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1940s and 1950s

Search Result 52, Processing Time 0.017 seconds

Changes in the Ceremonial Dresses for Children's First Birthday Since 1945 (광복이후 첫돌 복식의 변천)

  • Ji, Yoon-Young;Hong, Na-You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 /
    • v.25 no.9
    • /
    • pp.1681-1692
    • /
    • 2001
  • 본 연구는 광복 이후 현재까지 첫돌 복식 변화를 시대적으로 고찰, 그 변화 양상과 영 향 요인을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연구 방법은 문헌 고찰과 사진 자료를 통한 내용 분석을 주로 하였다. 더불어 자료의 보충을 위해 첫돌 의례와 관련된 주변 인물들-가족, 기성 아동 한복 유통 상인, 상업적 사진사 등-의 면접 조사도 병행하였다. 이상의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940년대 중반∼50년대 초에는 해방 이후 혼란과 전란으로 인한 물자의 부족으로 첫돌 의례의 명분은 남아있으나 복식 문화는 공백기를 맞는다. 1950년대 중반이후 60년대 전반기는 미국의 경제 원조와 섬유 공업 활성화로 의료의 공급이 원활하여 전기에 비해 의례적 의미를 지닌 첫돌 복식의 착용이 가능해 졌다. 전통 한복을 기본으로 한 위에 서양식 복식 품목들이 섞여서 나타나고 있다 60년대 후반에서 1970년대의 두드러진 양상은 기성복 산업 의 발달로 전문적 인 기성복 시장이 형성되었고 이는 기성복화 된 첫돌 복식의 일습 개념을 등장시키게 하였다. 또한 한복이 예복화 되는 경 향이 두드러지게 나타났던 시기로 70년대 후반의 칼라 필름의 보급은 금박과 자수와 같은 다양한 재료와 재단 방법을 사용한 장식화 된 첫돌 복식의 사용을 가속화 시 켰다. 특히 70년대 중반에 소수의 일반에게 입혀졌던 궁중복식의 하나인 당의가 소매없는 당의로 바뀌어 여아의 돌옷으로 입혀지기 시작하였다. 1980년대 전반기는 칼라 TV의 보급, 비디오 촬영의 보편화로 한복이던 양복이던 일습화 된 첫돌 복식이 대중적으로 정착하게 되었다. 후반기에는 국내의 국제적인 행사의 유치와 전통 복식 소개를 위한 전시들을 계기로 왕실 복식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었다. 이로 인해 여아에게 소매없는 당의를 입히고 남아에게 용포를 입히는 유행이 가속화되었다. 또한 서양식 예복을 입히는 유행이 시작되었다. 90년대에 들어와 아기 전문사진점의 등장은 1 회적인 첫돌 의례에 한복과 서양식 예복, 일상복 등을 다양하게 착용시키는 계기를 가져오게 하였다. 이상과 같은 다양한 변화 양상에도 불구하고 첫돌을 기념하기 위해 특별한 옷을 마련하고자 했으며, 그 복식의 구성 이 전통적인 일습 개념을 꾸준히 지향해 온 경향을 보여주고 있다. 반면 최근 과열된 아동 산업은 보다 다양한 복식을 입혀서 촬영한 사진으로 특별하게 꾸민 상업적인 기념물들을 남겨주게 하고 있다. 비록 특별한 옷을 준비하여 아동에게 입히는 행위는 유사한 표현 양태이나 지나치게 많은 옷을 갈아 입히는 표현 방식은 지양되어야할 것이다

  • PDF

Measurement of Leaf Area of Soybeans (대두엽면적의 간이측정법)

  • Kwon-Yawl Chang
    •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 /
    • v.4 no.1
    • /
    • pp.93-95
    • /
    • 1968
  • The importance of leaf area as related to transpiration and photosynthesis is generally recognized. In general, a compound leaf of soybean consist of one main leaflet and two side leaflets from each node of the stem. Takahashi and Fukuyama (1919) classified soybeans into three types, namely the long leaf type, round leaf type, and intermediate type, in which the last one had round leaves at the base and long leaves in the upper part of the stem. Nagai (1925) and Takahashi (1935). dealt with the genetics of the leaf form and association with other characters. The closely relationships,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from 0.64 to 0.73, were shown between the leaf area and the soybean yield in the experiments by Nagai (1942). Nagata (1950) also tested the varietal differences of the variation of leaf length and its ratio to the leaf width on the nodes of stem, and finally divided varieties into five types. Three methods of measuring area of strawberry leaves were used by Darrow (1932). The first involved determining a factor to be used with length or length ${\times}$width measurements. The second method involved placing leaves on pieces of cardboard of known area cut to the shape of the leaves. Direct use of the planimeter on intact leaves was Darrow's third method. Miller (1938) enumerated several methods to determine the leaf surface area in plants, some of which were extremely laborious and required removing leaves from plants. They included tracing outlines of leaves on paper and measuring the enclosed area with a planimeter or cutting out the traced areas and comparing the weights obtained with the weight of a known paper. Another method involved placing the form of the leaf on sensitized paper with the area being determined by measuring or weighing as above. Miller further stated that the photoelectric cell can also be utilized to estitmate leaf area. Working with field beans, Davis (1940) found that 0.004517 (length ${\times}$ width) of the center leaflet was the most nearly accurate of four methods attempted. A simple procedure to measure leaf area in corn was devised 1 y Montgomery (1911) and used by Kiesselbach (1950). The formula was length ${\times}$ width ${\times}$ 0.75. Stickler et al. (1961) have successfully used length times width ${\times}$ 0.747 to estimate area of grain sorghum leaves. Bhan and Pande(1966) has also used length ${\times}$ width ${\times}$ 0.802 to determine leaf area of rice varieties. The main objectives of the present investigation were to develop an accurate, rapid method to determine leaf area in soybean varieties and to examine certain data associated with leaf area determination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