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1 ppm

검색결과 6,062건 처리시간 0.04초

고무와 화학제품 제조업 산업장의 작업환경실태에 관한 조사연구 (A Study on the Status of Working Environment of Some Rubber and Chemical Products Manufacturing Industries in Busan)

  • 김준연;이채언;배기택;김준효;김진옥;김돈균;김용완;전종휘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14권1호
    • /
    • pp.97-110
    • /
    • 1981
  • This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investigate the status of harmful working environ ment on twelve rubber and ten chemical products manufacturing industries in Busan area over a period of five months from lune 1 to October 31, 1980. The summarized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highest and lowest mean values of harmful environmental elements in workroom of rubber products manufacturing industries were noted in twisting (98.7dB) and coating department (77.3dB) to noise, molding ($6.43mg/m^3$) and forming ($1.33mg/m^3$) to dust, bonding (toluene 463.7ppm, xylene 457.8ppm and benzene 111.8ppm, respectively) and splicing (toluene 90.0ppm, xylene 83.3ppm and benzene 6.7ppm, respectively) to organic solvents, respectively. Also in chemical products manufacturing, they were noted in grinding (95.1dB) and shining department (76.8dB) to noise, packing ($4.30mg/m^3$) and staining ($3.20mg/m^3$) to dust, shining (393.3ppm and 375.0ppm, respectively) and varnishing(125.5ppm and 121.7ppm, respectively) to toluene and xylene, and scattering (51.8ppm) and mixing (23.9ppm) to benzene, respectively. 2. The mean values of harmful elements in workroom of rubber products manufacturing were 86.3dB to noise, $4.16mg/m^3$ to dust, 258.2ppm to toluene, 230.3ppm to xylene, and 5 4.0ppm to benzene, respectively. Also in chemical products manufacturing, they were 85.2dB to noise, $3.69mg/m^3$ to dust, 227.9ppm to toluene, 213.2ppm to xylene, and 36.3ppm to benzene, respectively. 3. Number of workers exposed to harmful working environment, over TLV, of a total 10,195 workers in rubber products manufacturing were 1,002(9.8%) to noise, 212 (2.1%) to dust, 1,581(15.5%) to toluene, 1,509(14,8%) to xylene, and 1,524(15.0%) to benzene, respectively. Number of workers exposed to harmful working environment, over TLV, of a 1,913 workers in chemical products manufacturing were 112(5.9%) to noise, 132(6.9%) to each organic solvent, respectively. 4. The values of noise and dust of rubber and chemical products manufacturing in 1980 were lower then those in 1977, but the value of organic solvent in 1980 was similar with that in 1977.

  • PDF

혼합유(混合油)의 열산화(熱酸化)에 대(對)한 Tocopherol, 구연산 및 인산염(燐酸鹽)의 상승효과 (Synergistic Effect of Tocopherol, Citric Acid and Sodium Polyphosphate on the Thermal Oxidation of Blending Oil)

  • 장현기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63-70
    • /
    • 1990
  • Influence of mixing ratio of blending oil (rice bran oil : RBD palm olein = 1 : 1, 1 : 4 mixture: w/w) and natural tocopherol, citric acid, and sodium polyphosphate on enhancement of oxidation stability of blending oil under the condition of tap water infulx(1 ml/min/200g oil) were compared by AOM test after heating these system at l80$^{\circ}C$. In addition, the effects of tocopherol, and synergist on oxidition stability were also tested with potato chips fried with blending oil(1 : 4 mixture). The result obtained were as followes; 1. The test of RBD palm olein addition of 50% and 80% against rice bran oil on oxidation stability showed that the higher the palm olein contents in blending oil, the higher the oxidation stability. 2. The test of oxidation stability, adding l00ppm, 200ppm and 400ppm of natural tocopherol in two different types of blending oils, A(1 : 1 mixture) and B(1 : 4 mixture), disclosed that blending oil B was more positively effective, and this trend was superior at 200ppm level particularly, Furthermore, oxidation stability was enhanced remarkably upon addition of 100ppm of natural tocopherol, and 50ppm of citric acid together with 50ppm, 100ppm and 200ppm of sodium polyphosphate in general. Especially, 200ppm of sodium polyphosphate addition induced the most synergetic effect on oxidation stability showing as much as 3 times compare to control. 3. The results of oxidation stability obtained by peroxide value on potato chips fried with blending oil (1:4 mixture} added tocopherol, citric acid and sodium polyphosphate and preserved at $60^{\circ}C$ revealed that addition of tocopherol and 50ppm of citric acid together with 200ppm of sodium polyphosphate treatment was the most synergistic coinciding with AOM test results.

수용성 프로폴리스의 항균성 (Antimicrobial Activity of Water Soluble Propolis)

  • 박헌국;김상범;심창환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15-21
    • /
    • 2008
  • In this study, the minimum inhibition concentration(MIC), growth inhibition activity, and colony forming inhibitory activity of water soluble propolis against Bacillus cereus, Bacillus subtilis, Listeria monocytogenes, Staphylococcus aureus, Streptococcus mutans, Citrobacter freundii, Enterobacter aerogenes, Escherichia coli, Klebsiella pneumoniae and Salmonella enteritidis were tested. The MICs of the water soluble propolis against Bacillus cereus, Bacillus subtilis, Listeria monocytogenes, Staphylococcus aureus, Streptococcus mutans, Citrobacter freundii, Enterobacter aerogenes, Escherichia coli, Klebsiella pneumoniae, and Salmonella enteritidis were 312.5 ppm, below 156.3 ppm, 625 ppm, 10,000 ppm, above 10,000 ppm, 10,000 ppm, above 10,000 ppm, above 10,000 ppm, 10,000 ppm, and above 10,000 ppm, respectively. The growth inhibition concentrations against Bacillus cereus, Bacillus subtilis, Listeria monocytogenes, Staphylococcus aureus, Streptococcus mutans, Citrobacter freundii, Enterobacter aerogenes, Escherichia coli, and Klebsiella pneumoniae were 156.3 ppm, below 156.3 ppm, 625 ppm, 5,000 ppm, 10,000 ppm, 10,000 ppm, 10,000 ppm, 10,000 ppm, and 5,000 ppm, respectively. However, 10,000 ppm did not inhibit the growth of Salmonella enteritidis. Finally, the colony forming inhibitory activities against Bacillus cereus, Bacillus subtilis, Listeria monocytogenes, Staphylococcus aureus, Streptococcus mutans, Citrobacter freundii, Enterobacter aerogenes, Escherichia coli, Klebsiella pneumoniae, and Salmonella enteritidis were 98.0%, 99.8%, 69.8%, 98.1%, 62.0%, 63.1%, 79.5%, 61.9%, 79.6%, and 0.0%, respectively.

IGR계 살충제가 집파리 유충의 발육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everal insect growth regulators on the development of housefly, Musca domestica L., larvae)

  • 박정규
    • 농약과학회지
    • /
    • 제2권3호
    • /
    • pp.137-146
    • /
    • 1998
  • 축산지대에서 문제가 되고 있는 집파리 (Musca domestica)의 방제에 관한 연구의 일환으로, 국내에 등록되어 있는 곤충생장조절 작용이 있는 몇가지 살충제와 imidacloprid 5% WP를 유충의 먹이에 섞어 줌으로써 유충에 대한 치사작용과 번데기 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이 실험에는 1997년 경남 함양의 돈사(豚舍)에서 채집한 집파리를 실험실에서 사육하여 사용하였다. Diflubenzuron, teflubenzuron, triflumuron, flufenoxuron, tebufenozide 등 IGR 계통의 살충제를 집파리 2령충에 처리하였을 때에는 3령표피의 형성을 억제함으로써 유충에 대한 치사효과가 높았고, 3령충에 처리하였을 때에는 정상적인 번데기 표피의 형성을 억제함으로써 기형번데기의 비율이 높았다. 이러한 유충에 대한 치사작용과 기형번데기의 형성에 의한 총사망율은 먹이에 섞어준 약액의 농도가 높을수록 증가하였다. 2령충에 처리하였을 때 95%이상의 총사망율을 나타낸 농도는 diflubenzuron, teflubenzuron, triflumuron, flufenoxuron, imidacloprid에서 각각 5 ppm, 3 ppm, 30 ppm, 5 ppm, 1,000 ppm이었고, tebufenozide는 1,000 ppm에서 91.7%의 사충율을 나타내었다. 3령충에 처리하였을 때 95%이상의 총사망율을 나타낸 농도는 diflubenzuron, teflubenzuron, triflumuron, flufenoxuron에서 각각 100 ppm, 10 ppm, 300 ppm, 10 ppm이었으며, tebufenozide와 imidacloprid는 다른 약제에 비하여 집파리 유충에 대한 치사효과가 떨어져서 각각 1,000 ppm과 300 ppm의 높은 농도에서도 총사망율이 36.1%와 86.7%에 불과하였다. 집파리의 번데기가 외형상으로는 정상이라 하더라도 약제 처리에 의하여 무게가 감소하였다. Teflubenzuron, flufenoxuron, tebufenozide, imidacloprid 처리에 의한 무게감소 현상이 뚜렷하였고, diflubenzuron 과 triflumuron은 무게 감소효과가 적었다. 따라서 IGR계통의 살충제는 유충을 치사시키거나 기형 번데기를 만들어 성충으로 우화하지 못하게 할 뿐만 아니라, 번데기의 무게를 감소시킴으로써 차세대의 산란수에도 영향을 미칠것으로 생각된다.

  • PDF

장류(醬類)의 철분(鐵分)에 관(關)한 연구(硏究) - 제1보(第一報). 간장중의 철분함량(鐵分含量) - (Studies on the Iron Component of Soy Sauce, Bean Paste and Red Pepper Paste -Part I. Iron Content of Soy Sauce-)

  • 유해열;박윤중;이석건;손천배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22권3호
    • /
    • pp.160-165
    • /
    • 1979
  • 본(本) 실험(實驗)은 장류제조(醬類製造) 과정중(過程中)의 철분(鐵分)의 혼입경로(混入經路) 함량변화(含量變化) 및 제품(製品)의 질(質)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규명(糾明)할 목적(目的)으로 시도(試圖)되었으며 그 일단계로서 간장 양조(釀造) 과정중(過程中)의 철분함량(鐵分含量)과 시판(市販) 간장중(中)의 철분함량등(鐵分含量等)에 대(對)하며 실험(實驗)한 결과(結果)는 아래와 같다. 1. 간장 양조원료중(釀造原料中)의 철분함량(鐵分含量)은 대두(大豆)에는 108 ppm, 탈지대두(脫脂大豆)에서 133ppm, 소맥에서 79ppm, 식염(食鹽)에서 5ppm, 종국(種麴)에서 58ppm, 황국균(黃麴菌) 포자(胞子)에서 $300{\sim}2000ppm$, gluten에서 240ppm, $Na_2CO_3$에서 20ppm(이상(以上) 건물당(乾物當))이며 HCl에서 6ppm, Caramel에서 18ppm, 양조용수(讓造用水)에서 0.3ppm으로 각각(各各) 나타났다. 2. 제국과정중(製麴過程中)의 철분합량(鐵分合量)은 $200{\sim}240ppm$(건물당(乾物當))으로 제국기간(製麴期間)의 경과(經過)에 따라 다소(多少) 증가(增加)하는 경향(傾向)을 보였다. 3. 간장 발효과정중(醱酵過程中)의 철분함량(鐵分含量)은 담금후 1개월(個月) 경과후(經過後)에 40ppm, 3개월(個月) 경과후(經過後)에 $43{\sim}47ppm$, 6개월(個月) 경과후(經過後)에 $49{\sim}62ppm$으로 각각(各各) 나타났다. 4. 양조(讓造)간장의 압착과정(壓搾過程)에서 즙액중(中)의 철분(鐵分)은 감소(減少)하나 살균과정(殺菌過程)에서는 별다른 변화(變化)가 없었다. 5. 화학(化學)간강 제조과정중(製造過程中)의 철분함량(鐵分含量)은 소맥 gluten의 염산(鹽酸) 분해액중(分解液中)에 159ppm, 중화액중(中和液中)에 184ppm으로 중화(中和)에 의(依)하여 다소(多少) 증가(增加)하였다. 6. 제품(製品) 양조(釀造)간장과 화학(化學)간장의 총질소농도(總窒素濃度)를 달리하여 철분함량(鐵分含量)을 측정(測定)한 결과(結果) 총질소(總窒素) 농도(濃度)가 증가(增加)함에 따라 철분함량(鐵分含量)은 증가(增加)하였으며 동일(同一)한 총질소농도(總窒素濃度)에 있어서 화학(化學)간장은 양조(釀造)간장은 비(比)해 철분함량(鐵分含量)이 높았다. 7. 시판(市販)간장중(中)의 철분함량(鐵分含量)은 제조원(製造元)에 따라 다양하나 총질소(總窒素) 1.0으로 환산(換算)하여 평균(平均) 62.7ppm이었으며 재래식(在來式) 간장의 철분함량(鐵分含量)은 평균(平均) 37.68ppm이었다.

  • PDF

Xanthophylls의 급여가 계란 노른자의 착색 및 항산화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ietary Xanthophylls Supplementation on Pigmentation and Antioxidant Properties in the Egg Yolks)

  • 민병진;이규호;이성기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5권5호
    • /
    • pp.847-856
    • /
    • 2003
  • 크산토필의 첨가 급여가 계란의 난황에서 착색과 항산화 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본 실험을 실시하였다. 사료 속에 어떠한 색소도 함유되지 않은 것을 대조구(기본 사료)로 하고, 옥수수와 corn gluten meal이 들어있어 자연 크산토필이 함유된 일반 시판사료를 시험구의 사료로 이용하였다. 50 주령의 갈색 산란계를 이용하여 4주간 사양시험을 실시하였다. 시험구로는 T1(일반 시판사료 + lutein 10ppm + capsanthin 10ppm), T2(T1 + capsanthin 65ppm), T3 (T1 + canthaxanthin 65ppm), T4(T1 + capsanthin 10ppm + canthaxanthin 65ppm), T5(T1 + capsanthin 65ppm + canthaxanthin 10ppm)로 나누어 시험을 수행하였다. 난황의 pH는 처리구간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착색 실험으로 37$^{\circ}C$에서 48시간까지 저장하는 동안 T2~T5 구의 명도(L$^{*}$)가 대조구 또는 T1에 비해 낮았고, 적색도(a$^{*}$)는 더 높았다(P〈0.05). 또한 T2~T5 구의 황색도(b$^{*}$)는 T1에 비해 낮은 값을 보였다. 리포좀 모델시스템에서 산화기간 동안 T1~T5 구가 대조구에 비해 TBARS(O.D.)가 더 낮았고, 급여농도가 높은 T2~T5 구가 T1보다 더 낮았다(P<0.05). 결론적으로 산란계 사료에 lutein, capsanthin, canthaxanthin을 혼합 급여하면 종류와 농도에 따라 난황의 착색에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난황의 산화도 지연시킨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넙치 (Paralichthys olivaceus)의 in vitro 난모세포 성숙과 배란에 미치는 TBT, TPhT 및 Aroclor 1254의 영향 (In vitro Effects of TBT, TPhT and Aroclor 1254 on Oocyte Maturation and Ovulation in O1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 백혜자;정지현;전중균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4권6호
    • /
    • pp.584-587
    • /
    • 2001
  • 성숙 시기의 넙치 (Paralichthys olivaceus) 어미를 대상으로 난 모세포의 GVBD와 배란유도과정에 TBT/TPhT와 Aroclor 1254의 저해효과를 조사한 결과, TBT (또는 TPhT)와 Aroclor 1254모두 GVBD 과정과 HCG로 전처리한 배란유도 과정에 저해효과를 보였으며, 난모세포의 반응은 Aroclor 1254보다는 TBT에 좀 더 민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TBT의 처리 농도별 차이는 TBT 0.1과 1 ppm에서 가장 낮은 GVBD 유도율을 보였으나 $0.0001\~1\;ppm$ 사이에 유의한 차이는 관찰할 수 없었다 TBT의 배란저해 효과는 HCG 처리 구에 비해 HCG+TBT의 모든 실험구 (0.01, 0.1, 1 ppm)에서 뚜렷하게 나타났으며, TBT 처리구 중 가장 높은 농도인 HCG+TBT 1 ppm에서 가장 낮은 배란율을 보였다. 넙치의 GVBD와 배란과정을 유기주석화합물 (TBT, TPhT)이 방해함으로써 이 시기의 주요 호르몬인 progestogens 작용이 저해되는 것으로 생각되며, 앞으로 난소발달 단계별로 세분화하여 그 저해 작용 메커니즘에 대한 실험이 요구된다.

  • PDF

두메부추의 휘발성 향기성분 분석 (Analysis of Volatile Flavor Components from Allium senescens)

  • 이미순;정미숙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55-59
    • /
    • 2001
  • 신선 및 동결 건조된 두메부추 잎을 연속수증기 증류추출 장치로 증류하여 얻어진 정유성분을 GC 및 GC-MS로 분석하여 신선한 시료에서 11종의 hydrocarbons 0.136ppm 9종의 aldehydes 0.278ppm, 4종의 alcohols 0.025ppm, 2종의 esters 2.328ppm, 7종의 acids 0.545ppm, 4종의 ketones 0.037ppm 및 9종의 sulfur containing compounds 0.117ppm의 총 46종의 성분을 확인하였다. 동결 건조한 두메부추 잎에서는 8종의 hydrocarbons 1.357ppm 5종의 aldehydes 0.498ppm, 3종의 alcohols 0.094ppm, 5종의 esters 0.720ppm, 2종의 acids 0.069ppm 3종의 ketones 0.163ppm 및 4종의 sulfur containing compounds 0.039ppm을 포함하여 총 30종의 향기성분이 확인되었다. 전자코의 분석 결과, 제1주성분 값의 기여율이 0.987을 나타내어 제1주성분이 두메부추와 부추를 총괄하는 정보로 사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신선한 두메부추는 제1주성분 값이 0.5부근에 집중된 분포를 보이고, 신선한 부추는 -0.5부근에 분포되어 있어 신선한 두메부추와 신선한 부추의 휘발성 향기성분 패턴이 다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동결 건조된 시료의 경우, 두메부추는 제1주성분 값 0을 중심으로 -쪽에 분포되어 있고, 부추는 +부근에 분포되어 있어 동결 건조된 시료의 휘발성 향기성분 패턴도 차이가 있었다.

  • PDF

수출입 식물검역업체 근로자의 공기 중 Methyl Bromide 노출에 관한 연구 (Workers' Exposure to Airborne Methyl Bromide in the Exporting/Importing Plants and Products Quarantine Company)

  • 이현석;신용철
    • 한국산업보건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32-40
    • /
    • 2008
  • Methyl bromide has been used as a representative fumigant for quarantine, and several poisoning cases have occurred recently by this chemical in Kore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workers' exposures to airborne methyl bromide in the importing and exporting plant products quarantine companies. Air samples were collected 400/200 mg Anasorb 747TM and were analyzed by gas chromatograph /flame ionization detector according to the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gency (OSHA) Method PV2040. Geometric mean (GM) and arithmetic mean (AM) of total 27 workers' exposure concentrations to airborne methyl bromide were 1.12 ppm and 0.24 ppm, respectively. Two exposures(12.1 ppm and 12 ppm as 8hr-TWA) of total 27 workers' exposures exceeded the Korean standard (5 ppm) of Ministry Labor, while 4 exposures (15%) exceeded the Threshold Limit Value (TLV) (1 ppm) of American Conference of Governmental Industrial Hygienists (ACGIH). Seven samples (11%) of total 63 short-term air samples exceeded the OSHA Permissible Exposure Limit (PEL) 20 ppm (Ceiling). The opening (management) task in wood fumigation by tent showed the highest short-term exposure concentrations (AM: 18.6 ppm, GM: 0.58 ppm, maximum: 340.7 ppm). The maximum level in treatment task of the same process was 2.01 ppm. Methyl bromide concentrations in opening operation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in treatment operation (p<0.05). In conclusion, the GM of workers' 8hr-TWA exposures to airborne methyl chloride in the importing/exporting plant quarantine industry was estimated below the ACGIH TLV (1 ppm). However, opening task in the fumigation of wood being covered with tent or fumigation of pant products in container showed the levels exceeding ACGIH TLV (1 ppm), and opening task in the fumigation of wood being covered with tent showed the level exceeding the Korean standard of Ministry of Labor (5 ppm).

에스렐과 TIBA 처리가 검정콩의 수량 및 수량구성요소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Ethrel and TIBA on Yield and Yield Components of Soybean)

  • 김익제;손석용;이재웅;유인모;이철희;김태수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6권6호
    • /
    • pp.483-487
    • /
    • 2001
  • 검정콩의 2립과 3립협의 비율 및 결협율 향상에 의한 수량 증대를 위하여 TIBA 및 Ethrel 의 적정 처리시기 및 농도를 구명하기 위한 시험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TIBA 처리에서 공협과 1립협의 비율을 낮추고, 2립과 3립협의 비율을 높이기 위한 가장 효과적인 처리시기는 V6이었고, 처리농도는 50 ppm이었다. 2. 에스렐 처리에서 공협과 1립협의 비율을 낮추고, 2립과 3립협의 비율을 높이기 위한 가장 효과적인 처리시기는 V6이었고, 처리농도는 500 ppm이었다. 3. TIBA처리에서 결협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처리방법은 처리기에 관계없이 50 ppm처리에서 가장 효과적이었고, V6 및 V8에 150 ppm처리에서는 오히려 낮아졌다. 4. 에스렐 처리에서 무처리에 비하여 결협율이 향상된 처리는 없었고, 처리간에는 처리시기가 빠르고 처리농도가 낮아짐에 따라 높아지는 경향이었다. 5. TIBA처리에서 수량은 공협 및 1립협 비율의 감소, 2립협 및 3립협의 증가 및 결협율의 향상에 의하여 처리시기에 관계없이 처리농도 50 ppm에서 증대되었다. 6. 에스렐 처리에서 수량은 결협율의 감소에도 불구하고 공협 및 1립협 비율의 감소와 2립협 및 3립협의 증가에 의하여 처리시기에 관계없이 처리농도 500 ppm에서 높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