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2중 파장법

검색결과 128건 처리시간 0.045초

근적외선분광법을 이용한 수입건초의 Ca과 P 함량 예측 (Predicting Calcium and Phosphorus Concentrations in Imported Hay by near Infrared Reflectance Spectroscopy)

  • 이배훈;김지혜;오미래;이기원;박형수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41권1호
    • /
    • pp.29-34
    • /
    • 2021
  • 본 연구는 근적외선분광법을 활용한 조사료의 Ca과 P 함량의 분석 가능성을 검토하고 예측 정확성이 높은 검량식을 개발하기 위하여 전국 건초 수입상, TMR 회사와 축산 농가에서 수집한 수입 화본과와 두과 목건초 392점 중에서 무작위로 126점을 선택하여 검량식 개발에 이용하였다. 선택된 시료는 시료측정 전처리 방법을 생시료 처리와 건조분쇄 처리구로 나누어 근적외선 스펙트라를 측정하고 근적외선 파장대역을 가시영역, 근적외선, 전파장영역으로 구분하여 검량식을 개발하여 예측 정확성을 평가하였다. 수입건초의 Ca과 P 함량에 대한 예측 정확성은 시료 전처리 방법과 파장대역별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났으며, 시료전처리 방법은 건조하여 분쇄하는 방법과 파장대역별로는 근적외선 파장(1,100~2,500 nm)대역에서 예측 정확성이 높게 나타났다. 수입건초의 Ca 함량 예측 정확성은 근적외선 파장대역에서 건조분쇄 측정이 SEC 292.3 mg/kg(R2=0.99)와 SECV 468.6 mg/kg(R2=0.98)로 가장 정확한 예측능력을 나타냈다. 수입건초의 P 함량은 근적외선 파장대역에서 건조분쇄 측정이 SEC 204.4 mg/kg(R2=0.91)과 SECV 224.7 mg/kg(R2=0.89)로 가장 정확한 예측능력을 나타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근적외선분광법을 이용하여 조사료의 주요 광물질인 Ca과 P 함량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분석이 가능하였으며, 시료 측정시 건조하여 분쇄하는 전처리 방법과 근적외선 파장대역에서 검량식을 개발하는 것이 예측 정확성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형광분광법을 이용한 수용액 중의 carbaryl의 정량 (Determination of carbaryl in aqueous solution by fluorescence spectrometry)

  • 김욱현;이상학
    • 분석과학
    • /
    • 제22권4호
    • /
    • pp.307-312
    • /
    • 2009
  • 수용액 중의 carbaryl을 형광분광법을 이용하여 정량하기 위한 분석방법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분석의 최적 조건을 구하기 위해서 들뜸 파장, 계면활성제의 농도, 보조계면활성제인 ethanol의 농도 및 방출 파장의 방출 세기에 대한 영향을 조사하였다. Carbaryl 용액에 계면활성제인 sodium dodecyl sulfate (SDS)을 첨가하였을 때 방출세기가 조금 증가하였으며 보조계면활성제인 ethanol을 첨가하였을 때 방출 세기가 현저히 증가함을 관찰하였다. 최적 분석 조건의 들뜸 파장, 계면활성제의 농도, 보조계면활성제인 ethanol의 농도 및 방출 파장은 각각 281 nm, $1.0{\times}10^{-2}mol/L$, 20% (v/v), 349 nm 이었다. 최적 분석조건에서 carbaryl의 검정곡선의 감응범위와 검출한계($3{\sigma}$)는 각각 $5{\times}10^{-7}$에서 $1.0{\times}10^{-4}mol/L$$1.1{\times}10^{-8}mol/L$이었다. 검정곡선에서 직선성이 성립하는 농도 범위에서 상관계수(S/N=3)는 0.9996이었다.

분리막ㆍ광촉매 시스템을 이용한 염료 수용액의 처리 (Treatment of the dyestuff solution using photocatalyst membrane system)

  • 곽민욱;민병렬;탁태문;정건용
    • 한국막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막학회 2004년도 춘계 총회 및 학술발표회
    • /
    • pp.184-187
    • /
    • 2004
  • 고급산화법 중 하나인 광촉매인 TiO$_2$를 이용한 시스템은 300~400nm 파장의 UV영역에서 비교적 적은 에너지로 유기 오염 물질을 $CO_2$$H_2O$로 산화시킨다[1]. 따라서 폐수용액 중 오염물질을 제거한 경우에도 슬러리로 인한 2차 오염의 문제가 없다. 최근에는 난분해성 물질이나 독성을 가진 물질을 포함된 폐수처리 시설의 고도처리를 위하여 분리막을 도입하는 추세이다.(중략)

  • PDF

근적외분광분석법에 의한 미질관련 성분 측정 (Rapid Evaluation of Chemical Components of Rice Grain Using Near Infrared Spectroscopy)

  • 황흥구;조래광;손재근;이수관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7-14
    • /
    • 1994
  • 쌀의 이화학적인 성분분석과 관능검사에 의한 식미검정으로 품질을 평가하는 방법은 많은 시간적, 경제적인 비용이 수반되므로 소량의 시료로 신속하고 정확하게 품질을 검정할 수 있는 방법이 확립되면 양질미 품종 육성의 선발 효율을 높이고 쌀 품질을 등급화하여 유통시장에서 품질 인증제 도입시 평가 방법으로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목적으로 벼 68품종을 공시하여 근적외 분광 분석기를 사용하여 근적외 스펙트럼과 몇가지 이화학특성치간의 중회귀 분석에 의해 각각의 검량식을 작성하여 미지의 시료로 측정정확도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아밀로스함량 분석에서는 1파장에서 6파장으로 구성되는 5개의 검량식을 얻었으나 2208 및 2044nm의 2파장으로 구성된 검량식에서 측정정확도가 높았다. 2. 단백질함량 분석에서는 2파장에서 6파장으로 구성되는 5개의 검량식을 얻었으나 2220, 2236, 2128, 2152및 2092nm의 5파장으로 구성된 검량식에서 측정정확도가 높았다. 3. 무기성분인 Mg와 K 함량 분석에서는 각각 5개의 검량식을 얻었으나 Mg 함량은 1224, 1212, 1156 및 1204의 4파장 검량식에서 K 함량은 2304, 2292, 2260및 1152의 4파장 검량식에서 각각 측정 정확도가 높게 나타났다. 4. 확인용 시료의 이화학적 특성치와 근적외 분광 분석기에 의한 측정치간의 상관에서 상관계수는 단백질함량(0.93), K함량(0.83), Mg함량(0.80), 아밀로스함량(0.68)의 순으로 높았고, 모든 성분에서 높은 정의 유의한 상관이 인정되었다.

  • PDF

실온에서 AIGaN/GaN DH의 광학이득 (Optical Gain of AIGaN/GaN DH at Room-Temperature)

  • 김선태;문동찬
    • 한국재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재료학회 1994년도 추계 학술발표 강연 및 논문 개요집
    • /
    • pp.97-97
    • /
    • 1994
  • Wide gap 반도체 중 하나인 GaN 에너지갭이 실온에서 3.4eV 이고 직접천이형 에너지대 구조를 가지므로 청색 및 자외영역의 파장을 발광하는 발광다이오드와 바도체 레이저 다이오드의 제작에유용한 재료이다. GaN계 III족 질화물반도체가 다파장용 광원으로서 유망함을 보인 것은 1970년대 초방의기초적 연구이다. 이로부터 약 25년이 경고한 현재 청색발광다이오드가 실용화당계에 이르게 되었지만 아직까지 전류주입에 의한 레이저발진은 보고되고있지 않다. 이 논문에서는 ALGaN/GaN이중이종접합(DH) 구조의 광여기에 의한 유도방출과 광학적 이득을 측정하므로서 전류주입에의한 레이저발진의 가능성을 조사하였다. 유기금속기상에피텍셜(MOVPE)법으로 성장한 ALGaN/GaN DH구조의 표면에 수직으로 펄스발진 질소레이저(파장:337.1nm, 주기:10Hz, 폭: 8nsec) 빔의 공출력밀도를 변화시키어 조사하고 시료의단면 혹은 표면으로부터 방출되는 광 스펙트럼을 측정하였다. 입상광밀도가 증가함에 따라 자연방출에 의한 발광피크보다 낮은 에너지에서 발광강도가 큰 유도방출에 의한 피크가 370nm의 파장에서 현저하게 나타났으며 실온에서 유동방출에 필요한 입사공밀도의 임계치는 약 89㎾/$\textrm{cm}^2$이었다. 이는 GaN 단독층에 대한 유동방출의 임계치 700㎾/$\textrm{cm}^2$ 에 비하여 약 1/8정도 낮은 것이며, 이를 전류밀도로 환산하면 약 27㎄/$\textrm{cm}^2$ 정도로서 전류주입에 의하여서도 레이저발진을 실현할 수 있는 현실적인 값이다. 한편 광여기 방법으로 측정한 광학적 이득은 입사광의 밀도가 각각 100㎾/$\textrm{cm}^2$과 200㎾/$\textrm{cm}^2$일 때 34$cm^{-1}$ / 과 160 $cm^{-1}$ / 이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GaN의밴드단 부근의 파장영역에서 AIGaN 흔정의 굴절율이 GaN의 굴절율보다 작으므로 DH구조의 채택의 의한 광의 몰입이 가능하여 임계치가 저하된 것으로 여겨진다. 또한 광학적 이득의 존재는 이 구조에 의한 극단파장 반도체 레이저다이오드의 실현 가능성을 나타내는 것이다.

  • PDF

무흡광색소 생물의 감광수용체 개발연구(V) - 표고버섯 중의 광감응성 Mitochondrial ATPase 및 ATP synthase에 대한 FAD 및 $FADH_2$의 효과 - (Studies on the Development of Photoreceptor in the Nonchromatophore Organisms (V) - Effects of FAD and $FADH_2$ on Light-Induced Mitochondrial ATPase and ATP Synthase in Lentinus edodes -)

  • 박상신;민태진
    • 한국균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161-168
    • /
    • 1989
  • 표고버섯(L. edodes) 중의 mitochondria는 설탕밀도단계기울기법에 따라 분리정제 하였다. 앞서 보고한 바와 같이, 각 파장별 빛조사(400-700nm)에 따른 mitochondrial ATPase와 ATP synthase의 활성도는 680nm와 470nm에서 각각 활성화되었다. 본 연구에서, 400nm 이하의 파장별 빛조사에 따른 mitochondrial ATPase 및 ATP synthase의 활성도는 380nm와 330nm에서 각각 활성화되었으며, 330nm 및 350에서 각각 억제되었다. FAD의 존재하에서, mitochondrial ATP synthase는 활성화 파장 및 억제 파장의 조사에 의하여 활성도가 각각 증가된 반면, mitochondrial ATPase의 활성도는 감소되었다. 그러나, NADH의 존재하에서, 이들 파장의 조사에 의한 효소의 활성도는 변화가 없었다. 또한, 두 효소는 각각의 활성화 파장 및 억제 파장이 조사됨에 따라 $FADH_2$를 FAD로 산화시키는 spectrum을 보였다. 이로써, 이 두 효소는 빛 조사에 의하여 생체내의 산화 환원반응의 산화제로 작용하였으며, 특히 mitochondrial ATP synthase의 활성화에 따른 광유발물질은 mitochondria 중에 존재하는 flavin 또는 flavoprotein으로 추정된다.

  • PDF

Digital moire 형상측정 시스템의 보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alibration of Shape Measurement System Using Digital moire)

  • 김도훈;유원재;박낙규;강영준
    • 한국공작기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공작기계학회 2003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255-259
    • /
    • 2003
  • Moire topography method isa well-known non-contacting 3-D measurement method as afast non-contact test for three-dimension shape measuring method. Recently, it's important to study the automatic three-dimension measurement by moire topography because it is frequently applied to the reverse engineering , the medical , the entertainment fields. Three-dimension measurement using projection of moire topography is very attractive because of its high measuring speed and high sensitivity. In this paper, the classical moire method is computerized-so called digital moire when a virtual grating pattern is projected on a surface, the captured image by the CCD camera has three-dimension information of the objects. The moire image can be obtained through a simple image processing and a reference grating pattern. and it provides similar results without physical grating pattern. digital projection moire topography turn out to be very effective for the three-dimension measurement of objects. Using different N-bucket algorithm method of digital projection moire topography is tested to measuring object with the 2-ambiguity problem. Experimental results prove that the proposed scheme is capable of finding measurement errors that decreased more by using the four-three step algorithm method instead of the same step in the phase shifting of different pitch.

  • PDF

원적외선 광원을 이용한 Water에서의 Photo Acoustic Signal의 검출 (Photo-Acoustic Signal Detection of Water using FIR Light Source)

  • 김건식;김태우;전계진;윤길원;최중길;박승한
    • 한국광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광학회 2002년도 하계학술발표회
    • /
    • pp.252-253
    • /
    • 2002
  • 원적외선 영역에서 혈중성분들의 분광 특성이 존재함이 확인되면서 이 영역의 빛을 이용한 혈중 성분의 정량 분석을 통한 진단기술 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1). 특히 원적외선 영역에서 특정 파장에서의 반응성을 이용한 여러 방법들 중 photo-Acoustic을 이용한 방법이 여러 가지로 연구되어지고 있다. (2) 현재 수용액 상태의 혈중 성분들의 원적외선 분광 특성을 연구하였으며, 이를 이용한 혼합 성분들의 흡수 spectrum 정량-정성 분석이 가능하며, 이러한 특성을 이용하여 non-invasive로 이용 가능한 분광법을 연구 진행 중이다. (중략)

  • PDF

커플드칼럼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한 사람 혈장 중 테르부탈린의 정량 (Determination of terbutaline in human plasma by coupled column chromatography)

  • 고미영;전상설;김경호
    • 분석과학
    • /
    • 제28권2호
    • /
    • pp.125-131
    • /
    • 2015
  • 사람혈장 중 베타투 수용체 작용약 테르부탈린의 정량법을 개발하고 밸리데이션을 실시하였다. 혈장시료를 Sep-pak 실리카를 이용하여 고상추출한 후 HPLC로 측정하였다. C18 칼럼을 사용하여 혈장 중의 방해물질로부터 테르부탈린 분획을 분리하여 실리카칼럼으로 보내어 테르부탈린과 내부표준물질을 분리 정량하였다. 두 칼럼은 짧은 실리카 전칼럼이 달린 절환밸부로 연결하여 사용하였다. C18 칼럼의 이동상에 녹아있는 테르부탈린의 분획은 전칼럼에서 농축되어 실리카칼럼으로 보내지고 형광 여기파장 276 nm와 들뜸파장 306 nm로 측정하였다. 이 분석법은 여섯 명의 혈장에서 특이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혈장 중 테르부탈린 0.4-20.0 ng/mL 농도범위에서 상관계수 0.9999로 양호한 직선성을 나타내었다. 정량한계농도는 0.4 ng/mL 농도로 정밀도가 10.1% 를 나타내었다.

콩나물중 살균제 carbendazim 잔류분의 정량 및 확인 (Determination and confirmation of the carbendazim residue in soybean sprout)

  • 김영국;박종태;홍석순
    • 농약과학회지
    • /
    • 제2권3호
    • /
    • pp.79-84
    • /
    • 1998
  • 콩나물중 carbendazim 잔류분을 정량하고 확인할 수 있는 새로운 분석법을 확립하고자 tandem HPLC(UV & FL) 및 APcI를 source로 사용한 LC/MS를 이용하였다. 이를 위해 FL(fluorescence) 검출기를 UV(ultraviolet) 검출기와 나란히 연결하여 UV 검출기의 경우 280 nm 파장을 그리고 FL 검출기의 경우는 excitation파장과 emission파장을 각각 280 mn와 310 nm로 설정하였다. 분석결과 carbendazim의 검출한계는 $0.04{\mu}g/kg$이었다. 콩나물에 carbendazim을 0.5, 1.0 및 2.0 ppm 수준으로 첨가하여 회수율을 측정한 결과 그 평균값은 89.1%이었다. APcI source를 사용한 LC/MS 질량스펙트럼 방법은 콩나물중 carbendazim 잔류분을 최종 확인할 수 있었다. APcI LC/MS 방법은 전자충격에 의한 질량스펙트럼에 비해 훨씬 간단한 fragment를 형성할 뿐 만 아니라 carbendazim의 경우 m/z 133, m/z 159, m/z 191($M^{+}$)의 전형적인 fragment 이온을 형성하므로, 이 방법을 병행한다면 콩나물중 carbendazim 잔류분을 효과적으로 확인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