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1-octen-3-ol

검색결과 70건 처리시간 0.024초

한국산(韓國産) 식용(食用)버섯의 향기성분(香氣成分)에 관(關)한 연구(硏究) (II) -느타리버섯의 향기성분(香氣成分)- (Studies on the Volatile aroma Components of Edible mushroom (Pleurotus Ostreatus) of Korea)

  • 안장수;이규한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258-262
    • /
    • 1986
  • 한국산 느타리버섯의 생것과 조리 중의 향기성분을 GC, GC-MS를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생 느타리버섯의 향기성분 24종을 확인 동정하였다. 이들 중 3Octanol이 46.01% 3-octanone은 18.75%, 1-octene-3-ol이 15.39% Isobutyl alcohol이 3.48%, 그리고 Isoamylalcohol은 3.07%, 2-methylbutylalcohol이 2.34%로 이들 6가지 성분이 전체 향기성분중에서 89.04%를 차지하였다. 2) 조리 중 느타리버섯에서는 향기성분 16종을 확인 동정하였으며 이중 1-octen-3-ol이 66.50%, 3-octanol 10.99%, 3-octanone 9.77% 1-octen-3-one 1.3% 및 Octyl alcohol 1.12%로 이들 5가지 성분이 전체의 향기성분 중에서 89.61%로 조성 되었다. 3) 느타리버섯의 생것이나 조리 중의 향기성분은 대부분이 Carbonyl 화합물과 Alcohol류로 되어 있었으며 탄소수는 $2{\sim}8$개인 저급 지방족화합물로 되어 있었다.

  • PDF

능이버섯의 맛 성분과 향기성분 (Volatile Flavor and Nonvolatile Taste Components in the Wild Mushroom Sarcodon aspratus (Berk.) S. Ito)

  • 홍주연;신승렬;문용선;이승언;윤경영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7권6호
    • /
    • pp.770-776
    • /
    • 2010
  • 본 연구는 능이버섯의 식품학적 이용성 증진을 위한 기초적인 연구로써 능이버섯의 휘발성 및 비휘발성 기호성분을 분석하였다. 단맛에 관여하는 유리당은 glucose, trehalose, sucrose, xylose가 검출되었고 총 함량은 202.5 mg/kg이었다. 단맛, 쓴맛 및 감칠맛에 관여하는 아미노산의 함량을 분석한 결과, 필수아미노산과 총 유리아미노산의 함량은 각각 1,249.5 mg/kg과 2,592.1 mg/kg으로 나타났다. 버섯의 5'-nucleotide 함량을 분석한 결과, 감칠맛에 관여하는 5'-nucleotide의 함량은 773.4 mg/kg으로 측정되어 총 5'-nucleotide의 30.8%를 차지하였다. 능이버섯의 향기성분을 분석한 결과, 6종의 alcohol류, 4종의 ketone류, 8종의 aldehyde류 및 3종의 함황화합물을 비롯하여 총 27종의 향기성분이 확인되었다. 이 중 1-octen-3-ol이 전체 향기성분의 68%를 차지하였고, 2-octen-1-ol, 1-octen-3-one 그리고 2-octenol 순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능이버섯을 이용한 기능성 식품 및 식품재료로서의 이용성 증진을 위한 기초 자료로 제공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생송이 버섯과 냉동송이 버섯의 품질 및 향기 성분 특성 (Characteristics of Quality and Volatile Flavor Compounds in Raw and Frozen Pine-mushroom (Tricholoma matsutake))

  • 구경형;조명희;박완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625-630
    • /
    • 2002
  • 등급별 송이 버섯과 $-20^{\circ}C$$-70^{\circ}C$에서 급속냉동한 후 저장한 송이버섯의 일반성분과 AromaScan 및 GC/MSD에 의한 향기 특성을 비교 조사하였다. 일반성분의 경우 냉동하지 않은 송이 버섯은 수분 함량 $89.48{\sim}90.77%$, 회분은 건물량으로 환산하여 등외품인 D시료를 제외하고 6.81%, 단백질 $16.19{\sim}20.01%$, 지방 $2.24{\sim}2.52%$로 등급에 따라 차이가 없었고, $-20^{\circ}C$$-70^{\circ}C$에서 6개월 저장한 냉동송이 버섯도 냉동하지 않은 송이 버섯과 각 성분에 있어서 큰 차이가 없었다. 전자코에 의한 향 패턴 분석과 다차원 판별 분석을 실시한 결과 생송이 버섯은 등급별 차이가 거의 없게 나타났으나, 냉동 저장한 등급별 송이 버섯의 경우 분별화되는 경향을 보였다. 또 등급별 송이 버섯 및 냉동 송이 버섯을 GC/MSD에 의한 향기 성분 분석 및 동정한 결과 50여개의 peak가 검출되었으며, 이중에서 29개의 성분이 동정되었다. 동정된 휘발성 향기 성분중 1-octen-3-ol, 2-octen-1-ol, 3-methy-butanal이 공통적인 성분이었고, 등급이 낮아질수록 1-octen-3-ol 함량이 감소하였다. 각 등급별 생송이 버섯 및 냉동 송이의 이취, 향미 등의 관능검사 결과 생송이 버섯은 등급간에는 차이가 없었으나, 냉동 송이는 A(1등급), B(2등급), C(3등급) 시료에 비하여 D(등외품)시료를 낮게 평가하였다.

한국산(韓國産) 식용(食用)버섯의 향기성분(香氣成分)에 관(關)한 연구(硏究) (I) -송이 버섯의 향기성분(香氣成分)- (Studies on the volatile aroma components of Edible mushroom (Tricholoma matsutake) of Korea)

  • 안장수;이규한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253-257
    • /
    • 1986
  • 한국산 송이버섯의 생 것과 조리 중의 향기성분을 GC, GC-MS를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생 송이버섯의 향기성분 13종을 명확 동정하였다. 이들 중 1-octen-3-ol이 73.95% Methyl Cinnamate가 12.52% , 2-octanol 7.62% 및 octyl alcohol 2.78%로 전체의 향기성분 중에서 96.78%를 차지하였다. 2) 조리 중 송이버섯에서 향기성분 9종을 명확 동정하였으며 이들 중 1-octen-3-ol이 64.94%, Methyl cinnamate가 22.03%, 2-octenol 7.68% 및 Octyl alcohol이 22.03%로 전체의 향기성분 중에서 97.96%로 조성되었다. 3) 생 송이버섯과 조리 중의 송이버섯의 향기 성분은 대부분이 Alcohol류와 Carbonyl화합물이며 탄소수가 8개인 저급 화합물이었다.

  • PDF

한국(韓國)의 11개(個) 주요(主要) 산지(産地)에서 채집(採集)한 송이(松栮)의 향기성분(香氣成分)에 관(關)한 연구(硏究) (Aroma Characteristics of Tricholoma matsutake Mushrooms Collected from Eleven Major Sites in Korea)

  • 조덕현;이경준;한심희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8권4호
    • /
    • pp.490-497
    • /
    • 1999
  • 본 연구는 한국에서 생산되는 송이(Tricholoma matsutake)의 향기성분을 구명하고, 주요송이산지간에 향기성분에 차이가 있는가를 구명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경북의 봉화, 울진, 고령, 청도지역을, 경남의 창녕, 하동, 함양지역을, 강원도의 양양, 인제지역을, 충북의 괴산지역과 전북의 남원지역의 총 11개 송이산지를 대상으로 하였다. 향기성분은 dynamic headspace법을 이용하여 $40^{\circ}C$에서 질소로 purge(분주)한 후 휘발성 성분만을 포집하여 GC-MSD(gas chromatograph-mass spectrometric detector)로 동정하였다. 총 25종의 향기성분을 동정하였는데, 가장 중요한 구성성분은 1-octen-3-ol 이었다. 송이 향기의 주성분으로 알려져 왔던 methyl cinnamate는 어느 버섯에서도 검출되지 않아서 이 향기가 천연적인 휘발성 물질이 아님을 입증하였다. 봉화의 송이는 총 향기성분이 다른 산지보다 2배에서 18배까지 많았으며, 주성분은 3-methyl 1-butanol 이었다. 향기의 총량은 봉화, 청도, 인제, 함양, 울진, 양양 순으로 감소하였다. 향기성분의 총량, 향기의 종류와 수준에 따라서 11개 산지를 다음의 4개 유형으로 분류하였다. 1)봉화형은 향기의 총량이 월등히 많고, 3-methyl 1-butanol이 주성분이며, 다른 성분도 골고루 높다. 2)함양형(청도, 양양, 인제 포함)은 1-octen-3-ol이 전체의 2/3 가량을 차지하며, 두 번째 주성분은 3-methyl butanal 이다. 3)울진형은 1-octen-3-ol이 94% 이상을 차지하며, 다른 성분은 거의 없다. 4)괴산형(고령, 남원, 창녕, 하동 포함)은 향기의 총량이 다른 형보다 적다.

  • PDF

감국(Chrysanthemi Flos)의 새로운 알킬알콜배당체 성분에 관한 연구 (A New Alkyl Alcohol Glycoside from Chrysanthemi Flos)

  • 정근영;오세량;김천석;김정희;이형규
    • 생약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15-19
    • /
    • 1996
  • In the course of phytochemical studies of Chrysanthermi Flos(Chrysanthemum indicum L., Compositae), two compounds were isolated by repeated column chromatography. Compound 1 is identified as adenosine on the basis of spectroscopic means and comparison with an authentic standard. Compound 2 is determined to be a new alkyl alcohol glycoside, 1-octen-3-ol $3-O-{\beta}-D-xylopyranosyl(1{\rightarrow} 6)-{\beta}-D-glucopyranoside$ on the spectroscopic evidence. Compounds 1 and 2 are reported for the first time from this plant.

  • PDF

자소엽의 휘발성 성분 (Volatile Components of Perillae folium)

  • 장희진;박준영;김용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29-132
    • /
    • 1991
  • 자소엽의 휘발성 성분을 연속증류추출장치로 추출한 후 GC 및 GC-MS에 의해 분석 동정하였다. 확인된 성분은 17개 성분이며, alcohol류로는 3-octanol, 1-octen-3-ol, linalool, nerolidol, supathuleol, phytol 등을 확인하였으며, ketone류는 2종, aldehyde는 1종, phenol 1종이 확인되었다. Hydrocarbon류는 myristicin외 6종이 확인되었으며, 이 중에서 가장 많이 함유된 성분은 myristicin으로서 전체 휘발성 성분의 53.4%를 차지하였다.

  • PDF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Volatile Organic Compounds of Dairy Beef Round Subjected to Various Cooking Methods

  • Yousung Jung;Hye-Jin Kim;Dongwook Kim;Bumjin Joo;Jin-Woo Jhoo;Aera Jang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43권5호
    • /
    • pp.767-791
    • /
    • 2023
  • To evaluate the effect of different cooking methods on the physicochemical quality and 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 of dairy beef round, twelve beef round pieces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raw, boiling, microwave, and sous-vide. The sous-vide group had a higher pH than the boiling or microwave groups. The boiling group exhibited the highest shear force and CIE L*, followed by the microwave and sous-vide groups (p<0.05). The sous-vide group received higher taste and tenderness scores from panelists (p<0.05) and showed significantly higher levels of aspartic and glutamic acids than the other groups. The sous-vide and microwave groups had the highest oleic acid and polyunsaturated fatty acid levels, respectively. The sous-vide group had significantly higher hypoxanthine and inosine levels than the other groups. However, the microwave group had higher inosine monophosphate levels than the other groups. The sous-vide group had a higher alcohol content, including 1-octen-3-ol, than the other groups. Octanal and nonanal were the most abundant aldehydes in all groups. (R)-(-)-14-methyl-8-hexadecyn-1-ol, p-cresol, and 1-tridecyne were used to distinguish the VOC for each group in the multivariate analysis. Sous-vide could be effective in increasing meat tenderness as well as taste-related free amino acid (aspartic acid and glutamic acid) and fatty acid (oleic acid) levels. Furthermore, specific VOC, including 1-octen-3-ol, 2-ethylhexanal ethylene glycol acetal, and 2-octen-1-ol, (E)-, could be potential markers for distinguishing sous-vide from other cooking methods. Further studies are required to understand the mechanisms underlying the predominant association of these VOC with the sous-vide cooking method.

SPME-GC/MS와 전자코(Electronic Nose)를 이용한 재래흑돼지와 개량종 돼지 가열육의 휘발성 향기 성분 및 향기 패턴 비교

  • 강선문;이성기
    • 한국축산식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축산식품학회 2006년도 정기총회 및 제37차 춘계 국제학술발표대회
    • /
    • pp.209-213
    • /
    • 2006
  • 본 연구는 재래흑돼지와 개량종 돼지 가열육의 SPME-GC/MS와 전자코를 이용한 휘발성 향기 성분 및 향기 패턴 비교를 구명하고자 실시하였으며, 평균 생시 체중이 70 kg인 재래흑돼지(거세돈) 5두와 103 kg인 개량종 돼지($Landrace{\times}Yorkshire$,거세돈) 5두를 도축후 뒷다리 부위를 시료로 이용하였다. SPME-GC/MS를 이용한 휘발성 향기 성분에서 6-mehtyl-1-heptanol이 재래흑돼지육에서만 검출되었고, 1-octen-3-ol과 benzaldehyde가 재래흑돼지육이 개량종 돼지육보다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전자코의 PCA에 의한 향기 패턴은 두 품종간에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재래흑돼지 가열육이 개량종 돼지 가열육보다 높은 6-mehtyl-1-heptanol, 1-octen-3-ol, benzaldehyde를 가졌으며, SPME-GC/MS와 전자코에 의해 품종이 다른 가열 돈육의 휘발성 향기 성분과 패턴을 성공적으로 분별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