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12시

검색결과 13,325건 처리시간 0.043초

암기간과 야간조파에 따른 벼와 콩의 출수ㆍ개화 반응 (Flowering Responses of Rice and Soybean to Nyctoperiod and Night Break)

  • 김충국;서종호;최성호;최경진;이진모;변종영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5권3호
    • /
    • pp.208-212
    • /
    • 2003
  • 가로등과 보안등의 증가로 인한 야간조명의 확대와 야간 이동차량의 증가로 전조등 등 농경지 주변에 간헐적으로 조명이 이루어지고 있어 2000년부터 2001년까지 2년 동안 암기간과 야간조파가 벼와 콩의 출수 및 개화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수행한 시험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2시간 암기 중 3시간마다 10분간 백열등(50∼60 lux)으로 조명한 야간조파 처리에 의하여 벼 생육은 두 품종 모두 암기처리 12시간에 비해 간장은 증가되었으며, 수당립수는 감소되었다. 벼의 출수는 야간조파시 암기처리 12시간에 비하여 일품벼 9일, 화성벼는 26일 지연되었으며, 12시간의 암기처리에 비하여 9시간 암기처리시 일품벼 47일, 화성벼는 41일 지연되었다. 야간조파에 의한 황금콩의 생육은 야간조파시 암기처리 12시간에 비해 경장파 절수가 증가되었으며, 협수는 감소되었고, 12시간의 암기처리에 비하여 9시간 암기처리시 경장 및 절수는 증가되었지만 협수는 감소되었다. 콩의 개화까지 소요일수는 야간조파시 암기처리 12시간에 비하여 4일 지연되었으며, 12시간의 암기처리에 비해 9시간 암기처리시 19일 지연되었다.

Holstein 에 있어서 분만시간에 대한 사료급여 시간의 영향 (The Effect Time of Feeding on Time of Parturition in Holstein Cows)

  • 임석기;이상영;전기준;임영철;강수원;윤상기
    • 한국가축번식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303-306
    • /
    • 1998
  • 본 실험은 유우에 있어서 주간 분만유기에 대한 사료급여 시간의 영향을 검토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본 실험결과 야간에 사료를 급여할 경우 87.8%(9+15시간) 및 80.7%(12+12 시간) 가 주간에 분만하였으며 08:00 시와 18:00 시에 사료를 급여할 경우 57.9%(9+15 시간 ) 및 51.8%(12+12시간) 가 주간에 분만 (p<0.001) 하였으며 특히 주간분만 시 06:00∼11:00시에 38.5%, 16:00∼17:00 시에 19.6% 가 분만되었다.

  • PDF

Vitamin $B_{12}$/Folate 검사 시 빛의 영향에 대한 고찰 (Study of the Impact of Light Through the Vitamin $B_{12}$/Folate Inspection)

  • 조은빛;백송란;김외정;김성호;유선희
    • 핵의학기술
    • /
    • 제16권2호
    • /
    • pp.162-166
    • /
    • 2012
  • Vitamin $B_{12}$, Folate는 아미노산과 핵산의 합성에 필수적인 영양소로 DNA 복제에 관여하는 효소이다. 체내에서는 신체의 성장에 활발하게 관여하여 세포분열과 증식을 하는 조혈조직에 대한 영향이 커 빈혈의 감별진단 검사의 하나로서 측정된다. 이런 Vitamin $B_{12}$, Folate는 빛에 민감한 검사로 알려져 있어 검사 매뉴얼 또한 검사 시 실험 시, 보관 시 모두 빛의 노출을 피하도록 하고 있다. 이에 따라 본원의 검사실에서는 Vitamin $B_{12}$, Folate 검사시 빛의 노출을 최소한으로 하고 있다. 하지만 검체 분리 보관 지연 및 검사 시 다른 여러 가지 요인들로 인해 빛의 영향을 완전히 배제할 수는 없다. 따라서 Vitamin $B_{12}$, Folate 검사 시 빛의 영향 정도와 빛 차단이 필수적인 지의 여부를 확인하고자 실험 시 빛의 영향 정도와 실험 전 보관 시 빛의 영향 정도로 나누어서 분석해보고자 한다. 2012년 3월, 본원에 의뢰된 다양한 농도의 환자 검체 10개를 대상으로 실험시 빛의 영향과 검체 보관 시 빛의 영향 정도를 확인하는 두 가지 실험을 실시하였다. 첫 번째는 Vitamin $B_{12}$, Folate 실험시 반응 단계에서 빛을 차단한 결과와 빛에 노출된 결과를 비교하였다. 두 번째는 Vitamin $B_{12}$, Folate 실험 전 검체 보관 시 1, 2, 7일 동안 빛을 차단하여 보관한 결과와 빛에 노출된 결과를 비교하였다. 첫 번째, 실험 시 빛 차단의 여부에 따른 검사 결과 Vitamin $B_{12}$의 경우 영향이 없고 Folate의 경우 큰 영향은 없지만 유의확률이 0.033(상관식 y=1.02x-0.86)으로 실험 시 빛을 차단하는 것을 권장한다. 두 번째, 보관시 빛 차단의 여부에 따른 검사 결과 1일, 7일에서는 영향이 없고 2일에서는 Vitamin $B_{12}$ 유의확률이 0.033, Folate 유의확률이 0.037로 영향이 있었다. 이는 복잡한 검사 방법으로 인한 기술적 오류가 포함되어 있을 것으로 예상되어 1, 2, 7일 모두 보관 시 빛에 영향이 없는 것으로 사료된다. 그러나 1일차에 비해 7일차 유의확률 p-value가 감소함에 따라 장기간 보관 시 빛을 차단할 것을 권장한다.

  • PDF

육성기 꿩의 주령별 체중과 정강이 길이의 상관과 회귀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is of Body Weight and Shank Length of Growing Pheasant)

  • 양영훈;김준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203-208
    • /
    • 1993
  • 육성기 꿩의 주령별 체중과 정강이 길이에 관한 상호관계를 조사하고, 조기 체중과 정강이 길이가 종꿩으로의 최종 선발주령인 20주령의 체중에 대한 회귀분석 결과 다음과 같았다. 부화시부터 20주령까지 성장기 꿩의 동일주령에서 체중과 정강이 길이는 암꿩에서 0.50~0.83, 수꿩에서 0.57~0.85의 정의 상관관계(P<0.01)를 보여주고 있었으며, 부화시 체중은 4, 8 및 12주령의 체중과는 상관관계가 인정되지 못했으나 (P>0.05), 부화시 체중과 16 및 20주령 체중과의 상관계수는 암컷에서 0.44(P<0.01) 및 0.44(P<0.01)로, 수컷에서는 각각 0.32(P<0.05) 및 0.30(P<0.05)로 성장말기 체중과 정의 상관관계로 나타나고 있었으나, 부화시 정강이 길이와 20주령의 체중 사이에는 암수 모두에서 상관관계가 인정되지 않았다(P>0.05). 20주령의 체중에 대한 조기 측정치(12주령 이전)들의 회귀모형들을 검토한 바, 부화시와 12주령시 측정치를 포함한 모형 ($R^2$=0.96), 8주령과 12주령시 측정치를 포함한 모형($R^2$=0.96), 또는 부화시, 8주령 및 12주령시 측정치를 이용한 모형($R^2$=0.97)으로 평가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사료되었다.

  • PDF

치수세포의 Substance P 자극 시 Interleukin-8과 Monocyte chemattractant protein-1의 분비에 관한 연구 (The effect of Substance P on the secretion of Interleukin-8 and MCP (Monocyte Chemoattractant Protein)-1 from the Human Dental Pulp Cells)

  • 박상혁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28권5호
    • /
    • pp.409-418
    • /
    • 2003
  • 본 연구는 치수 염증 시 IL-8과 MCP-1 분비에서 neuropeptide의 역할에 대해 관찰하고자 발거된 건전한 치아를 수직 파절시켜 치수조직을 채취하여 배양된 치수세포 및 혈관내피세포(ECV 304세포)를 각기 다른 농도의 Substance P(SP)로 12시간 자극하였고, 24시간 동안 4시간 간격으로 시간대별로 자극하였으며, 또 치수세포를 Calcitonin gene-related peptide (CGRP)로 12시간 자극하였다. 이들 세포를 SP길항제 (Spantide)로 15분간 차단한 후 SP로 12시간 재 자극하였으며, SP와 CGRP혼합액을 12시간 자극하였다. 상기의 실험 후 부유물로 ELISA를 시행하여 IL-8과 MCP-1의 분비 량을 측정하였다. 치수세포는 SP로 자극 시 IL-8이 현저히 증가한 반면, CGRP는 효과가 없었으며, SP와 CGRP를 혼합자극 시 시너지 효과 또한 없었고, Spantide는 치수세포의 IL-8과 MCP-1의 분비를 차단시켰다. 치수세포를 SP로 24시간 동안 4시간 간격으로 자극 시 8시간 후 최대의 IL-8은 분비량 나타내었으며, 8시간과 12시간 사이에서 최대의 MCP-1 분비량을 나타내었다. ECV 304세포를 SP로 자극 시 IL-8과 MCP-1 분비량이 미약하게 증가하였으며, Spantide는 ECV 304세포의 IL-8과 MCP-1 분비를 억제시켰다.

클로즈업 - 인협, 청주시와 직지특별전 및 순회전 개최

  • 임남숙
    • 프린팅코리아
    • /
    • 제12권12호
    • /
    • pp.70-71
    • /
    • 2013
  • 대한인쇄문화협회(회장 김남수)와 청주시는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금속활자인 <직지>를 일반인들에게 널리 알리기 위해 매년 직지순회전을 개최하고 있다. 올해는 국내 10곳, 국외 3곳에서 직지순회전이 개최됐다.

  • PDF

포커스 - 인협, 청주시와 직지특별전 및 순회전 개최

  • 임남숙
    • 프린팅코리아
    • /
    • 제11권12호
    • /
    • pp.72-73
    • /
    • 2012
  • 대한인쇄문화협회(회장 김남수)와 청주시는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금속활자인 <직지>를 일반인들에게 알리기 위해 매년 직지순회전을 개최하고 있다. 올해는 국내 12곳, 국외 4곳에서 직지순회전이 개최됐다.

  • PDF

백서 뇌내 Endorphin의 일주기 변동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iurnal Variation of Endorphin in Rat Brain)

  • 정창영;김기원;조규박
    • 대한약리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35-47
    • /
    • 1984
  • 실험적으로 L:D, 12:12또는 D:D, 12:12에 적응시킨 흰쥐의 간뇌에서 beta-endorphin함량의 일중변동과 이에 대한 수종 중추성 약물의 효과를 검토하고 beta-endorphin함량의 생리 및 약리학적 의의를 추구코저 $^3H-morphine$ binding을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성적을 얻었다. 1) L:D, 12:12 cycle에 적응시킨 대조군에서 뇌내 beta-endorphin함량은 06 : 00시 에 최고에 달하고 18 : 00시에 최저인 대단히 유의한 일중변동을 일으켰고 24시간 평균 beta-endorphin함량은 $46.7{\pm}3.6$ fmole/mg protein 이었다. 2) D:D, 12:12에 적응시친 표본에서 beta-endorphin 함량은 대조군에서와는 달리 14 : 00시에 최고에 이르고 02 : 00시에 최저에 이르는 일중변동을 보였으며 24시간 평균 beta-endorphin함량도 대조군에 비하여 현저히 감소되었다. 3) 뇌내 beta-endorphin함량 일중별동은 reserpine. pargyline, imipramine, amphetamine. 또는 chlorpromazine처리로써 변동되었다. 4) 대조군에서 $^3H-morphine$ binding은 22 : 00시에 최고에 달하는 일중변동을 보였으며, 지속적인 암적응군에서의 binding은 02 : 00최고, 그리고 14 : 00시에 최하에 이르는 일중변동을 보였다. 5) 대조군과 지속적인 암적응군에서 함량과 maximum $^3H-morphine$ binding간에는 유의한 역상관관계가 있었다. 이상의 실험성적으로 흰쥐 뇌내 beta-endorphin함량과 수용체는 유의란 일중변동을 일으키고 opiate receptor binding의 일중변동은 beta-·endorphin함량변동에 따른 receptor regulation에 의함을 시사하며 또한 지속적인 암적응을 포함하여 수종 중추에 작용하는 약물들이 endorphin함량 일중변동을 변동시킬 수 있음을 보여 준다.

  • PDF

열대과수 용과 가온하우스 재배의 인공수분 시간이 과실비대에 미치는 영향 (Effect on fruit growth and quality as artificial pollination time of Dragon fruit(Hylocereus undatus) in heating plastic house cultivation)

  • 박재옥;이소미;조경철;권혜영;김병삼;황인택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18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79-79
    • /
    • 2018
  • 용과(Hylocereus undatus)는 멕시코 및 과태말라가 원산지이며 아열대 및 열대지역에서 재배되고 있으며 아시아는 베트남 타이완 중국 일본 등 국가에서 재배하고 있다. 가지에 열매가 있는 모습이 용이 여의주를 물고 있는 형과 닮았다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지구온난화로 인한 기온상승으로 전남지역 재배에 적합한 대체 열대 및 아열대과수 개발이 필요하다. 용과는 열대과수 중 비교적 낮은 온도($10^{\circ}C$이상) 조건에서 재배 가능하여 남부지역에서 시설내 가온재배하고 있다. 국내 시설재배 중 문제점은 용과는 밤에 꽃을 피기 때문에 밤에 활동하는 매개곤충이 없어서 인공수분으로 수분문제를 해결해야한다. 인공수분의 한계시간과 수분할 경우 과실비대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인공수분 시간을 개화 1시간 이내, 4~5시, 11~12시 및 무 처리(방임)로 처리하였다. 개화시기는 1차 7월 13일, 2차 8월 8일, 3차 8월 26일로 3회에 걸쳐 개화가 이루어졌으며 이시기의 화분량는 4~5시가 0.68g, 11~12시 0.47g로 1시간 이내 0.16g보다 많았고 과실비대에서 1과중은 개화11~12시가 421g, 4~5시 400g, 1시간 이내가 377g으로 처리 간에 차이는 없었지만 무처리는 185g으로 처리구와 192~236g의 유의차가 있었다. 용과의 인공수분한계시간은 다음날 아침 7시(개화 11~12시)까지 인공수분 할 경우 정상적인 착과가 이루어졌으며 과실비대를 위해서 인공수분은 필수적으로 실시해야 한다.

  • PDF

전산화단층촬영 검사 시 Gantry Aperture 내의 선량분포와 영상의 질 (Dose Distribution and Image Quality in the Gantry Aperture for CT Examinations)

  • 조평곤;김유현;최종학;이기열;김형철;김장섭;신동철;이성현;이준협;신귀순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32권4호
    • /
    • pp.453-460
    • /
    • 2009
  • 슬라이스 두께(slice thickness)와 선속시준(beam collimation, BC)의 변화에 따른 CT gantry aperture 내의 선량 분포와 영상의 질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CT장치로는 64-slice MDCT 스캐너(Brilliance 64, Philips, Cleveland, USA)를 사용하였다. 피사체가 없는 경우(air scan)의 선량측정을 위해 CT용 전리함을 gantry aperture내의 회전중심점(isocenter)과 12시, 3시, 6시, 9시 방향에서 회전중심점으로부터 5 cm 간격으로 30 cm까지 BC를 변화시키면서 각각 측정 하였다. 또한 5개의 구멍(팬텀의 중심과 12시, 3시, 6시, 9시 방향)으로 구성된 CT head and body dose phantom을 gantry aperture 내에 위치시키고 각 지점에서 선량을 측정하였다. Gantry aperture 내 피사체의 위치변화에 대한 영상의 노이즈를 비교하기 위해서 AAPM CT용 팬텀의 물통을 회전중심점과 12시 방향으로 5 cm와 10 cm 이동시킨 후 BC를 변화시키면서 스캔한 후 팬텀의 중심과 12시, 3시, 6시, 9시 방향의 지점에서 노이즈를 측정하였다. 이 중에서 몇 군데의 위치는 영상 영역에서 벗어나서 측정 할 수가 없었다. 이때 노이즈 측정을 위해서 영상재구성의 슬라이스 두께는 5 mm로 하였다. 측정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CTDIw는 회전중심점으로부터 멀어질수록, BC가 넓어질수록 감소하였다. 둘째, BC의 넓이가 비슷한 경우의 CTDIw는 거의 유사한 값을 보였다. 즉, CTDIw는 검출기 배열의 수나 화소의 크기 보다는 전체적인 BC의 넓이에 의존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air scan과 phantom scan 경우 모두에서 CTDIw는 BC가 증가될수록 감소하였다. 그러나 air scan의 경우보다 head phantom scan 시 약 30%, body phantom scan 시 약 52% 정도 CTDIw의 값이 감소하였다. 넷째, BC와 팬텀의 위치 변화에 따른 노이즈 값은 $2{\times}0.5\;mm$의 BC을 제외하고는 head phantom scan한 경우 3.9~5.9, body phantom scan한 경우 5.3~7.4로 나타나, BC와 팬텀의 위치변화에 따라서 큰 차이가 없었다. 따라서 피사체의 위치가 gantry aperture 내 SFOV(scan field of view)에 포함될 경우 회전중심점에 정확하게 위치시키지 않아도 영상의 질에는 많은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