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1920년대-1930년대

검색결과 67건 처리시간 0.024초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수목원 수우(樹友)표본관(SNUA)에 소장된 채집표본을 근간으로 한 이창복교수의 채집기록 (Field records of Dr. Tchang-Bok Lee based on herbarium specimens deposited at SNUA)

  • 장진성;김휘;전정일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455-472
    • /
    • 2003
  • 수우(樹友) 이창복교수는 1946년 서울대학교에 부임하여 1984년 퇴임하기까지 우리 나라 식물분류학계의 기반을 다지는데 큰 기여를 하였다. 특히, 1952년부터 1984년까지 33년간 남한지역에서 약 7만여 점의 표본을 채집하여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수우(樹友)표본관(SNUA)의 근간을 확립하여 체계적인 국내 최대의 표본관으로 발전시켰다. 시기별 주요 채집 활동으로 1950년대는 소지 식별을 위한 채집과 박사학위 논문연구를 위한 채집, 1960년대는 1920-1930년에 걸쳐 일본학자인 T. Nakai가 채집한 희귀식물에 대한 분포 확인차원의 채집을 시도한 시기였고, 1970년대와 1984년까지 학술조사 목적으로 특정지역의 식물상을 조사하는 채집이 주를 이루었다. 이창복교수는 참나무속과 싸리속 표본에 대한 채집과 기타 목본, 희귀식물과 관련된 수집을 직접 현장에서 식물을 확인하고 확증 표본 확보에 주력하여 현재 SNUA의 소장표본이 전국 주요 지역 식물상의 대표성을 가지는데 많은 공헌을 하였다. 특히 이창복교수의 1950년 후반에서 1960년 초반에 걸쳐 채집하여 연구한 아시아산 낙엽성 참나무속에 대한 결과는 많은 관련 연구에 근간이 되고 있다. 그러나, 불행히도 표본을 제외한 기타 채집기록이 별로 남아 있지 않아 주요 채집지와 채집 날짜 이외에 조사와 채집의 목적을 명확하게 검증하기 어렵다.

1920-30년대 현모양처에 관한 연구 -현모양처의 두 얼굴, 되어야만 하는 ‘현모’ 되고 싶은 ‘양처’ (Discourse on ‘Wise Mother and Good Wife’ in the 1920′s-1930′s Women′s Ambivalence about the Roles of Wise Mother and Good Wife -)

  • 전미경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2권3호
    • /
    • pp.75-93
    • /
    • 2004
  • This study examined discourses on “wise-mother and good-wife” in the 1920s - 1930s by analyzing the magazine “Shinyeosung.” This study found the following: 1 “Wise-mother and good-wife” was the ideal type for the “new women” during the colonial period. Hut the role of a mother was far more important than that of a wife. 2. The dominant discourse at the time was that the “genuine” new woman was defined by her motherhood, and she could not have a job because raising children was the most Important task for her. Hut in fact, new women wanted to be a wife through free love and marriage. They wished to be a good-wife in the “new (modern) family” for their loving husbands. 3. The Ideas of “wise-mother” and “good-wife” arose from disparate backgrounds. A woman had to nurture her maternal aptitudes; but had to suppress her passion for free love and marriage. Although she had to learn Western methods of bringing up children instead of the traditional one, she was expected to practice traditional virtues of a wife, not Western attitudes. The role of a mother was decided by experts, but that of a wife was decided by husbands. The function of a good-wife was merely a clever handling of her husband, whereas the function of a mother was considered to require professional knowledge. 4. New women could differentiate themselves from “old women” through the roles of wise-mother and good-wife; nonetheless, those roles were forced by society. They did not have any other viable choices.

1920~30년대 한국 주택정원 인식과 정원가꾸기 양상 (Perception of Korean Residential Gardens and Gardening in the 1920~30s)

  • 길지혜;박희성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50권2호
    • /
    • pp.138-148
    • /
    • 2022
  • 1920~30년대는 한국 주택환경에 새로운 경향이 두드러지게 나타난 시기로 평가된다. 본 연구는 주거 형태와 유형이 변화하던 전환기 시기에 주택의 정원은 어떤 모습이었을지에 대한 궁금증에서 출발하였다. 정원은 계속 변화하는 대상이기에 과거의 모습을 파악하기 어려운 측면이 많지만, 1920~30년대에 발행된 대중잡지와 신문기사를 통해 당시 사회적으로 주택에서 정원이 어떻게 인식되었고, 거주자는 어떤 배경과 목적으로 정원 가꾸기를 실천하였는지 확인하고자 했다. 연구를 통해, 첫째, 경성에 인구가 밀집하기 시작한 도시화 과정에서 정원은 도시에 자연미를 부여하는 방안 중 하나로 주목하게 되었고, 주택마다 정원을 만드는 것을 장려하게 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건축 분야에서 활발히 추진된 주택개량운동에서도 정원이 위생과 경관 측면에서 주거환경의 질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는 요소임을 강조하였다. 셋째, 매체를 통해 원예 관련 정보가 활발히 제공된 데서 미루어 취미로 정원을 가꾸는 사람들이 늘어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근대 교육을 받은 정원설계가, 원예가들의 활동이 활발해지며 '디자인된 정원'이라는 개념이 형성되게 되었다. 끝으로, 주택은 다양한 유형으로 분화되었으나 정원 형태는 건축 유형별로 차이가 있기보다는 그 시기 가장 좋게 여겨졌던 형태를 빠르게 도입하는 편이었다. 전통한옥에서도 서양식 정원 형태가 자연스럽게 어우러지도록 배치되며, 이국적 식물종을 식재에 적극 활용하기도 했다. 대중잡지나 기사에 수록된 정원이 지식인층에 한정되어 있지만, 매체의 대중성과 파급효과를 고려하면 일면의 대표성을 확보한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의의는 1920~30년대 이상적으로 생각하였던 정원의 모습, 주거생활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었다는 데 있다.

일제강점기 옻칠 증산(增産) 사업의 전개와 영향 (Development and Effects of the Project to Increase Lacquer Production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 강연경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55권3호
    • /
    • pp.22-44
    • /
    • 2022
  • 일제강점기 옻칠은 나전칠기와 같은 고급 공예품 외에 산업, 건축, 군수물자의 외부 도료 등 다방면으로 활용되는 중요한 전략물자였다. 특히 전시 체제에 돌입하는 1940년대 이후 군수물자에 사용되는 옻칠 수요가 급증하면서 유통을 제한하는 전표제까지 시행하였다. 한편 일본에서는 옻칠 수요의 급증에 따라 고질적인 물량 부족을 겪고 있었고, 대안으로 19세기 후반 이후 중국산 옻칠을 수입하였다. 1910년대 이후에는 중국산 옻칠의 시장 점유율이 90%에 이르러 중국 현지 상황에 따라 일본 내 옻칠 수급이 영향을 받자 일제는 조선에서 옻칠 생산을 늘려 문제를 해결하고자 했다. 조선에서의 옻칠 증산 사업은 1910~1920년대에 각종 시험을 통해 객관적 지표가 마련되었고, 이를 기준으로 1930년대 본격적으로 사업에 착수하였다. 전국 각지에 옻나무를 식재하고 개량 채취법 강습회를 개최하였다. 일제는 조선인들에게 경제적 수익을 들어 옻칠 생산업을 장래 유망한 농가의 부업으로 홍보하였다. 각 도에서 수립한 옻칠 증산 사업은 효과를 거두었으며, 현재 국내 주요 옻칠 생산지의 기반을 마련하였다. 일제강점기 한반도 남부에서 사업을 중점적으로 추진한 곳은 강원도 원주, 충청북도 옥천, 경상남도 함양으로 현재의 생산지와 일치하였다. 일제가 조선인 농가를 대상으로 교육한 개량 채취법은 현재 한국 옻칠 채취의 주된 방식으로 자리 잡았다. 본 논문은 일제강점기 각종 기록을 통해 옻칠 증산 사업의 현황을 파악하여 근대 옻칠 공예사 연구의 공백을 메우고자 시도하였다.

카산드르의 ′여행′을 주제로 한 포스터 (Cassandre′s Posters of the Subject ′Travelling′)

  • 강순천
    • 디자인학연구
    • /
    • 제14권1호
    • /
    • pp.145-158
    • /
    • 2001
  • 카산드르의 포스터 중에는 철도·선박과 같은 'traffic'과 관광지 포스터들이 있는데, 이들은 '여행'이라는 동일한 주제를 다루고 있다는 점에서 공통점을 지닌다. 이들 일련의 여행포스터들에는 카산드르의 대표작이 여러 점 포함되어 있을 뿐더러, 그의 디자인 성격과 양식적 특성, 그리고 그것이 변화해가는 추이의 과정을 그대로 반영하고 있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본고는, 카산드르가 1920년대와 30년대의 유력한 시각광고매체였던 포스터를 통해서, 열차나 원양여객선이 갖는 메카니즘과 여행에 투사된 당대인들의 꿈과 열망을 어떠한 방식으로 포착하고 담아내고 있는가에 초점을 맞추어 조형적으로 분석한 글이다. 이러한 분석과정에서 드러나는 그의 그래픽적 감각과 어법들은 오늘날의 전자적 테크놀로지를 이용한 동영상매체의 광고에도 여전히 시사점을 던져주는 바가 있다.

  • PDF

일제강점기 양식건축구법(洋式建築構法) 사용의 특징과 계획적 변화 - 1910년대 조선총독부 관립시설을 중심으로 - (Characteristics of the Use of the Western Building System with the Change of the Architectural Design in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 Focused on the Facility Built by Japanese Government-General in 1910s -)

  • 주상훈
    • 건축역사연구
    • /
    • 제21권5호
    • /
    • pp.57-68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the use of the western building system with the change of the architectural design in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focused on the facility built by Joseon Government-General in 1910s. Through the 131 cases of governmental building, the tendency of the use of western building system. After 1910, Japanese Imperialism adopted the western wooden building system which main structure was made with combination of small pieces of timber for building the modern governmental facility because of the political and financial intention. So, all facilities were designed similarly by the structural module and the facade was finished by the feather boarding in the same with the 'sitamitakei-giyohu' in Japan. the functional requirements of each facility was not revealed. Such an western wooden building system was used until 1920s with the change of the facade by the mortar coating. But, in 1920s-1930s, the building system have begun to change. The use of the brick system caused some changes although the planing concept was still lasted. On the other hand, the use of the reinforced concrete led to more changes on the overall scheme.

1930년대(年代) 한국근대주택(韓國近代住宅)에 나타난 속복도형(複道型) 일식주택(日式住宅)의 영향(影響) -한국인 건축가의 주택개량안과 "조선과 건축(朝鮮建築)"에 수록된 주택평면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Influences of Central corridor type Japanese dwellings on the Korean modern dwellings and Korean architects' proposals for modern dwellings in the time of 1930's)

  • 안성호;김순일
    • 건축역사연구
    • /
    • 제6권2호
    • /
    • pp.23-40
    • /
    • 1997
  •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a searching out the characteristics of Japanese dwellings implanted into Korea in the time of the rule of Japanese imperialism and its influences on Korean modern dwellings especially in the time of 1930's. At the early stage of the colonial time($1905{\sim}1919$), the central corridor type Japanese dwellings were implanted into Korea for the Japanese official residences. The central corridor type Japanese dwelling was an urban modern dwelling compromised between Japanese style and western style and distinguished by an outer-court type plan, Japanese entrance hall, central corridor and western style reception room. After the 1920's the central corridor type Japanese dwellings have spreaded itself and became a prototype of a modern dwelling in Korea. The characteristics of the central corridor type Japanese dwellings have influenced on the Korean high class dwellings and Korean architects' proposals for modern dwelling in the time of 1930's. By the implantation and spread of the central corridor type Japanese dwellings, Korean modern dwellings at the same time have affected and undergone transformation. The aspects of transformation were ; The outbreaking of the Japanese style entrance and central corridor, the transformation of MaDang from the inner court with a function of circulation into the outer court garden with plants and the transformation of Korean dwellings from the rural inner court type into the urban outer court type. The central corridor type Japanese dwellings implanted into Korea in the time of the rule of Japanese imperialism makes function as a precedent of a modern urban dwelling to Korean and makes Korean dwellings transform from the rural inner court type into the urban outer court type.

  • PDF

수도 품종변천에 따른 유용형질의 특성변이에 관한 연구 (Studies on Agronomical Characteristics of Rice Varieties Recommended during 1910-1980 in Korea)

  • 홍성호;이은웅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12-40
    • /
    • 1983
  • 우리나라 수도 품종의 시대적 변천에 따른 그들 품종의 생육형질 및 수량구성형질들의 변이를 조사비교하여 앞으로 품종육성 및 재배기술 발전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연대별 주요품종을 5개씩 25개 품종을 공시하여 5대 품종군, 즉 ${circled1}$1907년대의 재래품종들을 GI군, ${circled2}$ 1920년대의 도입품종들을 GII군 ${circled3}$ 1930년대에 육성 보급된 품종들을 GIII군, ${circled4}$ 1950년대에 육성 보급된 품종들을 GIV군, ${circled5}$ 1971년 통일품종 육성이후에 육성된 품종들을 GV군으로 구분하여 이앙시기를 5월 15일, 5월 30일, 6월 14일 및 6월 29일의 4회로 하여 시험조사 하였는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 PDF

『아담과 이브』: 소비에트 슈제트와 M.불가코프의 패러디 ("Adam and Eve" - Soviet Plot and Parody of M.A. Bulgakov)

  • 강수경;양민종
    • 비교문화연구
    • /
    • 제22권
    • /
    • pp.7-27
    • /
    • 2011
  • This article is devoted to little-studied play of M.A. Bulgakov "Adam and Eve". By the end of 1920's - the beginning of 1930's soviet society is differentiated again, its construction is rebuilded. In the new condition drama is needed as much as possible. Drama on the stage is ideal model for instruction of "Mass". Thereupon soviet society asked "New Hero", "New play", which can rebuild soviet citizen in the new construction of government. Thereby the play of M.A. Bulgakov "Adam and Eve" is created by order of soviet society. In this play typical soviet people are represented: Adam Krasovsky(engineer), Daragan(pilot-terminator), Ponchik-Nepobeda(writer), Zahar Markizov(proletarian-baker). They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by their occupation and formation, but they have same consciousness and they think identically. Bulgakov makes stand such problems: impersonality and unfreedom of human being in the government of communism. Bulgakov, using Parody, doubt the possibility of realization of utopia of Soviet government. Bulgakov show to us that Adam Krasocsky is not real Adam-first human being. In the play we can see the real Adam is the scientist-intelligent Efrosimov. Bulgakov change the place of Ponchik with the place of Markizov. The idiot and the fool is recognized not Markisov-drinker, tyrant, but Ponchik-writer. After the disaster Markisov, reading a Bible, is changing and by the end of play he started writing his own novel. Indeed if Ponchik wrote hoked-up novel, Markisov writes a real own history. Request of Leningrad Theater for Bulgakov to write about the future war comes from the spirit of the time. But Bulgakov in this play "Adam and Eve" could insist that the "Life" is a supreme value.

한국 관광지리학의 연구 동향과 과제 (The Trend and Task of Korean Tourism Geography)

  • 문영철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89-103
    • /
    • 1997
  • 국제적인 관광 지리학의 발달에 따르면, 미국의 경우 1920년대로 거슬로 올라가며 미국내 지리저널에서 관광을 주재로 언급했던 최초의 논문은 1933년에 발표된 바 있고, 영국과 프랑스 그리고 일본은 1930년대 출판된다. 한편, 국내에서는 이보다 다소 늦은 1960년대 들어서 비로소 관광 지리 연구가 시작되며 그 이후 커다란 변화를 맞이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그간의 국내 관광지리학의 연구 성과에 대한 유형별 정량적 고찰을 동해 앞으로의 관광 지리학 연구 활동에 기초 자료로 보탬이 되고자 한다. 연구방법으로는 우선 주제의 대상을 동해 일차적 분류작업을 거쳤으며, 다음으로 세부적인 소 주제 내용을 설정하였고, 그 결과 전체 7개의 영역을 구분지었다. 주된 연구 결과에 따르면, 특정 주제 중심의 연구 활동에서 좀더 폭 넓은 내용을 주제로 한 연구 활동이 있어야 할 것이며 또한, 관광 지리학의 기초 이론 연구에 대한 작업이 강화되어야 할 것으로 본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