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1,3-Butadiene

검색결과 173건 처리시간 0.027초

1,3-부타디엔 호흡기 노출의 생체지표 대사물질에 대한 연구 (A study on biomarker for biomonitoring of 1,3-butadiene inhalation exposure)

  • 이진헌
    • 한국산업보건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70-78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appropriate metabolite as biomarker for the biomonitoring of 1,3-butadiene(BD) inhalation exposure. We measured the hemoglobin adducts which were extracted from the blood of the ICR mice inhalation exposure with 100ppm and 500ppm 1,3-butadiene for 2 weeks(5 hr/day ${\times}$ 5 days/week). Hemoglobin adducts were the (N-2-hydroxy-3 -butenyl) valine (HB Val) and (N-2,3,4-trihydroxy-butyl)valine (THB Val). Body weights of the exposure groups were significantly lower from 11 exposure post-day in 100ppm BD inhalation mice and from 7 exposure post-day in 500ppm BD inhalation mice than in control. The levels of HB Val are 0.8~1.7pmol/mg globin for 100ppm BD inhalation exposure, and 2.1~4.4 pmol/mg globin for 500ppm BD inhalation exposure. The levels of THB Val are 15.0~22.0 pmol/mg globin in 100ppm BD inhalation exposure, and 34.8~45.7 pmol/mg globin for 500ppm BD inhalation exposure. So the levels of THB Val and HB Val are proportional relationship with BD exposure level. THB Val is 12.9~18.8 times higher level that HB Val in 100ppm BD exposure group and 10.4~16.6 times higher level than HB Val in 500ppm BD exposure group. We concluded that THB Val is an appropriate metabolite as biomarker for the biomonitoring for BD inhalation exposure.

마찰 저감을 위한 비극성 첨가제에 따른 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계 플라스틱의 stick-slip 이음 저감 연구 (Study on the reduction of stick-slip noise in 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based plastics using non-polar additives to reduce friction)

  • 여상준;정예원;최성욱;김효준;박건욱;손민영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43권1호
    • /
    • pp.49-59
    • /
    • 2024
  • 최근 환경규제가 강화되고 고유가 문제로 인하여 전기차 시장이 점차 커지고 있으며 또한 내연기관 자동차에서도 엔진의 Noise, Vibration, Harshness(NVH) 관련 소음이 저감되고 외부에서 유입되는 소음의 차폐 기술이 발전됨에 따라 Buzz, Squeak, Rattle(BSR) 이음의 민감도가 증가하는 추세이다. 본 연구에서는 자동차의 Panoramic Curved Display(PCD)에서 발생하는 Stick-slip 이음과 고분자 플라스틱의 표면에너지 및 극성 성분과의 상관관계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극성 고분자 소재인 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ABS)와 PolyCarbonate-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PC-ABS)를 대상으로 컴파운드 소재를 제작하여 평가하였다. 결과적으로 고분자 플라스틱의 극성성분이 3.86 mN/m 이상일 때 Stick-slip 거동이 발생하였으며, 시간에 따른 마찰 거동에서 absolute transition slope가 증가할수록 Stick-slip의 이음 가능성이 증가하고 마찰계수의 값 차이가 클수록 Stick-slip 이음의 세기가 증가하였다.

1-Chlorobutadiene-Butadiene Copolymer의 수가교반응(水架橋反應)에 관한 연구(硏究)(II) (A Study on Curing Reaction of 1-Chlorobutadiene-Butadiene Copolymer by Moisture)

  • 유종선;백남철
    • Elastomers and Composites
    • /
    • 제22권4호
    • /
    • pp.305-313
    • /
    • 1987
  • In this study, as one of the developing ways of the functional elastomer, improvement of the functionality of 1-Chlorobutadiene-Butadiene Copolymer(CB-BR) was attempt through curing reaction by moisture. The curing reaction of CB-BR was determined an use of $\gamma$-Aminopropyltriethoxysilane(APS) and $\gamma$-Aminopropylmethyldiethoxysilane(ADS) as a crosslinking agent with filler at so the uncrosslinked elastomer was exposured in the air and curing reaction by moisture in the air was studied. The results obtained are as follows. 1. APS was more efficient than ADS as a crosslinking agent for CB-BR 2. Optimum amount of APS for moisture cured elastomer was r=1.5(at the ratio of $[APS]/[Cl^*]$) also in case(r=1.5), elastomer formed after soaking $T_{72}$ had similar physical properties with elastomer crosslinked by sulfur and it was very good. 3. Uncrosslinked elastomer(CB-BR+APS+Silica) was easily crosslinked by exposure to the air, and the physical properties was also satisfactory.

  • PDF

1,1-Dimethyl-2,5-bis(trimethylsilyl)-3,4-diphenyl-1-silacyclopenta-2,4-diene의 합성 (Synthesis of 1,1-Dimethyl-2,5-bis(trimethylsilyl)-3,4-diphenyl-1-silacyclopenta-2,4-diene)

  • 공영건;주완철
    • 대한화학회지
    • /
    • 제30권6호
    • /
    • pp.521-525
    • /
    • 1986
  • Phenyltrimethylsilylacetylene과 리듐의 반응으로 부터 1,4-bis(trimethylsilyl)-2,3-diphenyl-1,4-butadene dianion이 형성되었다. 이 반응생성물과 dichlorodimethylsilane을 반응시키면 1,1-dimethyl-2,5-bis(trimethylsilyl)-3,4-diphenyl-1-silacyclopenta-2,4-diene이 얻어졌다. 이와 함께 분리된 1,4-bis(trimethylsilyl)-2,3-diphenyl-1,3-butadiene은 알칼리 매질에서 가수분해되어 생성된 화합물로 보인다.

  • PDF

다양한 유기계 지지체와 광촉매 Nano-ZnO 복합체를 활용한 1,1,2-trichloroethylene 제거 효율 평가 (Evaluation of 1,1,2-trichloroethylene Removal Efficiency Using Composites of Nano-ZnO Photocatalyst and Various Organic Supports)

  • 장대규;안호상;김정연;안창혁;이새로미;김종규;주진철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6권11호
    • /
    • pp.771-780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광촉매 nano-ZnO 분말을 수질정화에 사용 후 회수 공정을 생략하기 위해 지지체에 고정화/안정화 시 발생하는 효율 저하를 유기오염물의 수착(sorption)으로 극복하고 복합체로부터 nano-ZnO의 탈리(detachment) 현상을 방지 하고자 실리콘(silicone), ABS (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에폭시(epoxy), 부타디엔 고무(butadiene rubber)를 선정하여 nano-ZnO/Organic composites (NZOCs)를 제조하였다. 또한, 개발된 다양한 NZOCs의 수중 안정성을 규명 하고, 지하수 내 대표적인 난분해성 유기오염물인 1,1,2-trichloroethylene (TCE)를 대상으로 액상에서 제거 실험을 통해 NZOCs의 활용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내수성실험을 통해 개발된 NZOCs는 수질정화 용도로 장기간 사용이 타당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FE-SEM, EDX, imaging 분석을 통해 Nano-ZnO/Butadiene rubber Composite (NZBC)는 다양한 공극과 균열에 nano-ZnO 분말이 비교적 균질하게 부착된 반면, Nano-ZnO/Silicone Composite (NZSC), Nano-ZnO/ABS Composite (NZAC), Nano-ZnO/Epoxy Composite (NZEC)는 표면에 공극과 균열이 발달되지 않아 불균질한 부착이 이뤄졌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NZBC는 초기농도 대비 60%의 TCE 수착 능을 보였는데 이는 다른 유기계 지지체와 달리 비결정성 고분자이며, TCE 분자의 소수성 분배가 활발히 발생하였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액상에서 TCE의 제거효율(수착+광분해)은 NZBC가 99% 제거 효율로 가장 우수했으며, 복합체 주입량이 증가할수록 TCE 제거효율이 크게 증가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butadiene rubber의 우수한 수착능과 nano-ZnO의 광촉매 기작이 동시에 발생하였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마지막으로 액상에서 TCE 제거는 선형모델을 활용해서 비교적 잘 모사할 수 있었으며($R^2{\geq}0.936$), NZBC의 총 반응상수($K_{app}$)는 UV에 의한 TCE 분해상수($K_{photolysis}$) 대비 2.64~3.85배로 높은 값으로 확인되어 butadiene rubber가 TCE 수착 효율이 우수하며, 광분해 기작을 억제하지 않는 지지체로 활용 가능한 것으로 판단하였다.

1,4-Bis(silyl)benzene의 고리화반응에 의한 1,4-Bis(1'-alkyl-2',3',4',5'-tetraphenyl-1'-silacyclopentadienyl)benzenes 리간드의 합성 (Synthesis of 1,4-Bis(1'-alkyl-2',3',4',5'-tetraphenyl-1'-silacyclopentadienyl)benzenes)

  • 공영건;안영만
    • 대한화학회지
    • /
    • 제41권2호
    • /
    • pp.82-87
    • /
    • 1997
  • 다양한 bis(silacyclopentadienyl)aromatic 화합물 합성에 필요한 전구체인 1,4-bis(alkyldichlorosilyl)benzene을 합성하였다. 이 전구체에 1,4-dilithio-1,2,3,4-tetraphenyl-1,3-butadiene을 첨가하여 고리화반응을 시킴으로써 리간드로 또는 안정한 silacyclopentadienyl anion 전구체로 사용될 1,4-bis(1'-alkyl-2',3',4',5'-tetraphenyl-1'-silacyclopentadienyl)benzene을 합성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