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17-${\beta}$ estradiol

검색결과 509건 처리시간 0.023초

17$\beta$-Estradiol에 의해 암수동체 점박이 송사리에서 촉진 유도된 갑상선 종양의 조직학적 양상

  • 장화형;권중균;한규보;박은호
    • 한국응용약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응용약물학회 1994년도 춘계학술대회 and 제3회 신약개발 연구발표회
    • /
    • pp.311-311
    • /
    • 1994
  • 어류를 이용한 화학물질의 독성평가 방법 및 기작에 관한 연구의 일환으로 암수동체 점박이 송사리에서 N-methyl-N'-nitrosourea (NMU)에 의해 유발되고 여성 호르몬의 일종인 17$\beta$-estradiol (E$_2$)에 의해 촉진유도된 갑상선 종양의 조직학적 특징을 광학 현미경과 전자현미경 수준에서 조사하였다. 본 연구에서 유도된 갑상선 종양은 광학현미경 수준에서 포유류와 유사하게 hyperplasia형, medullary형, papillae형, follicle형, 그리고 papillae형과 follicle형의 혼합형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전자현미경 관찰 결과 미토콘드리아의 변형, 핵의 크기 증가 및 핵내 세포질 봉입체 함입등의 특징이 인간을 포함한 포유류의 양상과 매우 유사하였다. 이상의 결과는 본 종이 신약의 갑상선 종양유발성을 검증하는데 매우 유용한 실험동물 모델임을 시사한다.

  • PDF

EFFECT OF 17 $\beta$-ESTRADIOL ON MATING BEHAVIOR AND REPRODUCTIVITY OF MALE MEDAKA (ORYZIAS LATIPES)

  • Jisung Ryu;Lee, Chul-Woo;Park, Eung-Roh;Nam, Seong-Sook;Nam, Kyu-Chan;Rhu, Hong-Il;Jeon, Seong-Hwan;Na, Jin-Gyun;Park, Kwangsik
    • 한국독성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독성학회 2001년도 International Symposium on Signal transduction in Toxicology
    • /
    • pp.135-135
    • /
    • 2001
  • Mating behavior and reproductivity of male fish were studied as an in vivo screening method of endocrine disruptors. Male medaka (Oryzias latipes) were exposed to 17$\beta$-estradiol at nominal concentrations of 2 and 20 $\mu\textrm{g}$/L for 14 days.(omitted)

  • PDF

Stimulatory Effects of cyclic AMP on Vitellogenin Induction by Estradiol-17$\beta$ in the Primary Culture of Hepatocytes in the Rainbow Trout Oncorhynchus mykiss

  • Yeo In-Kyu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1권2호
    • /
    • pp.153-158
    • /
    • 1998
  • Effects of cyclic (c) AMP and G-protein related reagents (3-isobutyl-l-methyxanthine (IBMX), Forskolin (FSK), cholera toxin (CTX), and pertussis toxin (PTX≫ on estradiol-17$\beta$ induced vitellogenin (VTG) induction were examined in primary hepatocyte cultures in rainbow trout Oncorhynchus mykiss. The addition of IBMX, FSK, or CTX to the incubation medium markedly increased VTG production, while PTX was not effective in stimulating the production. It is well known that cAMP regulates phosphorylation and dephosphorylation through mediation of protein kinase A. These results suggest that VTG production is highly dependent on cAMP state in hepatocytes because of its highly phosphorylated nature.

  • PDF

갯장어 Muraenesox cinereus의 난소 발달에 따른 혈중 Estradiol-17β 변동 (Profile of Plasma Estradiol-17β According to Ovarian Development of the Pike Eel, Muraenesox cinereus)

  • 김대중;김이청;손맹현;이정의;손상규;한창희
    • 생명과학회지
    • /
    • 제19권12호
    • /
    • pp.1851-1854
    • /
    • 2009
  • 본 연구는 통영 해역에서 채집되어진 갯장어, Muraenesox cinereus의 생식년주기에 있어서 난소 발달과 생식소중량지수 (gonadosomatic index; GSI) 변화에 따른 혈중 estradiol- $17{\beta}$ ($E_2$) 농도 변화를 서로 연관시켜 조사하였다. 난소 성숙도는 조직학적 관찰을 기초로 주변인기(11월-2월), 유구기(3월-4월), 초기 난황형성기(4월-5월) 및 후기 난황형성기(6월-10월)로 나 눌 수 있었다. GSI의 계절적 변화는 수온과 밀접한 연관성을 가지고 있으며, 난소의 성숙 정도에 영향을 미쳤다. 혈중 $E_2$ 농도는 GSI 변화와 관련이 있어 4월에 증가하여 7월에 년중 최고치에 도달하였고 10월까지 비교적 높은 농도로 유지하였다. 이러한 결과들은 GSI와 혈중 $E_2$ 농도 변화는 갯장어 난소 발달과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산란기의 암컷 갯장어를 채집하지 못하였다. 이러한 이유로 산란기의 개체는 외해의 심해쪽으로 이동하기 때문이라고 추측된다.

극동산 뱀장어, Anguilla japonica 자성화에 미치는 estradiol-17β 유도 효과 (Effects of Estradiol-17β on the Feminization of Japanase Eel, Anguilla japonica)

  • 김대중;이배익;김경길;김응오;손맹현;성기백
    • 생명과학회지
    • /
    • 제23권8호
    • /
    • pp.998-1003
    • /
    • 2013
  • 산란유도용 암컷 친어 뱀장어를 확보하기 위한 목적으로 estradiol-$17{\beta}$ (E2)의 적정 투여 시기 및 농도를 조사하였다. 실뱀장어 단계(평균 체중 0.16 g, 평균 전장 6.2 cm)에 있어서 E2함유 배합사료를 5개월간 경구투여에 따른 자성화 유도율을 조사한 결과 대조구(10%)에 비해 E2를 경구투여한 실험구인 저농도 E2 투여구(10 mg/kg diet)에서는 70%, 고농도 E2 투여구(25 mg/kg diet)에서는 90%로 높게 나타났다. 또한 어린 뱀장어 단계(치만 단계; 평균 체중 2.6 g, 평균 전장 13.2 cm)에 있어서도 E2함유 배합사료를 4 개월간 경구투여에 따른 자성화 유도율은 대조구(20%)에 비해 E2 투여 실험구(25 mg/kg diet)에서는 60%로 높게 나타났다. 한편 E2 농도에 따른 자성화 유도율의 두드러진 차이는 없었지만, E2 경구투여 시기에 따른 자성화 유도율은 치만단계 보다 실뱀장어 단계에서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대조구와 E2 경구투여구에 있어서 성장률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 의해 극동산 뱀장어 치어기에 E2 경구투여로 성제어가 가능하였으며, 자성화 유도율은 E2 농도 보다 투여 시기에 의존하는 것으로 추측되었다.

미경산돈(未經産豚)의 발정주기(發情週期) 및 임신기간(妊娠期間)에 따른 성(性)Hormone 수준(水準)의 변화(變化)에 관(關)한 연구(硏究) (Studies on the Changes of Sex Hormone Levels throughout the Estrous Cycle and Pregnancy in the Gilts)

  • 이장형;박창식;이규승
    • 농업과학연구
    • /
    • 제11권2호
    • /
    • pp.233-243
    • /
    • 1984
  • 본(本) 연구(硏究)는 Landrace순종(純種)의 미경산돈(未經산豚) 6두(頭)를 가지고 발정주기(發情週期) 및 임신기간(妊娠期間)동안의 혈청중(血淸中) 성(性) hormone수준(水準)의 변화(變化)를 구명(究明)하기 위하여 실시(實施)하였으며, 이정맥(耳靜脈)에서 혈액(血液)을 채취(採取)하여 혈청(血情)을 분리(分離)한 다음, 이를 시료(試料)로 하여 LH, FSH, prolactin, progesterone, $estradiol-17{\beta}$ 및 cortisol을 radioimmunoassay 방법(方法)으로 분석(分析)하였는바, 그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Landrace순종(純種) 미경산돈(未經産豚)의 성성숙도달일령(性成熟到達日齡)은 179.5일(日), 성성숙도달체중(性成熟到達體重)은 88.2kg, 발정주기(發情週期) 21.3일(日), 임신기간(妊娠期間)은 114일(日)이었고, 복당산자수(腹當산仔數)는 9.5두(頭)였다. 2. 발정주기중(發情週期中)의 LH농도(濃度)는 1.56mIU/ml 이하(以下), prolactin 농도(濃度)는 2.4ng/ml 이하(以下)로 분석한계수준이하(分析限界水準以下)였다. FSH농도(濃度)는 발정열시후(發情閱始後) 6일(日)부터 15일(日)까지 1.50~2.20 mIU/ml 범위(範圍)였으며, 발정시(發情時)와 발정전후(發情前後) 3일(日)에는 1.25 mIU/ml 이하(以下)였다. 3. 발정주기중(發情週期中)의 progesterone 농도(濃度)는 발정일(發情日)에 1.90ng/ml를 나타냈으나, 발정열시후(發情閱始後) 3일(日)에 13.10ng/ml 증가(增加)하였고 9일(日)에 최고수준(最高水準)에 도달(到達)하였다. $Estradiol-17{\beta}$농도(濃度)는 발정일(發情日)과 발정개시후(發情開始後) 18일(日)에 27.2pg/ml을 나타냈고, 그밖의 기간(期間)에서는 27.2pg/ml 이하(以下)였다. Cortisol 농도(濃度)는 발정일(發情日)에 최고수준(最高水準)에 도달(到達)했으며, 황체기(黃體期)동안에는 24.65~28.57ng/ml 범위(範圍)에 있었다. 4. 임신기간중(姙娠期間中)의 LH농도(濃度)는 3.10~4.37 mIU/ml, FSH농도(濃度)는 1.30~1.80 mIU/ml, 그리고 prolactin 농도(濃度)는 2.60~6.70ng/ml의 범위(範圍)를 나타냈다. 5. Progesterone 농도(濃度)는 전임신기간(全姙娠期間)에 38.90~16.85ng/ml 범위(範圍)에 있었으나 분만시(分娩時)에는 1.96ng/ml로 급격(急激)히 감소(減少)하였다. $Estradiol-17{\beta}$의 농도(濃度)는 임신후(姙娠後) 15일(日)에 27.2pg/ml을 나타냈으며, 그후 계속(繼續) 증가(增加)하여 분만시(分娩時)는 620.17pg/ml을 나타냈다. Cortisol 농도(濃度)는 전임신기간(全姙娠期間)에 걸쳐 13.58~24.35ng/ml의 범위(範圍)를 나타냈다.

  • PDF

Vitellogenin and Its mRNA Induction by $Estradiol-17\beta$ in the Primary Culture of Hepatocytes in the Rainbow Trout, Oncorhynchus mykiss

  • Hwang Un-Gi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4권4호
    • /
    • pp.186-191
    • /
    • 2001
  • Vitellogenin (VTG) and VTG mRNA induction by $estradiol-17\beta\;(E_2)$ were examined in the primary cultures of hepatocyte in the rainbow trout. Hepatocytes were precultured for 2 days, then $E_2$ was added and cultured for another 5 days. Media and hepatocytes were then analyzed by electrophoresis and Northern blotting for VTG and VTG mRNA, respectively. The hepatocytes were formed a few aggregates within 5 days without further spreading to a monolayer. Cell viability and high DNA content were maintained during the incubation. The hepatocyte culture with E2 induced a weak VTG band at a molecular weight of 175kDa on Day 2 after $E_2$ addition. The relative amount of VTG was expressed in percentage of total protein concentrations. VTG was gradually increased as $1.9\%$ on Day 2, $6.3\%$ on Day 4 and $7.3\%$ on Day 5. VTG mRNA band was detected at about 6.6 kb in the culture with $E_2$ at day 1 of culture. The level of VTG mRNA expression linearly increased with time until Day 5 (r=0.97).

  • PDF

Effect of Growth Hormone on Vitellogenin Production by Estradiol-17$\beta$ in the Culture of Hepatocytes in the Rainbow Trout Oncorhynchus mykiss

  • Yeo In-Kyu;Mugiya Yasuo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1권1호
    • /
    • pp.19-23
    • /
    • 1998
  • Effects of pituitary and thyroid hormones on estradiol-induced vitellogenin (VTG) induction were electrophoretically examined in primary hepatocyte cultures of rainbow trout. Hepatocytes were precultured for 2 days and then estradiol-17 $\beta$ $(E_2,\;2 \times 10^{-6}M)$>, triiodothyronine $(T_3,\;10^{-8}-10^{-6}M)$, bovine growth hormone (bGH, 10-100 ng/ml), ovine prolactin (oPRL, 100-500 ng/ml), and pituitary extract (PE) of rainbow trout (0.75PE/dish) were added to the incubation medium. The hepatocytes were cultured for 7 more days. The addition of oPRL to the incubation medium was not effective in increasing VTG production at any concentrations. The addition of PE to the incubation medium with $E_2$ was not effective in increasing VTG production. The addition of bGH to the incubation medium with $E_2$ was not effective in increasing the rate of VTG production at concentrations of 10-50 ng/ml. However, a higher concentration of bGH, 100 ng/ml, increased VTG production. The various concentrations of $T_3$ were ineffective in stimulating VTG product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GH could be one of stimulus factors for VTG production in rainbow trout.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