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2위치제어

Search Result 1,165, Processing Time 0.048 seconds

Development of Vessel Guidance Light Using GPS (키넥트 센서를 이용한 조명제어)

  • Kim, Gwan-Hyung;Kim, Min;Byun, Gi-Si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1.10a
    • /
    • pp.605-606
    • /
    • 2011
  • 최근 PC 기반의 새로운 입력장치인 키넥트(Kinect) 센서에 대한 연구사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키넥트 센서의 가장 큰 이점은 2차원 평면 영상정보에 대하여 새롭게 추가된 깊이(Depth) 정보를 얻을 수 있다는 것이다. 이것은 이전에 등장했던 다른 인터페이스보다 새로운 차원의 인터페이스로서 2차원의 영상 정보로부터 한 차원 확장된 3차원의 정보를 활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그 의미가 크다고 볼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2차원 영상정보와 추가된 깊이 정보를 활용하여 사람의 영상정보와 사람의 위치 정보를 활용하여 위치한 환경의 조명을 제어할 수 있도록 시스템을 구성하였다. 또한, 키넥트의 다양한 성능을 검토하기위하여 3개의 키넥트를 사용하였으며 중첩된 영상정보를 30%의 중복도를 가지도록 구성하여 다양한 활용가능성을 검토하였다. 구현한 시스템을 통하여 사람을 추적할 수 있도록 알고리즘을 개발하고, 추적된 사람의 위치 정보를 통하여 LED 조명을 제어할 수 있는 키넥트 기반의 조명제어 시스템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상업용 가압경수로의 무붕산 운전 가능성 연구

  • 김종채;김명현;이은철
    • Proceedings of the Korean Nuclear Society Conference
    • /
    • 1996.05a
    • /
    • pp.106-111
    • /
    • 1996
  • 600MWe급 상업용 가압경수로의 무붕산운전 가능성을 핵설계 측면에서 검토하였다. 기본 원자로 핵연료 형태는 AP600 기준으로 무붕산 노심이 가능하도록 핵연료 농축도, BP 재질/갯수/위치/농도, 제어봉의 재질/위치/갯수등의 설계 변수등을 변화시켰다. 핵연료 농축도는 1.95w/o, 2.9w/o, 3.5w/o를 사용하였으며, BP의 갯수는 8에서 24개까지 사용하였으며, 재질은 Gd$_2$O$_3$, 농도는 축방향 출력분포를 평탄화 시키기 위하여 10w/o-14w/o를 사용하였다. 제어봉 설계에서 재질은 경제적이며, 제어봉가가 큰 B$_4$C를 사용하였으며, 반응도 제어에는 weak 제어봉을 사용하여 출력분포에 대한 영향을 최소화 하도록 설계하였다. 또한 출력분포제어에는 독립적으로 작동되는 고반응도가의 제어봉을 설정하여 노심 상부에서 동작하게 함으로써 반응도에 미치는 영향이 적도록 설계하였다. 설계 결과 아직 안전성 확보 여부에 대한 연구가 수행되지 않은 상태이나 주기초에서 주기말까지 잉여반응도를 1% 미만으로 유지하고, 축방향 BP zoning이 이루어지면 현재의 상업용 원자로에도 무붕산 운전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주기초 A.O.가 -14%, 제어봉의 삽입과 인출에 따른 국부 첨두치가 2.16으로 나타나 안전성 확보에도 큰 어려움은 없을 것으로 생각된다.

  • PDF

Linearized Modeling and Variable Position Control of Magnetic Levitator Using DSP (선형화 기법을 사용한 자기부유기 모델링과 DSP기반 가변 위치 제어)

  • 김정재;송승호
    •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Power Electronics
    • /
    • v.9 no.2
    • /
    • pp.158-162
    • /
    • 2004
  • The magnetic levitator is the device which can float a magnetic material at the midair by electromagnetic force and it's principle can be applied to the high speed magnetic bearing or magnetic levitation train. There are many difficulties to control, because the magnetic levitator is basically a nonlinear and unstable system. In this paper, this system is modeled assuming that it is a linear system nearby an operating point, and a proportional and derivative(PD) position controller is designed to carry out the variable position control. The performance of position control response is shown through simulation and experiment. A prototype magnetic levitator is constructed using PWM converter and DSP(Digital Signal Processor) based control board.

High Performance Control of Container Crane using Adaptive-Fuzzy Control (적응 퍼지제어를 이용한 컨테이너 크레인의 고성능제어)

  • Jung, Dong-Hwo;Kim, Do-Yun;Jung, Byung-Jin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ll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 /
    • v.23 no.2
    • /
    • pp.115-124
    • /
    • 2009
  • This paper proposed an adaptive fuzzy controller for controlling speed and positions of a container crane. The motor used in container crane is installed as SynRM with variable-speed drive having the robustness on the problems of energy and environment. The conventional PI controller is not able to accurately track the position, speed and sway angle of trolley due to the factors of environment and the parameter variety. In the paper, we analyzed the performance of SynRM derive applied to the container crane by using an adaptive fuzzy control of SynRM in order to solve those problems. This paper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position and speed response and compared the performance of PI controller with an adapative Fuzzy controller, proving the validity.

2차 유동 분사에 의한 추력 방향 제어(TVC)에 관한 2차원 및 3차원 유동해석

  • 오대환;구상모;손창현;이중원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opulsion Engineers Conference
    • /
    • 1999.04a
    • /
    • pp.15-15
    • /
    • 1999
  • 2차 유동 분사에 의한 추력 방향 제어 방법은 복잡한 기계적 작동장치와 이에 따른 무게의 증가를 배제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유동 해석을 통하여 2차원 및 3차원 초음속 수축-팽창 노즐 유동에 2차 유동을 분사하여, 2차 유동의 분사 위치, 분사 유량 및 분사 각도 등이 추력의 방향 및 크기에 미치는 영향을 밝혀 추력 방향 제어를 위한 최적의 2차 분사 조건을 제시하였다. 유동 해석 결과 2차 유동의 분사 위치는 생성된 경가 충격파가 노즐 출구까지 분포되는 지점이 최대 전향각과 횡추력을 가지는 분사위치임을 알 수 있었고, 분사 각도는 주 유동의 역방향으로 분사하는 것이 수직방향으로 분사하는 것보다 더 큰 전향각을 얻을 수 있었다. 또한 2차원의 경우보다 3차원 유동에서 큰 전향각이 생김을 알 수 있었다.

  • PDF

Moving magnet operator monitoring system with high-precision position control (고정밀 위치제어가 가능한 자석가동자 모니터링 시스템)

  • Kim, Hong-youn;Kim, Seu-hong;Piao, Hai-lia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21.11a
    • /
    • pp.756-759
    • /
    • 2021
  • 본 논문은 기존의 5축 치아가공기나 반도체장비등에 사용하고 있는 회전형 모터의 경우는 엔코더와 리졸버를 사용하고 있다. 엔코더와 레졸버는 고가이므로 실제 산업현장에서 전동기의 위치 센서로는 적용하기가 힘들다. 또한 엔코더와 레졸버와 같은 광학식 위치센서는 그 크기와 내구성에 있어 약점이 있기 때문에 취부 할 때에도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5축치아가공기에 적용하기 위해서 자석가동자를 만들었으며,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는 방안으로 리니어모터를 고정자로 하고 자석플레이트를 이동자로 하는 시스템과 별도의 리니어 스케일을 배제하고 기존의 정현파를 발생하는 2개의 리니어홀센서 및 영구자석을 이용하여 가동자의 절대위치와 이동 위치를 검출할 수 있는 리니어 모터 및 그 제어방법, 안정성 및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자석가동자를 이용하여 구동시 실시간으로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고 제어할 수 있는 모니터링 시스템을 개발하는 연구이다.

Position Error Compensation at the Sensorless Control of PMSM using Rectangular 2 Hall Sensors (구형파 2-Hall Sensor를 사용한 영구자석형 동기전동기의 센서리스 제어시의 위치오차 보상)

  • Kim, Kyung-Min;Lee, Jung-Hyo;Hwang, Chun-Hwan;Won, Chung-Yuen
    •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Power Electronics
    • /
    • v.14 no.1
    • /
    • pp.82-88
    • /
    • 2009
  • Low costed position sensor or sensorless control method is generally used in the motor control for home appliance because of the material cost and manufacture standard restriction. In conventional sensorless method, the stator resistance and back-EMF coefficient are varied by the motor speed and load torque variation. Therefore, position error occurred when the motor is operated by sensorless control method because of these variations. In this paper, the compensation method is proposed for sensorless position error using 2 hall sensors.

Development of Secure Access Control System for Location Information on Smart Phone (스마트폰 위치정보에 대한 안전한 접근제어 시스템 개발)

  • Jang, Won-Jun;Lee, Hyung-Woo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Security & Cryptology
    • /
    • v.21 no.2
    • /
    • pp.139-147
    • /
    • 2011
  • More convenient and value-added application services can be provided to user in case of using location-based service on Smart phone. However, privacy problem will be happen when an application disclosures the personal location information. Therefore, each user should securely control and manage his own personal location information by specifying access control list and profiles. In this study, we implemented personal location information self-control protocol and developed secure personal location management system with OTP based authentication procedure.

Position Control of Sliding Mode Control Systems with Compensation of Estimated Coulomb friction (추정된 쿨롱 마찰을 보상한 슬라이딩 모드 제어 시스템의 위치제어)

  • 김한메;최정주;이영진;김종식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Precision Engineering
    • /
    • v.21 no.2
    • /
    • pp.35-42
    • /
    • 2004
  • The control systems with friction cause the steady state error and slow response, because friction is a sensitive to the change of system condition and has highly nonlinear characteristics. To overcome these problems and do precise position control for a ball-screw system, we use Coulomb friction estimator and the sliding mode control(SMC) to compensate its negative effect. The applied SMC for tracking position has a characteristics of robust stability and reducing chattering, and is derived from the Lyapunov stability theorem and reaching condition. Compensating the estimated friction torque to the bounded disturbance term of the SMC's equivalent control input, it has a tracking performance better than the PID from the experimental results.

Estimate of walking state of the knee disarticulation prosthesis using position control algorithm of absolute encoder (절대위치 엔코더의 위치제어 알고리즘을 이용한 의지 장치의 보행 상태 추론)

  • Song, H.J.;Park, J.Y.;Shim, J.H.
    • Journal of rehabilitation welfare engineering & assistive technology
    • /
    • v.7 no.2
    • /
    • pp.1-5
    • /
    • 2013
  • In this paper, we proposed how to estimate the walking state in the knee disarticulation prosthesis's knee angle control. In control of the knee disarticulation prosthesis, we can estimate walking state that measurement of knee angle using absolute encoder and measurement of load on the soles using strain gage. We suggested a method of estimating the current walking states which can be divided into four cases and showed the effectiveness of the method via a series of experiment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