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2중 분류

Search Result 4,686, Processing Time 0.039 seconds

Accuracy Assessment for Intermediate-Classified Land Cover Map Based on KOMPSAT-2 Imagery (KOMPSAT-2 화상기반의 중분류 토지피복도에 대한 정확도 평가)

  • Kim, Choen;Hong, Sung-Hoo
    • Proceedings of the KSRS Conference
    • /
    • 2009.03a
    • /
    • pp.22-25
    • /
    • 2009
  • 본 논문은 기 구축된 환경부의 중분류 토지피복도를 올해 KOMPSAT-2 화상으로 갱신하기 위한 예비연구에서 분류결과의 정확도 평가를 중점적으로 나타낸다. KOMPSAT-2 화상기반의 중분류 토지피복도는 객체지향의 분류기법을 이용하였고, 경계선 수정의 경우 반자동 기법에 의해 제작되었다. 계통표집과 임의표집에 의한 Kappa 분석에서 계통 표집의 KHAT값은 0.81, 임의표집의 KHAT값은 0.89를 각각 가지므로 거의 완벽의 일치성을 표시한다. 따라서 전술한 지도화 방법을 통해 제작된 KOMPSAT-2 화상의 중분류 토지피복도는 이용자에게 토지피복정보의 신뢰성도 함께 제공한다.

  • PDF

A Systematic Study on the Errantiate Polychaeta in Korea (한국산 유영류(다모강)의 분류학적 연구)

  • 노분조;이종위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v.3 no.1
    • /
    • pp.74-90
    • /
    • 1987
  • 한국산 유영류(다모강)의 분류학적 연구의 일환으로 1965년부터 1986년까지 우리나라의 삼면연안과 도서지방(36개 지역)에서 채집된 표본을 동정 분류하였다. 그 결과 10과 20속 31종 2 종이 밝혀졌으며 그 중 4아종 1 아종(Amphinome rostrata, Haplosyllis tentaculata, Typosyllis aciculata orientalis, Typosyllis variegata, Glycera subaenea)은 한국미기록종으로 판명되었다. 눈썹참갯지렁이 (Perinereis nuntina)는 총 36개 지역 중 11개 지역에서 채집되었으며 , 총 600여 개체중 232 개체가 채집됨으로써 우리나라에 널리 분포해있는 종으로 나타났다. 동정 분류된 표본 중 한국과 일본 해역에만 분포하는 것은 3 종이었다.

  • PDF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Woody Plants Resources in Jeiu, Korea (제주도 목본식물자원의 분포특성)

  • Kim, Chan-Soo;Son, Seok-Gu;Tho, Jae-Hwa;Kim, Ji-Eun;Hwang, Seok-In;Cheong, Jin-Hyun
    •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 /
    • v.20 no.5
    • /
    • pp.424-436
    • /
    • 2007
  • In this paper, it was discussed situations and necessities of conservation management strategy for the woody plants resources in Jeju Island. Out of 320 taxa of the woody plants distributed in Jeju, there were 62 families, 136 genus, 279 species, 28 varieties and 13 forma. Conifers, gymnosperms, were 3 families, 5 genus and 7 species as holding 2.2% of total woody plants. Broad leaves, angiosperms, were 59 families, 131 genus, 272 species, 28 varieties and 13 forma that were 313 taxa. Evergreens were 84 taxa consisting of 31 families, 45 genus, 72 species, 7 varieties and 5 forma that make up 26.8% out of total angiosperms. Deciduous were 229 taxa(73.2%) consisting of 42 families, 93 genus, 200 species, 21 varieties and 8 forma that were 122 trees(38.1%), 177 shrubs(55.1%) and 21 vine plants(6.8%). Life form spectra by dormancy, disseminule, radicoid and growth form were analysed. Thirty eight taxa including 17 families, 21 genus, 14 species and 16 varieties out of 320 taxa growing Jeju were endemic to Korea and 22 taxa of them were endemic to Jeju. The specific plant species among the woody plants in Jeju were 10 taxa in V grade, 24 taxa in IV grade and 53 taxa in III grade. These are correspondence to those of nations as 12% of V grade, 7.6% of IV grade and 17.2% of III grade.

Flora of Forest Genetic Resource Reserve in Mt. Hyangnobong (Goseong-gun, Gangwon-do) (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 향로봉(강원, 고성군)의 식물상)

  • Subin Gwak;Jaesang Chung;Young-Min Choi;Jin-Heon Song;Byun-Kyung Ryul;Kae-Sun Chang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22.09a
    • /
    • pp.42-42
    • /
    • 2022
  • 본 연구는 한반도의 중심 생태 축인 백두대간의 최북단이자 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인 향로봉(1296m) 및 칠절봉(1172m), 둥굴봉(1305m)의 관속식물상을 조사하여 생태적 가치를 연구하고 생물 종 다양성 보전을 위해 진행하였다. 향로봉을 중심으로 2021년 6월부터 2022년 8월까지 총 5회 현장 조사를 실시한 결과, 총 70과 181속 237종 12아종 21변종 1품종 등 총 271분류군으로 확인되었다. 산림청 지정 희귀식물은 총 7분류군으로, 멸종위기(CR) 등급은 날개하늘나리, 끈끈이장구채, 봉래꼬리풀로 3분류군, 취약(VU) 등급은 만삼, 금강초롱꽃 등 2분류군, 위기(EN) 등급은 두메닥나무, 국화방망이로 2분류군이 확인되었다. 북방계식물은 껍질용수염, 개시호, 만삼 등 80분류군으로, 전체 분류군 중 28.8%를 차지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한국특산식물은 한라사초, 할미밀망, 토현삼 등 17분류군이 확인되었다. 외래식물은 서양민들레, 애기수영, 토끼풀 등 11분류군이 확인되어 전체 분류군 중 3.9%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확인된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 중 V급은 날개하늘나리, 솜다리 등 2분류군으로 나타났으며, 그 외 IV급 15분류군, III급 25분류군, II급 38분류군, I급 14분류군이 확인되었다.

  • PDF

Analysis of Soil Microbes in Continuous Cropping Fields of Gastrodia elata (천마 연작지의 토양 미생물상 분석)

  • Chang Su Kim;Eun Suk Lee;Hyun Soo Jung;Jung Hyun Yoo;So Ra Choi;Young Eun Song;Sang Young Seo;Min Sil Ahn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23.04a
    • /
    • pp.36-36
    • /
    • 2023
  • 천마(天麻, Gastrodia elata Blume)는 난초과(蘭草科, Orchidaceae)에 속하는 식물로 잎과 뿌리가 없어 탄소동화능력이 없으며, 뽕나무버섯균과 공생하는 기생식물이다. 천마는 노지 재배에 따른 안정생산 문제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혹한, 폭우 등 기상환경에 따른 연차간 수량성 차가 673~1,175kg/10a로 크고, 연작에 따른 수량성이 연작 1회 시 29%, 연작 2회 시 68%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천마의 연작에 따른 토양내 미생물상의 변화를 분석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본 실험은 초작지, 연작 1회지, 연작 2회지 및 자생지의 각각 3곳에 대한 토양을 Metagenome 분석법을 활용하여 미생물상을 분석하였다. metagenome 분석 결과, 초작지 3곳의 시료를 이용하여 확보한 총 read는 699,221개였으며, 이 중에서 Eukaryota로 분류되지 않은 read는 1,377개(0.2%), no hit, not assign된 read는 10,510개 (1.5%), Bacteria로 분류된 read는 342,916개(49.0%), Eukaryota로 분류된 read는 총 344,418개(49.3%)였다. 그리고 천마의 생육에 영향을 주는 Fusarium 속과 종은 3곳 포장에서 고르게 분포하고 있으며, 총 11,242 read로 전체의 3.3%를 차지하였다. 연작 1회지 3곳의 시료를 이용하여 확보한 총 read는 655,097개였으며, 이 중에서 Eukaryota로 분류되지 않은 read는 1,694개(0.3%), no hit, not assign된 read는 18,985개(2.9%), Bacteria로 분류된 read는 312,201개(47.7%), Eukaryota로 분류된 read는 총 322,217개 (49.2%)였다. 그리고 천마의 생육에 영향을 주는 Fusarium 속과 종은 3곳 포장에서 고르게 분포하고 있으며, 총 11,597 read로 전체의 3.6%를 차지하였다. 연작 2회지 3곳의 시료를 이용하여 확보한 총 read는 651,624개였으며, 이 중에서 Eukaryota로 분류되지 않은 read는 1,753개(0.3%), no hit, not assign된 read는 7,995개(1.2%), Bacteria로 분류된 read는 307,178개(47.1%), Eukaryota로 분류된 read는 총 334,698개(51.4%)였다. 그리고 천마의 생육에 영향을 주는 Fusarium 속과 종은 총 43,877 read로 전체의 13.1%를 차지하였다. 자생지 3곳의 시료를 이용하여 확보한 총 read는 731,719개였으며, 이 중에서 Eukaryota로 분류되지 않은 read는 2,828개(0.4%), no hit, not assign된 read는 585개(0.1%), Bacteria로 분류된 read는 356,690개(48.7%), Eukaryota로 분류된 read는 총 371,616개(50.8%)였다. 그리고 천마의 생육에 영향을 주는 Fusarium 속과 종은 MJH01 자생지에서만 전체의 0.2%(총 660 read)로 극히 일부가 분리되었다. 따라서, 천마의 생육에 영향을 미치는 Fusarium 속과 종은 초작지 3.3%, 연작 1회지 3.6%, 연작 2회지 13.1%, 자생지 0.2%로 나타났으며, 연작 2회 시 급격히 증가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Quantitative Analysis of the Medicinal Usage in Ethnobotanical Plant Resources of Korea (한국의 민속약용식물에 대한 정량적 분석)

  • Chung, Jae-Min;Cho, Sang-Ho;Kim, Young-Sil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18.04a
    • /
    • pp.41-41
    • /
    • 2018
  • 민속식물과 그 이용에 관한 전통지식이 산업화, 도시화 및 노인 세대의 퇴장과 더불어 빠르게 사라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민속식물 주권확보 기반구축을 위하여 2005년부터 2017년까지 1차(2005~2013), 2차(2014~2017)에 걸쳐 남한 전역 및 함경북도 접경지역을 대상으로 각 지역에서 전통적으로 이용해왔으며 전승되어 온 민속식물 관련 전통지식을 발굴 및 수집하였다. 민속식물 중 약용으로 사용된 것은 121과 383속 583종 3아종 64변종 12품종으로 총 662분류군으로 확인되어 식용 다음으로 큰 비중을 차지하였다. 이는 한반도 전체 관속식물 4,881분류군의 약 13.6%에 해당하며, 총 115,236건의 조사된 전통지식 중 17.9%를 약용이 점유하여 식용(67.2%) 다음이며 용재용(4.9%), 유지용(2.5%), 관상용(1.3%) 등에 비하여 상당히 높게 나타났다. 662분류군 중 자생식물은 511분류군(77.2%)으로 나타났고, 생활형은 다년생 초본이 295분류군(44.6%)으로 낙엽성 목본(186분류군), 1년생 초본(78분류군) 등 타 생활형에 보다 높았다. 약용식물의 이용부위는 뿌리(34.1%)가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 줄기(16.2%), 잎(15.4%), 열매(12.1%), 전초(12.1%), 수피(3.2%), 종자(2.4%), 꽃(1.9%)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우리나라에서 이용빈도가 높은 상위 10개 분류군을 살펴보면 익모초, 쇠무릎, 인동덩굴, 느릅나무, 삽주, 엉겅퀴, 쑥, 질경이, 오갈피나무, 할미꽃 등의 순으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민속식물의 이용에 대한 중요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특정식물 종의 이용을 언급한 정보보유자의 수(FC: Frequency of Citations), 이용범주의 수(NC: Number of use-Categories), 특정식물을 이용하는 수(UR: number of User Reports)를 활용하여 문화적 중요도(CI: Cultural Importance), 상대적 인용빈도(RFC: Relative Frequency of Citations), 상대적 중요도(RI: Relative Importance) 및 문화적 가치(CV: Cultural Value)를 산출하여 우리나라에서 중요한 민속식물을 정량적으로 확인, 비교하였고 각 분류군별 지수도 제시하였다.

  • PDF

Analysis of Land Cover Characteristics with Object-Based Classification Method - Focusing on the DMZ in Inje-gun, Gangwon-do - (객체기반 분류기법을 이용한 토지피복 특성분석 - 강원도 인제군의 DMZ지역 일원을 대상으로 -)

  • Na, Hyun-Sup;Lee, Jung-Soo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17 no.2
    • /
    • pp.121-135
    • /
    • 2014
  • Object-based classification methods provide a valid alternative to traditional pixel-based methods. This study reports the results of an object-based classification to examine land cover in the demilitarized zones(DMZs) of Inje-gun. We used land cover classes(7 classes for main category and 13 classes for sub-category) selected from the criteria by Korea Ministry of Environment. The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of the spectrum values, and homogeneity of GLCM were chosen to map land cover types in an hierarchical approach using the nearest neighborhood method. We then identified the distributional characteristics of land cover by considering 3 topographic characteristics (altitude, slope gradient, distance from the Southern Limited Line(SLL)) within the DMZs. The results showed that scale 72, shape 0.2, color 0.8, compactness 0.5 and smoothness 0.5 were the optimum weight values while scale, shape and color were most influenced parameters in image segmentation. The forests (92%) were main land cover type in the DMZs; the grassland(5%), the urban area (2%) and the forests (broadleaf forest: 44%, mixed forest: 42%, coniferous forest: 6%) also occupied mostly in land cover classes for sub-category. The results also showed that facilities and roads had higher density within 2 km from the SLL, while paddy, field and bare land were distributed largely outside 6 km from the SLL. In addition, there was apparent distinction in land cover by topographic characteristics. The forest had higher density at above altitude 600m and above slope gradient $30^{\circ}$ while agriculture, bare land and grass land were distributed mainly at below altitude 600m and below slope gradient $30^{\circ}$.

An Analysis on Classification Retrieval Operation in University Libraries (대학도서관의 분류검색 운영 분석)

  • Lee Jong-Moon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v.36 no.2
    • /
    • pp.165-178
    • /
    • 2005
  •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status of the classification retrieval operation by investigating and analyzing the classification retrieval related to the books in the university libraries. The Investigation concentrated on whether the classification retrieval service is provided, Access Method and classification retrieval level. The data was collected from 97 libraries where URL access was available during the period of survey in 100 libraries selected by the systematic sampling. As a result, while $92.8\%$ of 97 libraries provided the classification retrieval service, $52.2\%$ of it enabled the access to classification retrieval service only by the classification number and $47.8\%$ by classification number and classification directory. Consequently, it was found that the retrieval environment in the libraries where the access was enabled only by classification number should be urgently improved for the activation of classification retrieval.

  • PDF

A Comparative Study on the Design of Classification System for Christian Information Resources on the Internet (기독교 분야 웹문서 분류체계 설계를 위한 비교 분석적 고찰)

  • Kim, Myung-Ok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
    • v.41 no.3
    • /
    • pp.127-144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ign the classification system for christian information resources on the internet in Korea. For this purpose, the study is investigated the divisions of Christianity of (1) library classifications: KDC, DDC, LCC, (2) portal sites: Daum, Empas, Naver, (3) Christianity Portal sites GodPeaple, Kidok, Godpia. And it compared the classification systems of KDC, DDC and GodPeaple. This study selected criteria as follows: comprehension, logicality, definiteness, efficiency and current topics. It suggested the classification system(draft) for christian information resources on internet which are composed of 10 classes.

A Taxonomic Study on the Ophirroidea from the Yellow Sea (황해산 거미불가사리류에 관한 분류학적 연구)

  • 이인길;입촌정일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v.3 no.2
    • /
    • pp.117-136
    • /
    • 1987
  • 해양연구소에서 1982년부터 1984년에 걸쳐 수행한 한국해역종합해양환경도작성 연구사업과 기타 해양조사중 채집된 황해산 거미불가사리를 조사한 결과, 7과 12속 25종이 동2정되었으며 이 중 Amphiura iridoides, A. syntharacha, Amphioplus asterictus , Opionereis sasakii 및 Stegophiura vivipara의 5종이 한국미기록종으로 밝혀졌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