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2차가공

검색결과 629건 처리시간 0.025초

방전 가공을 이용한 미세 구멍 가공 시 발생하는 테이퍼 형상의 제어

  • 김동준;이상민;이영수;주종남
    • 한국정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밀공학회 2004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요약집
    • /
    • pp.254-254
    • /
    • 2004
  • 미세 방전 가공은 전도성 재료에 미세 구멍을 가공할 때 주로 적용되는 방법이다. 그러나 미세 방전가공을 이용하여 구멍을 가공할 때 직경이 일정한 공구를 사용하더라도 입구와 출구의 직경에는 차이가 생긴다. 구멍의 벽면과 공구사이에는 2차 방전이 발생하고 상대적으로 2차 방전의 영향을 많이 받는 입구가 출구보다 직경이 커지게 된다. 이 때문에 미세 구멍의 단면 형상은 깊이 방향으로 테이퍼가 생기게 되며, 이로 인해 진직 구멍을 가공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이러한 테이퍼 형상을 제거하여 진직 구멍을 가공하는 방법에 관해 연구하였다.(중략)

  • PDF

와이어 컷 방전가공후의 가공면 조도 고찰 (A Study on Surface Roughness in Wire-Cut Electric Discharge Machining)

  • 김세환;최계광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3권2호
    • /
    • pp.69-73
    • /
    • 2002
  • 프레스 금형의 부품제작에 주로 사용되는 와이어 컷 방전가공에서 가공횟수가 펀치와 다이블록의 가공면조도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였다. 본 연구의 수행을 위해 정밀 가공기술로 활용도가 증가되고 있는 와이어 컷 방전가공기(Sodic A500H)를 사용하여 1차, 2차, 3차 총 3회 가공을 실시하였다. 3회에 걸쳐 가공된 펀치와 다이블록의 가공면 조도 고찰을 위해 표면조도거칠기 측정기 (Federal사의 System5000)를 사용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 PDF

와이어 컷 방전가공(W-EDM)후의 가공면 조도 고찰 (A Study on Surface Roughness in Wire - Cut Electric Discharge Machining)

  • 최계광;김세환
    • 한국산학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학기술학회 2002년도 춘계학술발표논문집
    • /
    • pp.59-64
    • /
    • 2002
  • 프레스 금형의 부품제작에 주로 사용되는 와이어 컷 방전가공에서 가공횟수가 펀치와 다이 블록의 가공면조도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고자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수행을 위해 정 밀 가공 기술로 활용도가 증가되고 있는 와이어 컷 방전가공기(Sodic A500H)를 사용하여 1차, 2차, 3차 총 3회 가공을 실시하였다. 3회에 걸쳐 가공된 펀치와 다이블록의 가공면조도 고찰을 위해 표면조도거칠기 측정기(Federal 사의 System5000)를 사용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Development of Error Compensation Software, ECS

  • Ji, Tae-Geun;Pak, Soojong;Kim, Geon-Hee;Jeong, Byeongjoon;Kim, Sanghyuk;Lee, Hye-In
    • 천문학회보
    • /
    • 제41권2호
    • /
    • pp.36.3-37
    • /
    • 2016
  • ECS(Error Compensation Software)는 알루미늄 자유곡면 반사경의 형상정밀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개발된 보정가공 소프트웨어이다. DTM(Diamond Turning Machine)을 이용한 가공공정에서 가공오차의 변화를 쉽게 확인하며 형상을 보정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보정가공 공정은 (1) 10차 다항식을 이용하여 표면을 설계한 후 DTM에 입력할 가공경로 계산, (2) DTM에 가공경로를 입력하여 가공, (3) 3차원 초정밀 형상측정 장비로 반사경의 가공오차 분석, (4) 가공오차를 보정하여 새로운 10차 다항식 설계, (5) 보정가공경로 계산 후 재가공으로 이루어진다. 그동안의 공정은 다항식의 설계, 가공경로 계산, 반사경의 가공오차 분석을 위해 다수의 프로그램들을 실행해야만 했다. 본 연구에서는 ECS가 알루미늄 자유곡면 반사경 제작을 위한 통합 보정가공 소프트웨어를 제공하여, 사용자가 작업을 효율적으로 수행하기를 기대한다.

  • PDF

고강도 및 내진용 철근의 굽힘성능 평가 (Bending performance evaluation of high strength and seismic purpose reinforcing bars)

  • 김희동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9호
    • /
    • pp.492-498
    • /
    • 2017
  • 본 연구는 다양한 구조적 변수에 따른 고강도 및 내진용 이형철근의 굽힘가공 성능을 실험적으로 평가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굽힘성능에 대한 실험적 연구수행을 위해 이형철근의 강종 및 강도, 직경, 굽힘가공 각도 및 내면 반지름 등을 변수로 하여 시험체를 제작하였다. 시험은 각 변수별 원 소재 철근에 대한 1차 인장강도시험, 원 소재 철근에 대한 1차 굽힘시험과 1차 굽힘시험 철근을 대상으로 한 2차 굽힘시험 그리고 2차 굽힘시험 이후 가력이 가능한 시험체를 대상으로 한 2차 인장강도시험을 수행하였다. 금번 고강도 및 내진용 철근에 대한 실험적 연구결과 항복강도 500 MPa 및 직경 D13 이하 이형철근은 굽힘각도 $135^{\circ}$, 내면 반지름 2db의 경우에도 1차 굽힘가공 후 인장측 표면결함은 나타나지 않았으며, 이형철근의 강도와 직경이 증가할수록 굽힘가공 성능이 저하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본 연구에서 수행된 시험에서는 일반용 철근과 특수 내진용 철근의 시험결과 비교에서 두 이형철근 간에 유의미한 구조적 성능 차이는 확인하지 못하였다.

다기능 복합가공기 개발에 대한 연구(I) (A Development of a Multi-Axis Turning Center(I))

  • 이시다
    • 한국공작기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공작기계학회 1997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243-247
    • /
    • 1997
  • 기존의 복합 Turning Center 보다 비구심상태에서의 가공, 3축밀링가공 및 3축/4축 동시 Milling가공 등의 특징을 갖고 복잡한 형상과 기능을 갖도 있는 부품 생산용 각형 FMS/C의 기본기계가 될 다기능 복합가공기[최대가공경 310mm *최대가공길이600mm, 6축제어(4축동시가공), ATC Magazine 20개, 주축18.5KW, 제2주축 15KW 회전수36-1,600RPM의 강력, 고속, 정밀 다기능 복합가공기]를 제2차 선도기술개발사업을 통해 개발을 추진하고 있다.

  • PDF

가공 및 추출 방법에 따른 일반메밀차와 쓴메밀차의 루틴 함량 및 항산화 활성 비교 (Comparison of rutin content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tea products from common buckwheat (Fagopyrum esculentum) and tartary buckwheat (Fagopyrum tataricum) by different processing and brewing methods)

  • 김수정;손황배;남정환;이종남;장동칠;김율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4권2호
    • /
    • pp.185-195
    • /
    • 2022
  • 메밀의 식품가공기술 개발을 통해 이용성을 확대하고 새로운 소비수요를 창출하고자 일반메밀과 쓴메밀을 대상으로 가공단계 및 추출방법에 따른 메밀 볶음차의 품질 특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일반메밀의 원료, 탈피, 찌기 및 볶음 단계의 루틴 함량은 21.6, 17.8, 9.8 및 6.8 mg/100 g으로 차 가공공정이 진행됨에 따라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쓴메밀의 원료, 찌기, 탈피 및 볶음 과정의 루틴 함량은 1,679.9, 1,044.2, 703.1 및 834.5 mg/100 g으로 감소하였으나, 퀘세틴 함량은 0, 12.3, 36.0 및 32.3 mg/100 g으로 가공공정이 진행됨에 따라 증가하였다. 메밀차는 메밀의 종류, 제형 및 추출방법에 따라 루틴 함량에서 큰 차이를 보였다. 루틴 함량은 일반메밀차보다 쓴메밀차에서 평균 61배 높았다. 관능평가 결과를 종합하면, 쓴메밀차의 제형별 비교에서는 알곡보다 분말이 우림색, 풍미, 구수한 맛, 단맛 및 선호도에서 높은 값을 보였다. 특히, 루틴은 퀘세틴이나 쓴맛과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본 연구에서는 쓴메밀 품종인 '황금미소'를 대상으로 쓴맛을 최대한 줄이면서 루틴 함량이 높은 메밀차 제조를 위해 볶음 과정의 열처리 조건을 70-80℃에서 2-3분으로 확립하였다. 루틴 함량이 많은 메밀차를 섭취하고자 할 경우에는 핸드드립으로 추출한 방법이 적합하며, 쓴맛이 적고 달콤한 맛과 풍미가 좋은 메밀차를 원할 경우 침출식 콜드브루 방식을 선택하는 것이 가장 유리할 것으로 판단된다.

문형5축 머시닝센터 개발에 대한 연구(I) (A Development of a 5 Axis Double Column Type Mchining Center (I))

  • 이시다
    • 한국공작기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공작기계학회 1997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202-206
    • /
    • 1997
  • 항공기 부품, 터빈형 임펠라나 브레이드, 자동차나 가전제품용의 대형금형류의 정밀가공과 생산성 향상에는 5축의 NC가공이 기존 3축의 NC 가공보다 많은 이점을 갖고 있다. 제1차 선도기술개발사업을 통해 C 형의 5축머시닝센터를 성공적으로 개발한 실적을 바탕으로 제2차 선도기술개발사업을 통해 작업이송거리 12,000*3,500*1,500(X*Y*Z), 위치정밀도 $\pm0.005mm/M$, 주축동력 30/45Kw의 대형, 강력, 정밀형의 문형5축머시닝센터 개불을 목표로 추진하고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