점적(獨占的) 시장구조하(市場構造下)에서 민간독점기업적(民間獨占企業的) 행태를 취해 왔다고 판단된다. 한편 상대적으로 경쟁도입이 활성화되고 있는 통신산업(通信産業)의 경우 요금의 변화추이는 경쟁도입(競爭導入)이 배분적(配分的) 효율성(效率性)을 증진시키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어 시장구조(市場構造)를 경쟁적으로 변화시키는 것이 공기업정책(公企業政策)에서 절실하다고 판단된다. 구조적(構造的)인 경쟁정책(競爭政策)을 다루기 위해 본고는 사업다각화(事業多角化)라는 시각에서 6대(大) 공기업관련산업(公企業關聯産業)의 산업련관분석(産業聯關分析)을 통해 공기업이 상당한 전후방효과(前後方效果)를 갖고 있기 때문에 단순 민영화에 따른 수직적(垂直的) 독점력(獨占力) 확산을 고려하면서 구조적(構造的) 정책(政策)을 취할 필요가 있음을 지적하고 있다. 따라서 독점공기업(獨占公企業)을 민영화함에 있어서 시장구조를 보다 경쟁적(競爭的)으로 전환시킬 필요성이 크다고 판단된다. 1993년 민영화계획(民營化計劃)의 범위가 불충분하고 그 계획조차 지연되는 현상황을 고려할 때 민영화정책의 보다 강력하고 광범위한 실행이 필요할 뿐만 아니라 공기업분야에 경쟁적(競爭的) 시장구조(市場構造)가 정착될 수 있도록 유도하는 것이 공기업 관련 구조적(構造的)인 경쟁정책(競爭政策)의 핵심이라고 본다. 또한 본 논문은 공기업이 원래의 설립목적(設立目的) 이외의 다른 사업분야에 진출하는 것을 허용할 것인가에 대하여 구조적(構造的) 경쟁정책차원(競爭政策次元)에서 기본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
v.12
no.2
/
pp.305-322
/
2006
An increasing number of cities employ rescaling strategies that not only construct metropolitan production network scaled down from national context, but also tune up new governance to effectively control local geographies of the city. In this context, urban redevelopment has emerged a key 'global' strategy to empower governmental institutions of the city, which not only eliminate such threatening spatial variables as deteriorated housing, working-class ghettos, and crime areas, but also increase and extract exchange value of those spaces. I view such practices a process of 'glurbanization'. This paper investigates how state/city government employs the discourse of urban re/development for 'inventing' poverty at an urban scale: how it institutionalizes the discourse for implementing concrete projects: and how urban institutional apparatus appropriate their discursive practices of redevelopment for their own ends in the city. By particularly focusing on the California Redevelopment Law and the Community Redevelopment Agency of the City of Los Angeles, this paper analyzes the ways in which the law and the agency extract value from what they define 'blight areas' by means of eminent domain and tax increment revenues. For empirical analysis I employ discourse analysis and institutional ethnography. I conclusively argue that the urban spaces stigmatized as 'blight areas' are increasingly entrapped by the urban redevelopment agency, which extracts increased exchange value from the areas and redirects it for supporting external investors, private developers, and the body of the agency itself.
After the terrorist attack of 9/11 on the USA, the security concern to global trade has been raised. In particular, the USA has actively promoted a series of initiatives and rules such as CSI, 24 hour rule, C-TPAT, and so on in the area of logistics activities, which aimed to better protect the country against the potential terrorist threats. While implementing such schemes called as a multi-layed logistics security strategy, a large number of countries trading with USA are facing with the issues of additional time and costs for inspecting cargos in their logistics facilities. As a result, most countries all over the world have sought a way to minimize the impacts from such strategy. The Korea also is preparing the several security programs operated by various ministries, which are aiming to not only improve the efficiency of trade flows but also to ensure supply chain security. However, many companies are expressing the inefficiency of operating such programs. Thus, this paper analyzed several global supply chain security programs currently adopted by international organizations(ISO, WCO, and IMO) and major countries(USA, EU, and Singapore) and suggested a guideline for developing the national logistics security system.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is building and operating digital twin-based urban spatial information to solve various problems in the city and provide public services. Two essential factors to ensure the stable utilization of spatial information for the implementation of such a digital twin city are the latest and quality of the data. However, it is time-consuming and costly to maintain continuous updating of high-quality urban spatial information. To overcome this problem, we studied efficient urban spatial information construction technology and the operation, management, and update procedures of construction data. First, we demonstrated and applied automatic 3D building construction technology centered on point clouds using the latest hybrid sensors, confirmed that it is possible to automatically construct high-quality building models using high-density airborne lidar results, and established an efficient data management plan. By applying differentiated production methods by region, supporting detection of urban change areas through Seoul spatial feature identifiers, and producing international standard data by level, we strengthened the utilization of urban spatial information. We believe that this study can serve as a good precedent for local governments and related organizations that are considering activating urban spatial information based on digital twins, and we expect that discussions on the construction and management of spatial information as infrastructure information for city-level digital twin implementation will continue.
The presentation of this paper was triggered by the spread of MERS in Korea in the year 2015. The analysis of the present acts related with MERS is necessary in order to cope efficiently with any probable spread of such infectious diseases as MERS in future. The acts that should be analyzed in this paper include 'Medical Service Act' and 'Infectious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ct' (hereafter, IDCAPA). At first the classification of the infectious diseases in IDCAPA should be referred to. The Act does not properly classify them because the scope of concept of each group of the infectious diseases overlaps each other. This overlap should be removed. The present system in IDCAPA is not proper for the efficient notification and reporting of the infectious disease patients. This is so in some viewpoints including the persons obligated to make the notification and reporting, the persons to whom they should notify and report such patients, and the process of notification and reporting. The efficient approach to the information related with the infectious disease is necessary for the rapid prevention of its spread. Cohort isolation and quarantine of the infectious patients and exposed contacts are the strongest and most efficient steps for the prevention of spread of the infectious diseases. One of the great problems related with such steps would be the conflict of powers or attributions, the likelihood of which is inevitable under the present system of IDCAPA. The IDCAPA distributed the power or attribution to take the steps to the three governments including the central government, the metropolitan government and the primary local government. The power should be concentrated in the central government, which could afford financially to compensate for the huge amount of damages caused likely by the steps. The power to take the steps would be actually just a useless thing for its holder without such financial capacity. The remedy for the victims by the fault of spreader should be approached to in the sense of national wealth. The general principle of tort law could not supply the victims with the sufficient remedy because the damages would be likely too huge for the wealth of such spreader to cope with. In future another parliamentary inspection could reveal another problems in the administration by the government of the MERS event in the year 2015. Any problem caused by defect in the legal system of the control and prevention of the infectious diseases should be taken into consideration when the legal system would be reformed in future.
본 웹사이트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시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 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게시일 2004년 10월 1일]
이용약관
제 1 장 총칙
제 1 조 (목적)
이 이용약관은 KoreaScience 홈페이지(이하 “당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인터넷 서비스(이하 '서비스')의 가입조건 및 이용에 관한 제반 사항과 기타 필요한 사항을 구체적으로 규정함을 목적으로 합니다.
제 2 조 (용어의 정의)
① "이용자"라 함은 당 사이트에 접속하여 이 약관에 따라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받는 회원 및 비회원을
말합니다.
② "회원"이라 함은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하여 당 사이트에 개인정보를 제공하여 아이디(ID)와 비밀번호를 부여
받은 자를 말합니다.
③ "회원 아이디(ID)"라 함은 회원의 식별 및 서비스 이용을 위하여 자신이 선정한 문자 및 숫자의 조합을
말합니다.
④ "비밀번호(패스워드)"라 함은 회원이 자신의 비밀보호를 위하여 선정한 문자 및 숫자의 조합을 말합니다.
제 3 조 (이용약관의 효력 및 변경)
① 이 약관은 당 사이트에 게시하거나 기타의 방법으로 회원에게 공지함으로써 효력이 발생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이 약관을 개정할 경우에 적용일자 및 개정사유를 명시하여 현행 약관과 함께 당 사이트의
초기화면에 그 적용일자 7일 이전부터 적용일자 전일까지 공지합니다. 다만, 회원에게 불리하게 약관내용을
변경하는 경우에는 최소한 30일 이상의 사전 유예기간을 두고 공지합니다. 이 경우 당 사이트는 개정 전
내용과 개정 후 내용을 명확하게 비교하여 이용자가 알기 쉽도록 표시합니다.
제 4 조(약관 외 준칙)
① 이 약관은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서비스에 관한 이용안내와 함께 적용됩니다.
② 이 약관에 명시되지 아니한 사항은 관계법령의 규정이 적용됩니다.
제 2 장 이용계약의 체결
제 5 조 (이용계약의 성립 등)
① 이용계약은 이용고객이 당 사이트가 정한 약관에 「동의합니다」를 선택하고, 당 사이트가 정한
온라인신청양식을 작성하여 서비스 이용을 신청한 후, 당 사이트가 이를 승낙함으로써 성립합니다.
② 제1항의 승낙은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과학기술정보검색, 맞춤정보, 서지정보 등 다른 서비스의 이용승낙을
포함합니다.
제 6 조 (회원가입)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고객은 당 사이트에서 정한 회원가입양식에 개인정보를 기재하여 가입을 하여야 합니다.
제 7 조 (개인정보의 보호 및 사용)
당 사이트는 관계법령이 정하는 바에 따라 회원 등록정보를 포함한 회원의 개인정보를 보호하기 위해 노력합니다. 회원 개인정보의 보호 및 사용에 대해서는 관련법령 및 당 사이트의 개인정보 보호정책이 적용됩니다.
제 8 조 (이용 신청의 승낙과 제한)
① 당 사이트는 제6조의 규정에 의한 이용신청고객에 대하여 서비스 이용을 승낙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아래사항에 해당하는 경우에 대해서 승낙하지 아니 합니다.
- 이용계약 신청서의 내용을 허위로 기재한 경우
- 기타 규정한 제반사항을 위반하며 신청하는 경우
제 9 조 (회원 ID 부여 및 변경 등)
① 당 사이트는 이용고객에 대하여 약관에 정하는 바에 따라 자신이 선정한 회원 ID를 부여합니다.
② 회원 ID는 원칙적으로 변경이 불가하며 부득이한 사유로 인하여 변경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해당 ID를
해지하고 재가입해야 합니다.
③ 기타 회원 개인정보 관리 및 변경 등에 관한 사항은 서비스별 안내에 정하는 바에 의합니다.
제 3 장 계약 당사자의 의무
제 10 조 (KISTI의 의무)
① 당 사이트는 이용고객이 희망한 서비스 제공 개시일에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보안시스템을 구축하며 개인정보 보호정책을 공시하고 준수합니다.
③ 당 사이트는 회원으로부터 제기되는 의견이나 불만이 정당하다고 객관적으로 인정될 경우에는 적절한 절차를
거쳐 즉시 처리하여야 합니다. 다만, 즉시 처리가 곤란한 경우는 회원에게 그 사유와 처리일정을 통보하여야
합니다.
제 11 조 (회원의 의무)
① 이용자는 회원가입 신청 또는 회원정보 변경 시 실명으로 모든 사항을 사실에 근거하여 작성하여야 하며,
허위 또는 타인의 정보를 등록할 경우 일체의 권리를 주장할 수 없습니다.
② 당 사이트가 관계법령 및 개인정보 보호정책에 의거하여 그 책임을 지는 경우를 제외하고 회원에게 부여된
ID의 비밀번호 관리소홀, 부정사용에 의하여 발생하는 모든 결과에 대한 책임은 회원에게 있습니다.
③ 회원은 당 사이트 및 제 3자의 지적 재산권을 침해해서는 안 됩니다.
제 4 장 서비스의 이용
제 12 조 (서비스 이용 시간)
① 서비스 이용은 당 사이트의 업무상 또는 기술상 특별한 지장이 없는 한 연중무휴, 1일 24시간 운영을
원칙으로 합니다. 단, 당 사이트는 시스템 정기점검, 증설 및 교체를 위해 당 사이트가 정한 날이나 시간에
서비스를 일시 중단할 수 있으며, 예정되어 있는 작업으로 인한 서비스 일시중단은 당 사이트 홈페이지를
통해 사전에 공지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서비스를 특정범위로 분할하여 각 범위별로 이용가능시간을 별도로 지정할 수 있습니다. 다만
이 경우 그 내용을 공지합니다.
제 13 조 (홈페이지 저작권)
① NDSL에서 제공하는 모든 저작물의 저작권은 원저작자에게 있으며, KISTI는 복제/배포/전송권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②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복제/배포/전송할 경우 사전에 KISTI의 허락을
받아야 합니다.
③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보도, 비평, 교육, 연구 등을 위하여 정당한 범위 안에서 공정한 관행에
합치되게 인용할 수 있습니다.
④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무단 복제, 전송, 배포 기타 저작권법에 위반되는 방법으로 이용할 경우
저작권법 제136조에 따라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5천만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질 수 있습니다.
제 14 조 (유료서비스)
① 당 사이트 및 협력기관이 정한 유료서비스(원문복사 등)는 별도로 정해진 바에 따르며, 변경사항은 시행 전에
당 사이트 홈페이지를 통하여 회원에게 공지합니다.
② 유료서비스를 이용하려는 회원은 정해진 요금체계에 따라 요금을 납부해야 합니다.
제 5 장 계약 해지 및 이용 제한
제 15 조 (계약 해지)
회원이 이용계약을 해지하고자 하는 때에는 [가입해지] 메뉴를 이용해 직접 해지해야 합니다.
제 16 조 (서비스 이용제한)
① 당 사이트는 회원이 서비스 이용내용에 있어서 본 약관 제 11조 내용을 위반하거나,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서비스 이용을 제한할 수 있습니다.
- 2년 이상 서비스를 이용한 적이 없는 경우
- 기타 정상적인 서비스 운영에 방해가 될 경우
② 상기 이용제한 규정에 따라 서비스를 이용하는 회원에게 서비스 이용에 대하여 별도 공지 없이 서비스 이용의
일시정지, 이용계약 해지 할 수 있습니다.
제 17 조 (전자우편주소 수집 금지)
회원은 전자우편주소 추출기 등을 이용하여 전자우편주소를 수집 또는 제3자에게 제공할 수 없습니다.
제 6 장 손해배상 및 기타사항
제 18 조 (손해배상)
당 사이트는 무료로 제공되는 서비스와 관련하여 회원에게 어떠한 손해가 발생하더라도 당 사이트가 고의 또는 과실로 인한 손해발생을 제외하고는 이에 대하여 책임을 부담하지 아니합니다.
제 19 조 (관할 법원)
서비스 이용으로 발생한 분쟁에 대해 소송이 제기되는 경우 민사 소송법상의 관할 법원에 제기합니다.
[부 칙]
1. (시행일) 이 약관은 2016년 9월 5일부터 적용되며, 종전 약관은 본 약관으로 대체되며, 개정된 약관의 적용일 이전 가입자도 개정된 약관의 적용을 받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