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104 village

검색결과 49건 처리시간 0.027초

순천시 개랭이 권역사례를 중심으로 한 농촌경관계획과 도시경관계획 사례의 실증적 비교연구 (An Empirical Comparative Research between Rural Landscape Plan and Urban Landscape Plan with Gaerangyi Rural Landscape Plan in Soonchon City)

  • 박장순;양승우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17권1호
    • /
    • pp.95-104
    • /
    • 2015
  • This paper aims to make an empirical comparison between the rural landscape planning and the urban landscape planning. The research method is a contents analysis about Jeollannamdo-province Landscape Base Plan and Suncheon-city Urban Landscape Plans, and Gaerangyi Village Rural Landscape Plan out of total 111 cases of Rural Landscape Plans. The findings are as followings: firstly, the only 14 villages out of 45 villages had the province-unit landscape base plan, the city/gun-unit urban landscape plan, and the rural landscape plan in sequence periods. Secondly, it was found that the Gaerangyi Village Rural Landscape Plan was relatively coordinated with the Jeollanam Province's Landscape Base Plan, but the former was not relatively coordinated with the Suncheon City Urban Landscape Plan. Thirdly, three hierarchical discordance may drive from the difference of applicable acts and authorities concerned. However, in Suncheon City, a rural-urban integrating city, both an urban landscape plan excluding rural regions and a rural landscape plan excessively emphasizing a rural village's unique characteristics, while its administrative district is unclear are hard to be seen as a good plan fully containing Suncheon-city's full identity.

농촌마을 에너지 사용 및 공동시설 활용 분석 - 농촌어메니티 공동생활시설자원을 중심으로 - (Analysis of Energy Use of Rural Village and Utilization of Community Facilities - Focusing on Community Facilities of Rural Amenity Resources -)

  • 최영완;김영주
    • 농촌계획
    • /
    • 제20권1호
    • /
    • pp.115-125
    • /
    • 2014
  • Rural villages have many problems such as the collapse of rural village communities with continued over-depopulation and aging, reduced functions of towns and villages, deteriorated services with changes in the structure of settlement class and decreased use of the facilities. they also have difficulties in maintenance in spite of the increase of the roles of rural village community facilities. Various plans for the utilization of community facilities to promote the vitality of rural villages and the revitalization of communities have been needed. Thus, this study aimed to offer basic data to seek for future plans to utilize community facilities and reconstruct communities through an analysis of the current uses of energy and community facilities in rural villages.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consumption of petroleum was highest in mountain villages at an average of 187,475 won/month($137{\ell}$), followed by fishing villages at an average of 144,142 won/month($104{\ell}$) and rural villages at an average of 126,070 won/month($93{\ell}$). The rate of utilization of community facilities was reversely highest in rural villages at 84.3%, followed by fishing villages at 61.1% and mountain villages at 40.7%. This research also found that households saved energy when they used community facilities and areas with a high rate of utilization of community facilities at a lower average temperature in winter. It saved approximately 33% energy compared to other areas. Finally, efficient and economical methods for community facilities in villages to be newly developed and the remodeling of existing facilities should been needed in the future to contribute to reconstructing rural village communities that face a crisis of maintenance or abolition.

CPTED 전략에 근거한 주거지역의 안전디자인에 관한 연구 -한국 부산 감천문화마을 사례를 중심으로- (Research on Safety Design of Residence Based on CPTED Strategy -focused on Gamcheon cultural village in Busan, Korea as an example-)

  • 장닝;조정형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8호
    • /
    • pp.93-104
    • /
    • 2021
  • 세계경제의 지속적인 발전과정에서 도시의 거주환경 변화와 조성에 대한 문제는 줄곧 많은 사람들이 관심을 기울이는 주제이다. 이에 본 연구는 거주지역에 존재하는 안전 취약점을 찾아 CPTED 이론 하에 실제에 부합되는 실행 가능한 개선방안과 기획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첫째, 필요한 문헌을 수집하였다. 둘째, 현장조사를 진행하여 현지 주민과 관광객에 대해 설문조사를 진행하였고 이로부터 존재하는 안전 취약점들을 정리하였다. 셋째, 이에 대응하는 개선방안과 건의사항에 대해 제시하였다. 이로부터 최종적으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CPTED 이론의 6가지 원리를 기초로 하여 연구대상인 감천문화마을에 존재하는 문제점에 대해 조사 및 종합하였다. 둘째, 현장 조사와 설문조사 결과를 종합해 가장 심각한 안전 문제 6개(안전손잡이, 조경, 출입구 통제, 표지판, 빈 공간, 감시)를 객관적으로 분석하였고 안전계단 증가, 자동 출입구 설치, 통행시야 확대, 표식 통일, 휴식장소 구축 등 방면에서 디자인을 제시하였다.

당산숲 구성요소인 돌탑의 기원 유래 고찰 - 안동 서지리 성황당 돌탑을 중심으로 - (Study on the Origin of Stone Tower as a Component of Dangsan Forest - Focus on Village Shrine at Seoji-ri, Andong -)

  • 최재웅;김동엽;권진량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98-104
    • /
    • 2010
  • 본 논문의 목적은 삼첩석, 이첩석 및 돌탑으로 이루어져 있는 '안동 서지리 성황당'을 사례로 하여 당산숲의 구성요소인 돌탑의 조형 양식에 대한 유래와 특징을 고찰한 것이다. 세개의 돌탑은 옛당산숲으로 보이는 마을 안쪽의 개천변 소나무 동산 정상에 있다. 세 돌은 일직선상으로 9m 거리에 걸쳐 위치하고 있으며 마을을 바라보며 왼쪽에 삼첩석, 가운데에 이첩석, 오른쪽에 돌탑이 있다. 삼첩석의 제일 아래 쪽은 길이 2.5m, 폭 1.8m, 높이 1.3m이고, 이첩석의 아래 자연석은 길이 1.3m, 폭 1.5m, 높이 0.9m이다. 돌탑은 지름 3m의 원추형에 높이 1.8m로서 작은 돌을 쌓은 것인데, 일명 '모관석'은 현재 이첩석의 맨 위에 있던 것이 떨어져 나간 것으로서, 현재의 이첩석은 원래 삼첩석이었던 것으로 추정되며 그 까닭은 우리나라 고대 조형 방식의 원리인 삼재사상(三才思想)에 비추어 볼 때, 짝수로 이루어진 조형물은 예를 찾아볼 수 없기 때문이다. '안동 서지리 성황당'이 청동기시대의 거석문화와 후대의 민간신앙이 이어져 오는 과정을 보여 주는 예가 되는 것과 같이, 시기적으로 볼 때 돌탑은 청동기시대의 거대석인 왼쪽의 삼첩석을 기원으로 하고, 가운데에 위치한 좀 더 작은 크기의 삼첩석(현재는 이첩석)을 거쳐, 후대에 오른편에 있는 작은 크기의 보통 돌탑으로 그 조형 양식이 변화되어온 것으로 추정된다. '안동 서지리 성황당'은 돌탑의 기원이 청동기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간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는 귀중한 유적이라고 할 수 있다.

경주 양동마을의 외래식물 현황 (Status of Exotic Plant Species in Gyeongju Yangdong Village)

  • 김기송;신현탁;이명훈;윤정원;김용식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45권1호
    • /
    • pp.174-189
    • /
    • 2012
  • 경상북도 경주시에 위치한 양동마을은 중요민속문화재 제189호로 지정된 500년 역사의 한국의 전통마을이다. 최근 유네스코(UNESCO)의 세계유산인 양동마을은 보존 가치가 높아짐과 동시에 관광객의 증가에 따라 많은 위협을 받고 있다. 본 연구는 양동마을의 관속식물과 외래식물 및 귀화식물의 현황을 조사 분석하여 전통문화공간 관리체계의 부재를 인식하고 차후 외래 식물 관리보전방안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관속식물상은 89과 227속 261종 1아종 5품종 26변종 총 293분류군이다. 외래식물은 53과 98속 104종 2품종 8변종 총 114분류군이다. 귀화식물은 15과 36속 37종 2변종 총 39분류군이다. 이에 따른 양동마을의 귀화율은 13.31%, 도시화지수는 13.64%이다. 양동마을의 전체 관속식물상 293분류군 중 외래식물은 114분류군으로 38.91%에 해당하는 높은 수치이다. 따라서 우리나라의 전통유산으로서 양동마을의 식물관리지침을 수립하고, 이에 따른 외래식물 유입 방지와 관리 및 식재계획을 세워야 하며, 주민을 대상으로 한 교육을 병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미완공간척지의 정주생활 실태분석(II) -영농 및 농촌경제- (Analysis on the Setfiement Conditions in the Troubled Reclaimed Areas Under State Control (II) - Farming and Rural Economy-)

  • 최수명;황한철
    • 한국농공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104-111
    • /
    • 1991
  • In Korea, small-scale reclaimed areas have been suffering from many problems because of the lack of comprehensive developing strategy although considerable investments have been inputed by the public sector since 1970's. For 3 reclaimed sites in Chonnam Province choser as case study areas, the analysis, the second attempt of widely-spanned studies on areal conditions, concentrated on their farming and economic conditions. Its results were as follows ; 1. Although farming pattern has been transferred to the full4ime rice cropping type by the creation of reclaimed paddy field, farming size in the areas has not been increased more than that in existing agricultural areas. This means that agricultural planning should be included in the initial stage of reclamation projects, especially with reference to the substantial enlargement of farming size. 2. Block parcelling of severely fragmented holdings in new and old lands should be carried out, which can make farming activities efficient and farming route shortened. In large-scale reclaimed areas, new village planning could be considered in its central zone for efficent farming. 3. Because soil in the areas contains much more salt and water than that in other areas, new design methodology should be introduced for the efficient use of agricultural machines in reclaimed areas. 4. There are deep-seated economic problems in reclaimed area, which have been caused by very poor level and agriculturally dominated structure of household income. These problems should motivate farmers to give up positive action for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improvement in farming.

  • PDF

노거수 및 보호수 왕버들 삽목증식에 미치는 상토의 영향 (Effect of Bedsoil on Cutting Propagation of Old Growth and Protected Tree of Salix chaenomeloides Kimura)

  • 송현진;정미진;김학곤;서영롱;임현정;양우형;박동진;윤석락;마호섭;최명석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4권1호
    • /
    • pp.76-83
    • /
    • 2015
  • 본 연구는 경남에 자생하고 있는 100-600년 추정 노거수 및 보호수 왕버들의 생육특성을 분석하고, 상토에 따른 삽목증식의 영향을 구명하였다. 노거수 및 보호수 왕버들 6개체는 마을형 4개소, 하천형 주변 1개소, 들판형 1개소에 자생하고 있었다. 삽목증식은 10가지 상토에서 실시하였으며, 모든 상토에서 삽목묘의 생존율은 93%이상이었다. 삽목묘의 묘고 생장이 가장 좋았던 상토는 시판 바이오상토(CBS, mean=60.01 cm)였으며, 다음으로 혼합상토(VPMP, mean=42.95 cm), 피트모스(PM, mean=41.81 cm) 순이었다. 근원경의 생장은 상토에 따라 심한 차이를 보였으며, 신초는 1-4개 형성되었다. 삽목묘의 뿌리길이는 묘고 생장이 좋았던 상토였던 CBS와 VPMP에서 20 cm 이상 생장하였다. 상토의 물리화학적 특성을 조사한 바, 왕버들의 삽목에는 보습력과 통기성이 양호하며, EC값이 높은 약산성의 상토가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CBS와 VPMP 상토는 노거수 및 보호수 왕버들의 삽목증식에 적합한 상토로 나타났다.

1965년(年)에 실시(實施)한 Diethylcarbamazine의 말레이사상충(絲狀蟲)에 대한 구충효과(驅蟲效果)의 평가(評價) (Effect of Diethylcarbamazine against Brugia malayi Infection on Cheju Island, evaluated in 1965)

  • 백영한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24권2호
    • /
    • pp.201-204
    • /
    • 1986
  • A study on the effect of diethylcarbamazine (DEC) (Supatonin) against Brugia malayi infection was conducted on Cheju Island in September 1965. A total of 182 persons living in a village of Aiwol Myun, Bukcheju-Gun was examined for microfilaraemia. Microscopic examination of smears of $20{\mu}l$ of blood revealed a microfilaria positivity rate of 28.5%. At the end of September 1965, 34 confirmed microfilaria positive cases were treated with DEC at a daily dosage of 5mg/kg body weight. A full course of 12 days of drug administration divided of two rounds for 6 days each was used. The first round of treatment was given under a strict supervision of the author in order to observe carefully side-effects of the drug. The second round of treatment was given in January 1966. The microfilaria density in $20{\mu}l$ of blood of those who received the drug was checked four times; before the treatment, during the first round of the treatment, 2 weeks and 4 months after the completion of the first round. The pre-treatment mean microfilaria density of 104.6 diminished to nearly zero (only two cases with one microfilaria respectively) 2 weeks after the first round and again slightly rose up to 0.5 four months after the first round. These results indicate that DEC (Supatonin) is highly effective to eliminate the microfilaria of B. malayi. However, severe side-effects, e.g. fever (average $38.6^{\circ}C$, maximum $39.7^{\circ}C$), headache, backache and seldom abdominal discomfort etc. were observed. There were two cases of withdrawal from the scheme due to refusal.

  • PDF

지방자치단체의 지역문화자원 활용 효율성 분석 (An Efficiency Analysis of the Local Cultural Resources Utilization of Local Governments)

  • 강보배
    • 지역과문화
    • /
    • 제6권2호
    • /
    • pp.77-104
    • /
    • 2019
  • 본 연구는 지역 문화 생태계의 전제가 되는 지역문화자원에 대한 지방자치단체의 활용 효율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자료포락분석(DEA)을 통해 전국 17개 광역시·도의 상대적인 효율성을 측정하였다. 이와 더불어 지역문화자원 환경 관련 산출 변수를 포함하여 '전체 효율성'을 도출하고, 앞서 도출한 '활용 효율성'과 비교하여 지역문화자원 '환경 효율성'이 지자체의 효율성 순위 변동에 미치는 영향을 추정하였다. 분석 결과, 17개 광역시·도 중 5곳의 기초자치단체들이 효율적으로 지역문화자원을 활용한 것으로 평가되었으며, 비효율적인 광역시·도의 기초자치단체들은 순기술효율성 보다 규모의 비효율이 상대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환경 효율성' 추정 결과, 17개 광역시·도의 '활용 효율성'과 '전체 효율성' 순위가 동일한 곳은 없었으며, '전체 효율성'의 순위 증감을 통해 '환경 효율성'의 영향을 확인하였다. 지방자치단체의 효율성 차이는 투입 변수에 전제된 인구밀도가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향후 효율성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지역문화자원 활용의 주요 수요자인 지역주민 인구 추계에 따라 투입의 적정 수준을 조절해야 할 필요가 있다. 더불어 현재 지방자치단체에서 개최하고 있는 지역축제, 마을축제의 점검을 통해 비효율적인 부분을 제거하여 산출량을 질적으로 개선해야 한다. 또한 지방자치단체의 지역문화자원 효율성을 분석하고자 할 때, 환경적 산출 요인의 고려가 함께 충분히 이루어져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