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17 ${\beta}$-estradiol

검색결과 508건 처리시간 0.022초

성스테로이드 호르몬과 고수온 처리가 조피볼락, Sebastes schlegeli의 성분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ex Steroid Hormones and High Temperature on Sex Differentiation in Black Rockfish, Sebastes schlegeli)

  • 이치훈;나오수;여인규;백혜자;이영돈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3권5호
    • /
    • pp.373-377
    • /
    • 2000
  • 조피볼락, S. schlegeli 치어에 $estradiol-l7{\beta}\;(E_2)$$17{\alpha}-methyltestosterone$ (MT) 그리고 고수온을 처리하여 성분화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실험어는 출산 후 56일부터 72일까지 $E_2\;20,\;40,\;60\;{mu}g/g\;diet$ 농도로 경구투여 하였고, MT는 $20, 50{\mu}g/g diet$ 농도로 경구투여 하였다. 고수온 처리는 대조구 그리고 호르몬 처리구와 비교하여 약 $10^{\circ}C$ 이상인 $27.0{\pm}0.5^{\circ}C$로 사육하였다. 출산 후 56일까지 성분화 과정에서, 생식소는 대부분 생식원세포로 구성되어 있어 성적으로 미분화 단계였다. 그러나 출산후 128일째에, 난소는 난소강파 난소박판으로 구성되어 있고, 난원세포와 주변인기난모세포는 난소박판에 분포하고 있다. 그리고 정소는 많은 정세관으로 이루어 졌고, 이들 세관내에는 정원세포들이 무리를 지어 분포하고 있긴 또한 색소포들이 정소의 수질층과 기부에 드문드문 분포하고 있다. 성비에 있어, 대조구와 비교하였을 때 모든 $E_2$, 처리구는 더 많은 암컷이 관찰되었고, 반면에, 모든 MT 처리구와 고수온 처리구에서는 더 많은 수컷이 관찰되었다. 이러한 결과들에서, 성스테로이드 호르몬의 농도와 종류 그리고 고수온 사육이 조피볼락의 성분화 과정에 있어서 성결정에 영향을 주고 있다고 볼 수 있다.

  • PDF

환경호르몬에 의해 유도된 인체 유방암세포의 증식에 대한 당귀로부터 분리한 Decursin 억제효과 (Anti-Proliferation Effects of Decursin from Angelica gigas Nakai in the MCF-7 Cells Treated with Environmental Hormones)

  • 박경욱;최사라;양희선;조현욱;강갑석;서권일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6권7호
    • /
    • pp.825-831
    • /
    • 2007
  • 당귀로부터 분리한 decursin을 환경호르몬에 의해 증식을 유도한 인체 유방암세포(MCF-7)에 처리한 후 그 억제효과를 조사하였다. 인체 유방암세포주인 MCF-7은 20, 40, 60, 80 및 100 ${\mu}g/mL$ 농도로 decursin의 처리 시 20 ${\mu}g/mL$ 이상에서 농도 의존적으로 그 증식이 억제되었다. 호르몬이 제거된 배지로 배양한 세포에 0, 0.01, 0.1 및 1 ${\mu}M$의 농도로 환경 호르몬 $17{\beta}$-estradiol과 bisphenol을 처리한 결과 호르몬이 제거된 배지로 배양한 세포에 비해 세포의 증식을 유도하였으며, Yamada(21)와 본 실험 결과가 유사한 세포성장을 보여 암세포의 성장억제 효과를 측정하기 위한 환경호르몬의 농도를 0.1 ${\mu}M$로 하였다. 환경호르몬에 의해 증식이 유도된 MCF-7 세포에 당귀 메탄올추출물 및 decursin을 1, 3, 10 및 30 ${\mu}g/mL$ 농도로 처리한 결과 농도에 비례하여 세포의 증식을 억제하였으며, 10 ${\mu}g/mL$의 농도 이상에서는 대조구의 증식보다도 낮은 생존율을 나타내어 강한 세포독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hoechst 염색을 통하여 세포 핵의 변화를 알아본 결과 decursin 처리군에서 핵의 응축과 apoptic body가 관찰되어 decursin은 apoptosis를 유도함으로써 환경호르몬이 처리된 MCF-7 세포의 증식을 억제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들 결과는 decursin이 환경호르몬에 의해 증식이 유도되는 MCF-7 세포의 성장을 apoptosis에 의해 억제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산수유 에탄올 추출물의 생리활성 (Biological Activities of Ethanol Extract from Corni fructus)

  • 권승혁;양희선;김재용;박경욱;손미예;강갑석;심기환;서권일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287-291
    • /
    • 2009
  • 산수유를 기능성식품 소재로서 이용하기 위하여 산수유 에탄올추출물의 생리활성을 조사하였다. 산수유 에탄올추출물의 수소공여능은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되었으며, 300 및 $500{\mu}g/mL$ 농도에서 각각 64, 73%의 활성을 나타내었다. 대식세포 RAW264.7에 산수유 에탄올추출물을 100, 300 및 $500{\mu}g/mL$의 농도로 처리하였을 때 산수유추출물은 농도 의존적으로 NO(nitric oxide)의 생성을 유도하였다. 또한 산수유 에탄올추출물을 유방암세포에 다양한 농도로 처리하여 24, 48, 72시간 반응시킨 결과 농도 및 시간에 의존적으로 유방암세포의 증식을 억제하였으며, $500{\mu}g/mL$ 농도로 72 시간 처리 시 60% 이상의 높은 증식억제율을 보여주었다. 또한, MCF-7 유방암 세포에 bisphenol과 $17{\beta}$-estradiol과 같은 환경호르몬을 $0.1{\mu}M$의 농도로 처리하였을 때 세포의 증식이 유도되었으며, 이 세포에 산수유 에탄올추출물을 농도별로 72시간 처리하였을 때 유방암 세포의 증식이 억제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는 산수유의 기능성식품 소재로서의 활용 가능성을 시사한다.

양식 1년산 뱀장어, Anguilla japonica의 전장 및 성별에 따른 혈중 성호르몬 수준 및 혈액학적 성상 (Serum Steroid Hormone Level and Hematological Characteristics of One-year Cultured eels, Anguilla japonica Based on Total Length and Sex)

  • 전민지;한경민;배준영;유진형;이계안;배승철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267-272
    • /
    • 2003
  • 양식산 뱀장어의 어체 크기에 따른 성비와 혈액학적 성상 및 성호르몬 함량을 조사하였다. 전장 40∼50 cm 사이의 뱀장어에서는 수컷의 비율이 높았으나, 50 cm 이상의 뱀장어에서는 암컷의 비율이 유의하게 높은 결과를 보였다. 그러나 암$.$수 모두 생식소 발달 초기 단계였다. 수컷과 암컷의 혈액학적 성상에 있어서 헤마토크리트 값은 40∼50 cm 그룹의 수컷이 크기가 큰 암컷 그룹의 결과보다 높은 값을 나타내었고, 헤모글로빈 함량은 반대의 경향을 보였다. 수컷의 혈중 GOT 결과는 전장 40∼45 cm 그룹에서 157$\pm$3.46 IU/L로 다른 그룹에 비해 높은 값을 나타내었으나, 유의차는 없었으며, 암컷은 가장 큰 그룹인 55∼60 cm의 뱀장어 집단이 148$\pm$3.46 IU/L로 유의하게 높은 값을 보였다(P< 0.05). GPT의 결과는 암$.$수 모두 55∼60 cm 집단이 유의하게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P<0.05). 혈중 성호르몬의 함량은 암$.$수 모두 매우 낮은 값을 보였으나, 수컷에 비해 암컷의 T, E$_2$함량이 높게 나타났다.

조피볼락(Sebastes schlegeli)의 성숙$\cdot$출산기에 있어서 갑상선 및 성 스테로이드 호르몬의 혈중 변화 (Changes in Plasma Levels of Thyroid and Sex Steroid Hormones in Rockfish (Sebastes schlegeli) during Maturation and Parturition Periods)

  • 강덕영;장영진;손영창;회전승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574-580
    • /
    • 1998
  • 가두리에서 사육된 조피볼락의 성숙 및 출산기 동안 혈장내 갑상선 및 성 스테로이드 호르몬의 농도 변화를 조사하였다. 혈장 L-thyroxine 농도는 난황형성기에 $35.2{\pm}5.7\;ng/m{\ell}$이었고. 이후 출산기에 $20.5{\pm}4.2\;ng/m{\ell}$ 까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그리고. 휴지기에 $44.9{\pm}7.2\;ng/m{\ell}$의 높은 농도로 상승하였다. 혈장 3,5,3'-triiodo-L-thyronine 농도는 난황형성 기에 $12.9{\pm}1.6\;ng/m{\ell}$이었지만, 배란기에 $3.7{\pm}0.7\;ng/m{\ell}$으로 유의하게 감소했고, 이후 $52.9{\pm}7.0\;ng/m{\ell}$까지 증가했다. 혈장 estradiol-17 $\beta$의 농도는 난황형성기에 최고치를 나타내었지만. 출산기에 $0.3{\pm}0.1\;ng/m{\ell}$까지 크게 감소하였다. 혈장 testosterone의 농도는 난황형성기와 배란기에 각각 $1.8{\pm}0.3\;ng/m{\ell}$$2.1{\pm}0.7\;ng/m{\ell}$이었고, 이후 출산기에 $0.1{\pm}0.1\;ng/m{\ell}$까지 감소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갑상선호르몬은 조피볼락의 성숙 및 출산에 관련될 가능성이 높다.

  • PDF

Chronic Low-Dose Nonylphenol or Di-(2-ethylhexyl) Phthalate has a Different Estrogen-like Response in Mouse Uterus

  • Kim, Juhye;Cha, Sunyeong;Lee, Min Young;Hwang, Yeon Jeong;Yang, Eunhyeok;Ryou, Chongsuk;Jung, Hyo-Il;Cheon, Yong-Pil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22권4호
    • /
    • pp.379-391
    • /
    • 2018
  • Through the development of organic synthetic skill, chemicals that mimic signaling mediators such as steroid hormones have been exposed to the environment. Recently, it has become apparent that this circumstance should be further studied in the field of physiology. Estrogenic action of chronic low-dose nonylphenol (NP) and di-(2-ethylhexyl) phthalate (DEHP) in mouse uterus was assessed in this study. Ten to twelve-week-old female mice (CD-1) were fed drinking water containing NP (50 or $500{\mu}g/L$) or DEHP (133 or $1,330{\mu}g/L$) for 10 weeks. Uterine diameter, the thickness of myometrium and endometrium, and the height of luminal epithelial cells were measured and the number of glands were counted. The expression levels of the known $17{\beta}$-estradiol ($E_2$)-regulated genes were evaluated with real-time RT-PCR methodology. The ration of uterine weight to body weight increased in $133{\mu}g/L$ DEHP. Endometrial and myometrial thickness increased in 133 and $1,330{\mu}g/L$ DEHP treated groups, and in 50, $500{\mu}g/L$ NP and $133{\mu}g/L$ DEHP, respectively. The height of luminal epithelial cell decreased in NP groups. The numbers of luminal epithelial gland were decreased in NP groups but increased in $50{\mu}g/L$ DEHP group. The histological characters of glands were not different between groups. The mRNA expression profiles of the known $17{\beta}$-estradiol ($E_2$) downstream genes, Esr1, Esr2, Pgr, Lox, and Muc1, were also different between NP and DEHP groups. The expression levels dramatically increased in some genes by the NP or DEHP. Based on these results, it is suggested that the chronic low-dose NP or DEHP works as estrogen-like messengers in uterus with their own specific gene expression-regulation patterns.

열목어 재조합 생식선자극호르몬(mt-rGTH)에 의한 암컷 뱀장어의 성성숙 유도 (Maturation Induction by Manchurian Trout Recombinant Gonadotropin Hormone (mt-rGTH) in Female Eel, Anguilla japonica)

  • 김대중;박우동;손영창;배준영;윤성종;손맹현;고바야시 마키토;한창희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12권3호
    • /
    • pp.261-266
    • /
    • 2008
  • 연어과 어류인 열목어 재조합 생식선자극호르몬(r-mtFSH 또는 r-mtLH) 투여에 따른 암컷 뱀장어(Anguilla japonica)의 성성숙 유도 효과를 조사하였다. 양식산 암컷 뱀장어를 해수에 적응시킨 후 매주 복강에 재조합 호르몬을 농도별(0.1, 1, 10 ${\mu}g/m{\ell}$/fish)로 10주 반복 주사하였다. 매주 증체중을 측정하였고, 생식소중량지수 [GSI;(생식소중량/체중량$\times$100]와 혈중 성호르몬 농도 변화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모든 실험군에서 GSI는 서서히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또한, 대조구에서 혈중 testosterone (T)과 estradiol-17$\beta$(E2)는 유의적인 증가를 보이지 않았지만, 재조합 호르몬을 투여한 실험군에서 투여2주와 4주 후에 T와 E2 농도가 증가하였다. 또한, mt-rFSH(1, 10 ${\mu}g/m{\ell}$/fish) 또는 mt-rLH(0.1, 1, 10 ${\mu}g/m{\ell}$/fish)을 투여한 실험군에서는 난경이 대조구에 비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열목어 재조합 생식선자극호르몬이 암컷 뱀장어의 초기 난성숙 발달을 유도함을 시사한다.

  • PDF

넙치도 범가자미 교잡종의 성장과 성현상 (Growth and Sexual Phenomena of the Hybrid between Olive Flounder and Spotted Flounder)

  • 이영돈;나오수;송춘복;이화자;박준현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179-187
    • /
    • 1997
  • 범가자미 수컷과 넙치 암컷 교잡종의 초기발생, 성장 그리고 성현상이 조사되었다. 범가자미와 넙치의 교잡종은 국명으로 범넙치, 영명으로 mottled flounder로 명명하였다. 범넙치의 수정율, 부화율, 초기 성장률은 각각 56.9-72.3%, 86.7-92.5%, 그리고 89.1-96.0% 범위였다. 성장은 부화후 50일에 전장 2.1$\pm0.2cm$,체중$0.10\pm0.02g$ 이었고, 부화 후 240일에 전장22.9$\pm2.1cm$ 체중 179.0$\pm38.5g$ 이었다. 범넙치의 눈이 몸의 왼쪽에 위치하는 형 77.7%와 오른쪽에 위치하는 형 22.3%로 흔재하고 있었다. 부화후 80일에 생식소는 강(cavity)을 형성하는 난소형과 강을 갖지 않는 정소형으로 분화되었고, 이들의 출현 비율은 1 : 1 이었다(P>0.05). 범넙치의 생식소는 대부분 생식세포를 갖지 않는 불임상태였다. 생식소내에 난모세포를 갖는 개체는 조사 개체중 3.6%였다. 성전환 유도를 위하여 부화후 40일부터 100일까지 60일간 $17\alpha-methyltestosterone(MT)$$estradiol-17\beta$$(E_{2})$을 0.5 mg/kg fish 농도로 경구투여 하였다. MT 처리구는 정소형이 81.9% 유도되었고, $E_{2}$ 처리구는 난소형이 87.7% 유도되었다.

  • PDF

Changes in Sex Steroid Hormones and Ovarian Development during Artificial Maturation of Female Eel, Anguilla japonica

  • Kim, Dae-Jung;Bae, Jun-Young;Kim, Eung-Oh
    • Animal cells and systems
    • /
    • 제11권2호
    • /
    • pp.117-124
    • /
    • 2007
  • The present study demonstrates the changes in body weight (BW) and plasma sex steroid hormone profiles during artificial maturation induced by human chorionic gonadotropin (HCG) or salmon pituitary extract (SPE) injections in cultured eel, Anguilla japonica, kept in seawater for 3 months. In the weekly SPE-injected female group, BW was relatively stable during vitellogenesis. Following induction of vitellogenesis, females exhibited a rapid increase of BW, and the oocytes were observed to be in the migratory nucleus stage at the end of the experiment. Plasma testosterone (T) and $estradiol-17{\beta}$ ($E_2$) levels increased slightly during vitellogenesis and peaked at an average of 5.82 ng/mL and 4.76 ng/mL, respectively, at the end of the experiment. In the weekly control and HCG-injected female groups, BW slowly decreased during the experimental period, and the oocytes of the two groups were observed to be at the primary yolk globule stage. In the weekly HCG-injected female group, plasma T and $E_2$ levels increased slightly during vitellogenesis and decreased afterward. In the control female group, however, plasma T and $E_2$ levels were not altered during the experimental period. Furthermore, plasma $17{\alpha},20{\beta}-dihydroxy-4-pregnen-3-one$ (DHP) was not detected in all experimental groups. Fertility and hatching rates of SPE-injected female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ose that ovulated 15 h after DHP injection than 18 h. These results indicate that long rearing in seawater increases responsiveness to SPE in ovarian maturation of the Japanese eel, resulting in shortened period from completion of vitellogenesis by sex steroid hormone production.

내분비계 장애물질의 에스트로겐 활성에 대한 In vitro 및 In vivo 검색시험법 (Evaluation of In vitro and In vivo Screening Methods for Estrogenic Activity of Endocrine Disruptors)

  • 김형식;한순영;한상국;신재호;문현주;김소희;박기숙;김규봉;이이다
    • Toxicological Research
    • /
    • 제16권2호
    • /
    • pp.109-116
    • /
    • 2000
  • The purposes of our study were to optimize the conditions of the screening and testing methods for endocrine disruptors, to characterize these assays using several compounds with well-defined endocrine activity, and to compare the sensitivity between these assays currently undergoing validation. Two in vitro test systems, MCF-7 cells proliferation (E-screen assay) and competitive binding to estrogen receptors (ER) were selected to evaluate the estrogenic effects. 17$\beta$-Estradiol (E2) and diethylstilbestrol (DES) were used as a positive control in vitro test. Also, E2 and ethinyl estradiol (EE) were used as a positive control in vivo uterotrophic assay. In in vitro test, E2 and DES showed a strong estrogenic response at concentration of 1.0 nM. In uterotrophic assay, E2 (0.3 $\mu\textrm{g}$/kg) and EE (0.3 $\mu\textrm{g}$/kg) produced a significant increase in uterus and vagina weight in both immature and ovariectomized rats. Although we did not com-pared the specificity between in vivo and in vitro assays, these assay systems may serve as a good tool for endocrine disruptors screening methods. Our data indicate that these assay systems exhibit some difference in their sensitivity to the same estrogenic compounds. Therefore, as a first rapid screening assay for estrogenic activity qf unknown chemicals, at least two assay systems should probably be carried out with a view of high sensitivity and standardization conditions. Also, a careful validation tests are necessary to obtain a reasonable degree of reproducibilit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