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2,6-dimethylnaphthalene

검색결과 11건 처리시간 0.037초

접촉분해경유에 함유된 2,6-dimethylnaphthalene의 분리, 정제(II) - Dimethylnaphthalene 이성체 성분간 분리 - (Separation and Purification of 2,6-dimethylnaphthalene in the Light Cycle Oil(II) - Separation of Individual Isomers of Dimethylnaphthalene -)

  • 김수진;김상채;카와사키 준지로
    • 공업화학
    • /
    • 제7권5호
    • /
    • pp.869-876
    • /
    • 1996
  • 접촉분해경유(LCO)중에 함유된 2,6-dimethylnaphthalene(2,6-DMNA)의 분리, 정제를 위한 후처리조작으로서 고농도의 dimethylnaphthalene(DMNA) 이성체 혼합물을 함유한 유출액으로부터 2,6-DMNA의 정제를 정석-재결정의 조합에 의해 검토했다. 유출액의 정석에 의해 회수된 결정중에는 2,6-DMNA, 2,7-dimethylnaphthalene(2,7-DMNA)과 2,3-dimethylnaphthalene(2,3-DMNA)이 농축되어, 이들 3 이성체와 그 외의 DMNA 이성체간 분리는 가능하였으나, 2,6-, 2,7-과 2,3-DMNA 이성체간의 분리는 곤란했다. 2,6-DMNA의 정제에 적합한 용매의 선정을 위해, 재결정 용매로 Hexane, iso-propyl ether, ethyl acetate와 ethanol을 사용하여 2,6-과 2,7-DMNA의 용해도를 측정한 결과, 2,6-DMNA의 정제에는 ethanol이 가장 적합한 용매이었다. 또, 원료로 정석에서 회수된 결정을, 용매로 ethanol을 사용하여 재결정을 행해 2,6-DMNA의 정제에 대한 조작인자의 영향을 검토한 결과, 재결정 온도의 상승 및 용매/원료 질량비가 증가함에 따라서 2,6-DMNA의 정제는 용이했다. 본 연구에서 채용한 정석-재결정법은 DMNA 이성체 성분간 분리에 대한 유효한 분리조합의 하나임이 입증되었다.

  • PDF

시판 미역 및 쌀엿의 이취성분(異臭成分) 규명 (Identification of Off-Flavor in Sea Mustard and Rice Syrup Sold in the Markets)

  • 김현위;이윤경;심건섭;장윤경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728-732
    • /
    • 1998
  • 시판되고 있는 가공식품 중 이취(異臭) 미역 및 이취(異臭) 쌀엿의 냄새성분을 규명하고, 이의 발생원인을 밝히고자 하였다. 이취 미역에서는 naphthalene,2-methylnaphthalene, 1-methylnaphthalene, 2,6-dimethylnaphthalene, 1,5-dimethylnaphthalene, 1,8-dimethylnaphthalene, 2,7-dimethylnaphthalene, 1,4,6-trimethylnaphthalene, 2,3,6-trimethylnaphthalene 등 나프탈렌계화합물들이 검출되었으며, 이취 쌀엿에서는 butanoic acid, hexanoic acid, heptanoic acid, octanoic acid, nonanoic acid, decanoic acid, dodecanoic acid,tetradecanoic acid 등 유리지방산 및 2-furanmethanol, 2-furancarboxaldehyde 이 검출되었다. 미역의 이취 생성원인은 채취선박의 페인트 오염으로부터, 쌀엿은 변패된 쌀을 당화의 원료로 사용한데 기인한 것으로 본다.

  • PDF

결정화 조작에 의한 Dimethylnaphthalene 이성체 혼합물 중의 2,6-dimethylnaphthalene의 분리 (Separation of 2,6-dimethylnaphthalene in Dimethylnaphthalene Isomers Mixture by Crystallization Operation)

  • 강호철;김수진
    • 공업화학
    • /
    • 제25권1호
    • /
    • pp.116-120
    • /
    • 2014
  • 접촉분해 가솔린 제조공정의 부산물의 하나인 접촉분해경유(LCO)는 많은 유용 방향족 성분을 함유하고 있다. 그 중에서도 특히 2,6-dimethylnaphthalene (2,6-DMN)은 PEN 수지, 고분자 액정 등의 기초 원료로서 주목된다. 지금까지 중유에 혼합되어 연료로서만 사용되고 있는 LCO로부터 2,6-DMN 등과 같은 유용 방향족 탄화수소를 분리, 정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면 자원의 유용이용이라는 관점에서 그 의미는 매우 크다. 본 연구는 melt crystallization (MC)과 solute crystallization (SC)의 조합에 의해 2,6-DMN의 고순도 정제를 검토했다. MC와 SC의 원료로서는 증류-추출 조합에 의해 LCO로부터 회수한 DMN 이성체 혼합물(2,6-DMN의 농도: 10.43%)과 MC로부터 회수한 결정을 각각 사용했다. SC의 용매는 메탄올과 아세톤 혼합물(60 : 40 wt%)을 사용했다. MC-SC의 조합에 의해 99.5%의 2,6-DMN 결정을 회수할 수 있었다. MC-SC는 DMN 이성체 혼합물에 함유된 2,6-DMN의 고순도 정제에 매우 유용한 조합의 하나임을 확인했다.

접촉분해경유에 함유된 2,6-dimethylnaphthalene의 분리, 정제(I) -접촉분해경유에 함유된 dimethylnaphthalene이성체 혼합물의 농축- (Separation and Purification of 2,6-dimethylnaphthalene in the Light Cycle Oil(I) -Concentration of a mixture of dimethylnaphthalene isomers in the light cycle oil-)

  • 김수진;김상채;카와사키, 준지로
    • 공업화학
    • /
    • 제7권1호
    • /
    • pp.162-170
    • /
    • 1996
  • 접촉분해경유(Light Cycle Oil : LCO)중에는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및 고분자 액정 등의 기초 원료로서 각광 받고 있는 2,6-dimethylnaphthalene(2,6-DMNA)이 함유되어 있다. 본 연구는, LCO중에 함유된 2,6-DMNA의 분리, 정제를 위한 전처리조작으로서 LCO중에 함유된 dimethylnaphthalene(DMNA)이성체 혼합물의 농축을 추출-증류의 조합에 의해 실험적으로 검토했다. 또, LCO중에 함유된 DMNA이성체 혼합물의 농축에 대한 증류와 추출-증류의 조합을 비교, 검토하였다. Dimethylsulfoxide수용액을 용매로 사용한 회분병류 5회 평형추출로서 LCO중에 함유된 방향족 성분을 회수한 결과, 회수된 추출유중의 나프탈렌류 성분(탄소수 : 10-12)의 농도는 LCO중의 나프탈렌류 성분의 그것에 비해 높았으며, 나프탈렌류 성분의 수율은 탄소수가 작은 성분일수록 컸다. 5회 평형추출에 의한 DMNA이성체 혼합물의 회수율은 65wt%이었다. 추출유의 회분증류로서 얻어진 DMNA을 함유한 유출액을 재차 회분증류함으로서 60wt%의 고농도 DMNA이성체 혼합물을 함유한 유출액의 회수가 가능했다. LCO중에 함유된 DMNA이성체 혼합물의 농축에는 LCO의 직접증류보다 추출-증류의 조합이 더 효과적이었다.

  • PDF

Co-Mn-Br계 균일촉매를 이용한 2,6-Dimethylnaphthalene의 산화반응 (Oxidation of 2,6-Dimethylnaphthalene by Co-Mn-Br Based Homogeneous Catalyst)

  • 김동범;박승두;차운오;노항덕;곽규대
    • 공업화학
    • /
    • 제10권6호
    • /
    • pp.863-870
    • /
    • 1999
  • 본 연구에서는 촉매로 Co-Mn-Br계를 사용하고, 상대적으로 온화한 반응조건에서 2,6-Dimethylnaphthalene(DMN)의 산화 반응 특성과 촉매가 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였다. 이를 위해 $2{\ell}$의 회분식 반응기를 이용하여 촉매의 농도를 조절하며 실험하였다. 먼저 반응시간에 따른 반응중간생성물의 농도변화를 분석하여 반응경로를 확인하였고, 그 결과 2-formyl-6-naphthoic acid, 2-methyl-6-naphthoic acid, 그리고 2-hydroxymethyl-6-methylnaphthalene이 반응중간물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2,6-naphthalene dicarboxylic acid(NDA)의 수율은 Co와 Br의 농도에 많은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알 수 있었고, 제품의 품질 척도 중 하나인 color-b는 Mn의 농도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용매연소는 Mn과 Br의 농도조절로 줄일 수가 있었다. 조촉매로 Ce/Cu 화합물을 첨가함으로 NDA의 수율을 증가시키고 용매연소를 줄이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 PDF

접촉분해경유 중의 2,6-dimethylnaphthalene (2,6-DMN)의 고순도 정제 - 결정화에 의한 DMN 이성체 농축액 중의 2,6-DMN의 정제 - (High-Purity Purification of 2,6-Dimethylnaphthalene (2,6-DMN) in Light Cycle Oil - Purification of 2,6-DMN from Concentrate of DMN Isomers by Crystallization -)

  • 김수진;정화진
    • 공업화학
    • /
    • 제19권1호
    • /
    • pp.105-110
    • /
    • 2008
  • 증류-추출의 조합에 의해 접촉분해경유(LCO)로부터 회수한 dimethylnaphthalene (DMN) 이성체 농축액을 원료로 사용하여 결정화조작을 행해 2,6-DMN의 정제를 검토했다. 2,6-DMN의 정제에 적합한 용매의 선정을 위해 13종의 용매(acetone, cyclohexanone, ethanol, ethyl ether, ethyl acetate, isopropyl ether, methanol, n-hexane, n-heptane, pyridine, THF, toluene, methanol과 acetone의 혼합용매)를 사용하여 결정화조작을 행한 결과, 60 vol% methanol과 40 vol% acetone의 혼합용매(M/A = 1.5)가 2,6-DMN의 순도 및 수율의 측면에서 우수한 정제성능을 보였다. 결정화 온도의 상승 및 용매(M/A = 1.5)/원료(농축액)의 체적비의 증가는 2,6-DMN의 순도를 향상시켰으나, 역으로 수율의 저하를 초래시켰다. DMN 이성체 농축액을 원료(10.43 wt% 2,6-DMN)로 사용한 결정화를 통해 회수한 결정(76 wt% 2,6-DMN)을 원료로 사용하여 재차 결정화조작을 행한 결과, 40%의 수율로 99.7 wt% 2,6-DMN의 결정을 얻을 수 있었다.

결정화조작에 의한 접촉분해경유 유분에 함유된 2,6-디메틸나프탈렌의 분리·정제 (Separation and Purification of 2,6-Dimethylnaphthalene Present in the Fraction of Light Cycle Oil by Crystallization Operation)

  • 김수진
    • 공업화학
    • /
    • 제29권6호
    • /
    • pp.799-804
    • /
    • 2018
  • 결정화조작에 의해 접촉분해경유(LCO) 유분 중에 함유된 2,6-디메틸나프탈렌(2,6-DMN)의 분리 정제를 검토했다. LCO 유분을 원료로, 이소프로필알코올을 결정화 용매로 각각 사용하여 solute crystallization (SC)을 수행했다. 결정화 조작온도의 상승과 용매/원료의 체적비(S/F)의 증가는 2,6-DMN의 순도를 향상시켰으나, 역으로 수율의 저하를 초래시켰다. LCO 유분(13.9% 2,6-DMN)과 이소프로필알코올을 사용한 SC, SC에 의해 회수한 결정과 메틸아세테이트를 사용한 re-crystallization 1 (RC 1), RC 1에 의해 회수한 결정과 메틸아세테이트를 사용한 RC 2의 3단계로 결정화조작을 행한 결과, 19.5%의 수율로 99.9% 2,6-DMN의 결정을 회수할 수 있었다. SC, RC 1, RC 2의 각 조작을 통해 얻어진 실험적 결과를 이용하여 LCO 유분 중에 함유된 2-6-DMN의 분리 정제공정을 검토했다.

Poly (ethylene naphthalate) (PEN 수지)의 2,6-디메틸나프탈렌 디카복실레이트 (2,6-NDC)과 2,6-나프탈렌디카복실산(2,6-NDA) 분석법 확립 (Analytical Method Development of 2,6-dimethylnaphthalene Dicarboxylate (2,6-NDC) and 2,6-naphthalene Dicarboxylic Acid (2,6-NDA) in Poly (ethylene naphthalate) (PEN))

  • 성준현;오재명;신동우;최재천;임호수;박세종;박건우;김소희;김미혜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56-62
    • /
    • 2013
  • 연구에서는 PEN 수지 안전관리를 위하여 HPLC-UV 검출기를 이용한 2,6-NDC 및 2,6-NDA 분석법을 확립하였다. 분석법 검증 결과, 2,6-NDC 및 2,6-NDA 모두 $0.002{\mu}g/mL$ 검출한계, $0.005{\mu}g/mL$ 정량한계 및 $0.05{\sim}1{\mu}g/mL$의 농도 범위에서 $r^2$= 0.999 이상의 직선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회수율도 90~110%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방사선 조사 돼지고기에서 휘발성 조사물질의 구명 (Identification of Irradiation-induced Volatile Flavor Compounds in Irradiated Pork Meats)

  • 차용준;김훈;조우진;정연정;변명우;유영재
    • 생명과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35-42
    • /
    • 2001
  • Irradiation-induced volatile flavor compounds in irradiated (0, 1, 3, 5, 10 kGy) pork meats were analyzed by liquid liquid continuous extraction (LLCE) and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GC/MS) methods. One hundred nine volatile compounds were detected in irradiated pork meats. These compounds were mainly composed of hydrocarbons (42 compounds), aromatic compounds (39), aldehydes(9), ketones(5) and miscellaneous compounds (14). Among these, three volatile compounds, such as decene, 1,2,3,4,-tetrahydro-6-methylnaphthalene and 1,2,3,4-tetrahydro-dimethylnaphthalene were selected as irradiation-induced compounds comparing with irradiation dosages in irradiated pork meats. By the high correlation coefficient with the increment of irradiation dose, however, decene (r=0.93) was considered as marker compound for detecting irradiation dosage in fresh pork meats.

  • PDF

제올라이트 Beta, USY, Mordenite 촉매를 이용한 Methylnaphthalene의 트랜스메틸화 반응 (Transmethylation of Methylnaphthalene Over Beta, USY and Mordenite Zeolite Catalysts)

  • 박중남;박용기;백진욱;홍석인;이철위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43권5호
    • /
    • pp.560-565
    • /
    • 2005
  • 1-methylnaphthalene(1-MN)과 2-methylnaphthalene(2-MN) 사이에서의 트랜스메틸화 반응을 제올라이트, H-mordenite(HM), H-Beta$(H{\beta})$, H-USY(HUSY) 촉매를 이용한 고정층 반응기에서 수행하였다. $H{\beta}_{25}(SiO_2/Al_2O_3=25)$ 촉매는 다음과 같은 조건, 반응온도 $350^{\circ}C$, 반응압력 1.5 Mpa, 전체 액상 반응물의 WHSV $2.7g_{feed}/g_{cat}{\cdot}h$, 반응물 1-MN과 2-MN의 몰비 1:1, 반응 1시간에서 2-MN/1-MN 비=2.3와 2,6-DMN/2,7-DMN 비=1.3을 보이면서 다른 촉매보다 높은 전환율과 안정성을 나타내었다. 촉매의 세공구조, 산성도와 관련하여 촉매성능을 해석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