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2상류

Search Result 1,520,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An Optimal Control Theory on Economic Benefits of Dam Management: A Case of Aswan High Dam in Egypt (최적제어 이론을 이용한 댐 토사관리방안 : 이집트 아스완 댐 사례)

  • Lee, Yoon;Kim, Dong-Yeub
    • Journal of Environmental Policy
    • /
    • v.9 no.2
    • /
    • pp.41-55
    • /
    • 2010
  • This paper analyzes optimal watershed management focusing on reservoir-level sediment removal techniques. Although dams and reservoirs provide several benefits, sedimentation may reduce their storage capacity. As of today, the Aswan High Dam (AHD) in Egypt faces approximately 76% reduced life of the reservoir. Since the AHD is the major fresh water source in Egypt, sustainable use of this resource is extremely important. A model is developed to simultaneously determine optimal sediment removal strategies for upstream soil conservation efforts and reservoir-level sediment control. Two sediment removal techniques are considered: mechanical dredging and hydro-suction sediment removal system (HSRS). Moreover, different levels of upstream soil conservation efforts have introduced to control soil erosion, which is a major contributor of reservoir storage capacity reduction. We compare a baseline case, which implies no management alternative, to non-cooperative and social planners' solution. Our empirical results indicate that the socially optimal sediment removal technique is a mechanical dredging with unconstrained amount with providing a sustainable life of the reservoir. From the empirical results, we find that social welfare can be as high as $151.01 billion, and is sensitive to interest rates and agricultural soil loss.

  • PDF

Analysis of Flow Characteristics of the Improved-Pneumatic-Movable Weir through the Laboratory Experiments (실내실험을 통한 개량형 공압식 가동보의 월류흐름 특성 분석)

  • Lee, Kyung Su;Jang, Chang-Lae;Lee, Namjoo;Ahn, Sang Jin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47 no.11
    • /
    • pp.1007-1015
    • /
    • 2014
  • This study investigates the discharge coefficient of Improved-Pneumatic-Movable (IPM) weir through the weir, a kind of movable weirs, to estimate much more accurate rating curves using laboratory flume experiments. The discharge coefficient ($C_d$) is from 0.613 to 0.634 by the stand-up angle of the weir. The upstream Froude Number ($F_{r1}$), relative crest length(${\xi}$), Headwater Ratio ($H_1/W$), the Overflow depth ratio of weir crest ($y_c/y_1$) was changed by the upstream. And the downstream Froude number ($F_{r2}$), the Overflow depth ratio of weir crest and Downstream Water depth ($y_c/y_2$) was changed by the downstream. The ratio of Downstream and Up and Downstream water Depth (${\Delta}y/y_2$) was found to be changed by both of the up and downstream flow. They considered the major influence variables and derived the Discharge coefficient Formula at this study. The Discharge coefficient of the Improved-Pneumatic-Movable (IPM) weir was settled by the height of the Movable weir, that is to say, it was settled by the flow conditions of upstream approach flow head and physical data according to the standing angle.

Study on the Sandblast Machine in Painting of Steel Structures for Environmental Pollution Prevention (공해방지를 위한 강구조물의 도장용 샌드블라스트 장치에 관한 연구)

  • 임우조;황태호;이진열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Tribologists and Lubrication Engineers Conference
    • /
    • 1996.05a
    • /
    • pp.47-52
    • /
    • 1996
  • 본 연구에서는 각종 강구조물의 도장전 샌드블리스트 작업에 다른 공해를 방지하기 위해, 모래-물의 2상류를 분사할 수 있는 샌드블라스트 장치를 제작하여, 2상류 분사에 따른 마멸-부식(wear-corrosion)특성과 slurry erosion에 의한 anchor pattern 및 침식-마멸거동을 고찰하고, 물에 의한 강구조물의 부식방지를 위한 부식억제제가 강구조물의 도막에 미치는 방식특성을 구명함으로써 공해방지, 부식손상 및 산업의 국제경쟁력 향상에 기여하고자 한다.

  • PDF

2차원 수치모형을 이용한 만곡부 흐름특성 분석 (섬진강을 중심으로)

  • Kim, Joon-Tae;Jang, Chang-Lae;Yun, La-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8.05a
    • /
    • pp.1594-1598
    • /
    • 2008
  • 자연하천에서의 형상은 직류하천보다는 어느 정도 만곡이 있는 사행하천이다. 이러한 만곡부가 교호적으로 나타나는 사행하천의 흐름구조는 매우 복잡하며, 이차류가 발생하는 만곡부에서 직류하천에서 예상되는 흐름분포를 왜곡시킴으로써, 유사의 이동, 횡방향의 유속분포가 다르게 나타난다. 이러한 만곡부의 흐름 특성은 만곡부 외측에 측방세굴과 수면교란, 그리고 수위를 상승시키며, 에너지 손실을 가져온다. 일반적으로 사행하천의 만곡부 외측에는 소(pool)가 발달되고, 내측에는 이차류에 의해 강턱 퇴적을 유발함으로써 점 사주(point bar)가 형성된다(우효섭, 2001). 본 연구에서는 사행하천이 비교적 발달한 섬진강 상류 덕치지구 구간에 대하여 2차원 수치모형인 RMA-2 모형을 이용하여 만곡부의 흐름특성을 분석하였다. 분석한 결과 유속의 분포는 만곡부 상류부에서 최대 흐름의 구역이 나타났으며, 만곡부에서는 흐름의 편향구역과 정체구역, 그리고 만곡부 하류부에서 에너지 손실이 일어난 후 흐름의 회복구역으로 흐름의 특성을 나타났다. 또한 수위의 분포는 상류부에서 점차적으로 수위가 감소하다가 만곡부에서 수위가 상승하였고 만곡부가 끝나는 하류부에서의 수위는 감소하였다. 만곡부에서의 횡적인 수위 분포는 만곡부의 외측이 내측보다 수위가 상승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2차원 수치모형인 RMA-2 모형을 이용한 만곡부의 흐름 특성은 만곡부에서의 홍수위 상승에 대한 검토로서 하천의 바람직한 치수관리 방안에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Analysis of Influence on Stream Water Quality by Soil Erosion Control Structures (사방공작물이 계류수질에 미치는 영향 분석)

  • Park, Jae-Hyeon;Kim, Choonsig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 /
    • v.102 no.4
    • /
    • pp.571-577
    • /
    • 2013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stablish the construction guidelines of soil erosion control structures for a restoration of mountain stream with analysis of water quality around constructed soil erosion control structures in mountain streams. Water pH of the Uidong valleys in Bukhansan (Mt.) was similar between the constructed soil erosion control structures of lower stream areas [pH 6.53(6.25~6.82)] and the non-constructed areas of upper stream areas [pH 6.32(5.73~6.90)]. Mean concentration of dissolved oxygen was also similar between the constructed soil erosion control structures of lower steam areas [10.2 mg/L(9.9~10.4 mg/L)] and the non-constructed areas of upper stream areas [10.3 mg/L (9.6~10.6 mg/L)]. Mean electric conductivity was similar between the lower [$63.9{\mu}S/cm$ ($32.6{\sim}120.4{\mu}S/cm$)]a nd the upper stream areas [$62.2{\mu}S/cm$ ($40.3{\sim}89.5{\mu}S/cm$)]. Mean concentration of anions was also similar between the lower [15.94 mg/L (3.43~7.98 mg/L)] and the upper stream areas [14.51 mg/L (2.56~4.29 mg/L)]. Water pH of the Honggei valleys in Sancheong-gun was similar between the lower [pH 6.86(6.50~7.10)] and the upper stream areas [pH 6.89(6.61~7.12)]. Mean concentration of dissolved oxygen was also similar between the lower [11.9 mg/L(11.5~12.3 mg/L)] and the upper stream areas [12.2 mg/L (11.6~12.6 mg/L)]. Mean electric conductivity was similar between the lower [$633.4{\mu}S/cm$ ($31.6{\sim}34.6{\mu}S/cm$)] and the upper stream areas [$32.7{\mu}S/cm$ ($31.4{\sim}34.3{\mu}S/cm$)]. Mean concentration of anion was also similar to both stream areas [1.0 mg/L (0.1~2.2 mg/L)]. Water quality in the Uidong and the Honggei valleys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constructed soil erosion control structures of lower stream areas and the non-constructed areas of upper stream areas. It will be needed to study the time-series analysis of water quality before and after the construction of soil erosion control structure the restoration of mountain streams because the water quality in mountain streams could be affected during the construction processes of structures.

Properties of Channel and Evolutions of Fluvial Terraces in Odae River (오대천의 특성과 하안단구의 형성과정)

  • Lee, Gwang-Ryul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44 no.3
    • /
    • pp.224-239
    • /
    • 2009
  • This study analyzes the properties of fluvial landforms in the upper and lower reaches and investigates the evolutions of stream and fluvial terrace in the Odae river basin. The lower basin of the river that consist of sedimentary rocks resistant to weathering and erosion processes shows higher altitude, relief and slope than the upper basin that consist of granite less resistant to weathering and erosion processes. The average width of river valley at the lower reaches is one-third to the upper reaches and the average width of river channel at the lower reaches is narrower than at the upper reaches. Based on the OSL age dating, the fluvial terrace T1 formed at the temperature-rising period during the late MIS 2 and T2 formed at the middle MIS 3, interstadial period during the last glacial period. Based on the these results, the average incision rates of Odae river are calculated as 0.205m/ka and 0.269m/ka at the upper granite area and lower sedimentary rocks area, respectively.

Construction of Flood Routing Model in Milyang River using HEC-RAS Model (HEC-RAS 모형을 이용한 밀양강 홍수추적모형 구축)

  • Kim, Sang Ho;Kim, Ji Sung;Kim, Won;Choi, Kyu Hy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340-340
    • /
    • 2015
  • 기상이변에 따른 강우강도의 증가는 국지성 집중호우로 나타나게 되고, 이러한 강우양상은 하천에서의 홍수위 증가로 나타나 여러 가지 하천재해가 발생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대하천으로 유입되는 지류 합류부에서의 수리학적 특성을 살펴보기 위한 사전 연구로 비교적 규모가 큰 지류하천에 대한 부정류 모의를 수행할 수 있는 홍수추적모형을 구축하였다. 대상 하천은 지류 내 하도가 루프의 형태를 띠고 있는 밀양강을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낙동강의 제1지류인 밀양강에서 낙동강 합류부로부터 30.74 km 상류에 위치한 밀양강의 상동수위관측소를 상류단으로 선정하고 낙동강과 합류하는 밀양강 하류단을 대상구간으로 선정하였다. 상류 경계단인 상동수위관측소에서 측정된 수위자료는 유량자료로 환산하여 상류단 경계조건으로 사용하였으며, 하류단 경계조건은 낙동강 본류의 수산교 수위관측소와 삼랑진 수위관측소에서 측정된 수위자료를 밀양강 합류부까지의 거리 보정을 통해 밀양강 하류단의 수위자료로 사용하였다. 그림 1은 밀양강의 상동수위관측소에서부터 낙동강 합류부까지 구간에 대한 모식도를 나타내고 있으며, 그림 2는 밀양1 지점에 대한 모의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단장천 유입 이후 밀양강 본류가 두 개의 루프형으로 분류되었다가 다시 합류하는 하도의 형태를 가지고 있어 보다 복잡한 검증과정이 요구되었다. 본 연구에서 구축된 밀양강에 대한 수리학적 해석모형은 지류 합류부에서의 배수영향에 의한 수리특성을 분석하는데 활용될 것이다.

  • PDF

Analysis of the Appropriateness of Flood Prevention by Design Flood Discharges According to the Plan to Change the Channels of the Banpocheon and the Construction if the Reservoir Tunnel in the Sadangcheon (반포천의 유로변경 계획 및 사당천의 저류터널 건설에 따른 계획홍수량별 홍수저감 적정성 분석)

  • Hwang, Ingyu;Park, Kidoo;Park, Jongho;Jung, Youngh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196-196
    • /
    • 2022
  • 최근 기후변화로 인한 집중호우가 발생함에 따른 도시 저지대홍수의 대표적인 사례로, 외수위 상승으로 인한 내수 침수 발생과 배수위(backwater) 발생은 상류 저지대의 내수배제 불량으로 인한 홍수피해가 주된 원인 중 하나로 판단된다. 저지대 내수침수사례로는 서울 강남 및 서초 일대 지역이 대표적이며, 내수침수해 저감을 위한 다양한 치수 사업이 제안된 바 있다. 반포천의 경우 반포천 상류 저지대의 홍수 저감을 위해 중·상류 지역의 유역변경계획이 수립되었다. 또 한, 사당천의 경우 이수-과천 복합 터널을 건설, 홍수 저류지를 조성하여 도심지 상류 침수 저감 계획을 수립하였다. 반포천은 한강의 제1지류로서 제2지류인 사당천과 함께 대표적인 도시하천으로서 상습적으로 내수침수가 과거에 빈번히 발생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1차원 동수역학 모형인 HEC-RAS 모형을 사용하여 반포천 및 사당천의 계획홍수량 변화에 따른 반포천 유역 합류부에서 계획홍수위의 배수효과 발생 및 내수침수피해의 저감효과를 분석하였다.

  • PDF

Developement of a 2D Numerical Model Using th WAF Method (WAF기법을 이용한 2차원 유한체적모형의 개발)

  • Han, Kun-Yeun;Kim, Byung-Hyun;Kim, Tae-Hyung;Lee, Dong-Gu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8.05a
    • /
    • pp.1742-1746
    • /
    • 2008
  • 지금까지의 대부분의 2차원 수리해석 모형은 상류와 사류가 혼재된 불연속적인 천이류 흐름을 해석하기에 계산의 정확도 및 현실성에서 많은 문제를 보이고 있으며, 특히 계산과정에서 나타날 수 있는 마른하도의 처리에 있어서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유한체적기법을 사용하여 상류와 사류가 혼재하는 불연속적인 하천 천이류를 안정적으로 해석하기 위해 개발된 고정확도 수치모형의 자연하도 적용에 있으며, 또한 마른 하도로 전파되는 흐름 모의 및 계산과정에서 나타날 수 있는 마른하도 처리의 어려움을 해결함으로써 모형의 정확도와 안정성을 검증하여 실제 하천에서의 모형 적용성을 검토함에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흐름의 전파양상을 정확하게 반영할 수 있는 상류이송기법인 Godunov 기법과 관심격자의 좌우 격자 정보를 모두 사용하는 대표적 중앙차분기법인 Beam-Warming 기법의 장점을 모두 반영한 가중평균흐름률 (Weighted Average Flux) 기법을 사용하여 사각격자망의 구성을 통해 자연하도에 적용시킬 수 있는 2차원 유한체적모형을 개발하고자 하였고, 개발된 모형의 안정성, 정확도, 적용성을 검증하기 위해 직사각형 수로, 큰 사행비를 가진 만곡수로에 적용하고, 그 결과를 수리모형 실험결과와 비교, 분석하였다.

  • PDF

어도 수리실험을 통한 어류 이동의 적합성 검증

  • Kim, Jin-H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8.05a
    • /
    • pp.439-443
    • /
    • 2008
  • 본 연구는 어도에서의 어류이동의 적합성을 검증하기 위해 어도 수리실험을 통해 흐름에 따른 어류이동을 조사하는 것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실험은 모형이 아닌 거의 실물에 가까운 원형 수준의 어도를 제작하였다. 물고기는 피라미를 준비하였으며, 어도 내부에 넣고 흐름을 형성시켜 어류의 거동을 비디오로 촬영하였다. 어도 격벽은 두께를 t=0.1m, 어도 폭은 B=1.0m, 격벽간 거리는 L=$1.0{\sim}2.0m$, 격벽간 낙차는 ${\Delta}H=0.1m$로 하여 각 경우에 따른 실험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에 따르면 어류 이동에 효율적인 흐름의 속도는 $1.0{\sim}1.5$(m/s)임을 나타내고 있는데, 이는 기존 피라미의 선호유속(0.8m/s)보다 높은 편으로서, 이는 어류의 상류이동을 위해서는 선호유속보다 약간 높은 유속을 형성시킴으로써 어류가 상류로 이동하려는 의욕을 가지게 하는 것이 중요함을 시사하였다. 상기 실험 결과를 바탕으로 어류(피라미)의 상류 이동에 적합한 계단식 어도는 경사가 1/20이고, 상하류 격벽 단차가 10cm 정도로서 순환류가 약하게 형성되며, 월류 흐름의 속도가 $1.0{\sim}1.5$(m/s)를 유지하는 형태임을 알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