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1,2-IND

검색결과 471건 처리시간 0.022초

반구형 LPCVD 다결정 실리콘 박막의 구조 및 특성 (Structure and Properties of Hemispherical Grain LPCVD Polycrystalline Silicon Films)

  • 박영진;전하응;이승석;이석희;우상호;김종철;박헌섭;천희곤;오계환
    • 한국재료학회지
    • /
    • 제1권2호
    • /
    • pp.77-85
    • /
    • 1991
  • LPCVD(Low Pressure Chemical Vapor Deposition) System을 이용하여 여러가지 증착 변수에 따른 실리콘 박막의 표면형상에 대해 고찰하였다. 중착압력, 중착온도, 반응기체의 유속에 따라 증착층의 표면형상이 큰 변화를 나타냈으며, 증착압력과 반응기체의 유속이 증가할수록 유효면적이 최대가 되는 증착온도가 증가하였다. 이러한 실험결과는 안정한 핵의 생성률이 최대가 될때 유효표면적이 최대가 된다는 가정으로부터 유도된 식과 일치하는 결과를 나타냈다.

  • PDF

중세고지독어 강변화동사의 유추동화 고찰 (Eine Untersuchung zum analogischen Ausgleich der starken Verben im Mittelhochdeutschen)

  • 정정권
    • 한국독어학회지:독어학
    • /
    • 제9집
    • /
    • pp.23-44
    • /
    • 2004
  • Das Forschungsziel dieser Untersuchung ist es, den linguistischen Begriff der Analogie zu definieren, und die auftretenden analogischen Ausgleichsprozesse vom Mittelhochdeutschen zum Neuhochdeutschen und auch im Neuhochdeutschen selbst insbesondere im System der starken Verben vorzuzeigen und zu $erkl\"{a}ren$. Und diese Forschungsergebnisse sind wie folgt. $Au{\ss}er$ dem Phonemwandel, der immer das Phonemsystem tangiert, gibt es M$Lautver\"{a}nderungen$, die auf assoziativer Ubertragung von Lautungen aus konkurrierenden sprachlichen Formen beruhen, die sog. Analogiebildungen. $N\"{a}mlich$ in der sprachlichen Entwicklung vom Mittelhochdeutschen zum Neuhochdeutschen zeigt sich eine sehr starke innere Tendenz der Sprache, diese durch $gesetzm\"{a}{\ss}igen$ Lautwandel entstandene Formenvielfalt innerhalb eines Paradigmas zu vereinheitlichen. Das $hei{\ss}t$; Analogischer Ausgleich ist als universaller sprachlicher Simplifizierungsprozess zu werten. Diese sprachlichen Ausgleichsprozesse werden als analogischer Ausgleich bzw. paradigmatischer Ausgleich bezeichnet. $Gem\"{a}{\ss}$ der Klassifikation von Frey teile ich auch analogischen Ausgleich Bereichen ein: a) im Stammsilbenvokalismus b) im Stammsilbenkonsonantismus c) in den Konjugationsendungen. (equation omitted) (c) Analogischer AusgIeich der Konjugationsendungen: Die Endung der 1. Pers. P1. $Pr\"{a}s$. Ind. im Althochdeutschen, -ames wird durch die Endung der 1. Pers. P1. $Pr\"{a}s$. Konj., -em ersetzt. $fr\"{h}ahd$. wir nem-ames > ahd. wir nem-em > mhd. wir nem-en > nhd. wir nehm-en Die Endung der 3. Pers. P1. $Pr\"{a}s$. Ind. im Mittelhochdeutschen, -ent wird durch die Endung der 1. Pers. P1. $Pr\"{a}s$. Ind., -en ersetzt. ahd. sie nem-ant > fruhmhd. sie nem-ent > mhd. sie nem-en > nhd. sie nehm-en Als Markierung der 2. Pers. Sg. war -st urprunglich nur in der 2. Pers. Sg. $Pr\"{a}s$. Ind. vorhanden: ahd. nim-ist > mhd. nim-est > nhd. nimm-st Von hier aus breitet es sich aus in die 2. Pers. Sg. Pras. Konj. ahd. nem-es > mhd. nem-est > nhd. nehm-est Vom $Pr\"{a}s$. Ind/Konj. breitet sich -st in das $Pr\"{a}t$. Ind. aus; ahd. nam-i > fruhmhd. naem-e > mhd. naem-est > nhd nahm-st Und $schlie{\ss}lich$ greift es vom $Pr\"{a}t$. Ind. auch auf den Konj. $\"{u}ber$. ahd. nam-is > mhd. nem-est > nhd. $n\"{a}hm-st$

  • PDF

우리나라 3개 하구역 대형저서동물 군집 시공간 분포 (Spatio-temporal Distribution of Macrozoobenthos in the Three Estuaries of South Korea)

  • 임현식;이진영;이정호;신현출;류종성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24권1호
    • /
    • pp.106-127
    • /
    • 2019
  • 국가해양생태계종합조사의 일환으로 우리나라의 주요 하천인 한강, 금강, 낙동강 하구역에 서식하는 저서동물 군집 특성을 파악하였다. 현장조사는 2015년부터 2017년에 걸쳐 매 계절별(겨울: 2월, 봄: 5-6월, 여름: 7-9월, 가을: 11월)로 수행하였다. 시료채집은 한강 하구역에 7개, 금강 하구역에 6개, 낙동강 하구역에 7개의 정점을 설정하여 총 20개의 정점에서 수행되었다. 대형저서동물 채집은 van Veen grab(채집면적 $0.1m^2$)을 사용하여 각 정점 당 3회씩 반복채집 후 1 mm 망목의 표준체를 이용하여 펄을 제거하였다. 조사결과 총 1,008종의 저서동물이 출현하였으며 한강 하구역에서 602종, 금강 하구역에서 612종, 낙동강 하구역에서 619종이 출현하여 유사한 양상을 보였다. 평균 밀도는 $1,357ind./m^2$로서 한강 하구역에서 $1,127ind./m^2$, 금강 하구역에서 $1,357ind./m^2$ 및 낙동강 하구역에서 $1,587ind./m^2$으로 한강 하구역이 가장 낮고 낙동강 하구역이 가장 높았다. 평균 생체량은 $116.8g/m^2$으로 한강 하구역에서 $49.0g/m^2$, 금강 하구역에서 $129.0g/m^2$ 및 낙동강 하구역에서 $174.2g/m^2$이 출현하여 밀도와 유사한 양상을 보였다. 한강과 금강, 낙동강 하구역 모두 환형동물이 출현종수와 밀도에서 우점 분류군이었다. 한강과 금강 하구역에서는 연체동물이, 낙동강 하구역에서는 극피동물이 생체량 우점 분류군이었다. 각 하구역에서 4% 이상의 밀도 점유율을 보이는 우점종은 모두 다모류로서 한강 하구역의 경우 Dispio oculata와 Heteromastus filiformis, Aonides oxycephala였으며, 금강 하구역에서는 Heteromastus filiformis와 Scoletoma longifolia, 낙동강 하구역에서는 Pseudopolydora sp.와 Aphelochaeta sp.였다. 이러한 우점종들은 하구역에 따라 출현밀도의 차이가 있었다. 본 연구 결과 한강 하구역에서는 평균 입도, 금강 하구역에서는 염분 및 실트함량, 낙동강 하구역에서는 염분, 용존산소, 강열감량, 실트 함량이 군집 조성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따라서 한강 하구역의 경우 퇴적환경 변화를 초래하는 요인들(골재채취, 제방축조, 매립 등)에 대한 관리가 우선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되며, 금강 하구역에서는 금강으로부터의 담수유입 및 주변 퇴적 환경에 변화를 줄 수 있는 요인들에 대한 관리가 우선시 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낙동강 하구역의 경우 마산만 내측의 빈산소수괴 발달 양상과 주요 우점종의 공간분포에 대한 모니터링을 중점적으로 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종이에 부착된 테이프를 박리하는 동시에 지문을 현출하는 이중목적시약(dual-purpose)에 관한 연구 (Dual-purpose Reagent for Separating Paper with Tape and Developing Fingerprints on the Paper Simultaneously)

  • 서윤희;김연지;신민섭;유제설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1호
    • /
    • pp.463-471
    • /
    • 2019
  • 테이프는 납치, 강도, 폭탄제조 등 강력범죄에 사용되며, 테이프 접착면에는 지문, DNA 등 수사에 필요한 증거가 남아있을 수 있다. 이러한 증거를 수집하기 위해서는 테이프 접착면을 박리하는 과정이 선행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테이프가 다공성표면에 부착되어 있는 경우에 한 가지 시약을 사용하여 테이프를 손상없이 박리하면서 동시에 다공성표면에서 지문을 현출할 수 있는 새로운 조성의 이중목적시약을 탐색하였다. 실험 결과, 새로운 조성의 1,2-IND 농축용액과 HFE-7100의 비율이 1:2인 조성의 시약이 A4 용지에 테이프가 부착되어 있는 경우 테이프 접착면에 손상이 가지 않으면서, 박리한 종이에 열을 가하여 바로 지문을 현출할 수 있었다. 따라서 테이프가 다공성 표면에 부착되어 있는 경우에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새로운 조성의 1,2-IND(HFE-7100 기반, 1:2)를 사용할 것을 권장한다.

인공땀으로 출력한 인공지문의 균질성 평가 (Evaluation of the consistency and homogeneity of artificial latent fingerprint printed with artificial sweat)

  • 홍인기;홍성욱
    • 분석과학
    • /
    • 제28권1호
    • /
    • pp.26-32
    • /
    • 2015
  • 육안검사, 지문융선의 특징점 비교 및 자동지문식별시스템의 특징점 검색기능을 이용해 잉크젯 프린터로 인공잠재지문을 반복적으로 출력해도 인공잠재지문이 균질하고 일관성 있게 출력된다는 것을 입증하였다. 표준잠재지문 출력용 master fingerprint pattern은 살아있는 사람의 지문을 종이에 찍은 후 이를 스캐너로 스캔하여 만들었고 Adobe Photoshop CS 5의 output level 조절기능을 이용해 이 master fingerprint pattern의 세기를 조절하였다. 인공 표준잠재지문은 master fingerprint pattern을 인공땀으로 채운 잉크젯 프린터 카트리지로 출력하는 방법으로 만들었다. 인공땀으로 출력한 표준잠재지문은 ninhydrin과 1,2-Indandion(1,2-IND)/$ZnCl_2$로 처리하여 현출하였다. 두 시약으로 현출한 지문을 육안으로 검사한 결과 잉크를 묻혀 찍은 원지문에 있는 특징들이 표준잠재지문에서도 동일하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인공땀을 이용하여 표준잠재지문 100점을 출력한 후 이 중 50점은 ninhydrin으로, 나머지 50점은 1,2-IND/$ZnCl_2$로 처리하여 현출한 후 AFIS의 연산기능을 이용해 특징점을 검색한 결과 ninhydrin으로 현출한 지문은 $52.4{\pm}2.4$개(range = 48~56), 1,2-IND/$ZnCl_2$로 처리한 지문은 $50.2{\pm}1.9$개(range = 47~53)의 특징점이 검색되었다. 이처럼 표준편차가 적게 나타난 점으로 보아 인공적으로 만든 표준잠재지문은 반복적으로 균질하게 출력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동해 후포주변 사질조하대에 서식하는 대형저서동물군집의 분포특성 (Distribution Patterns of Sandy Bottom Macrobenthic Community on the Hupo Coastal Area, in the East Sea of Korea)

  • 백상규;강래선;전재옥;이재학;윤성규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29권2호
    • /
    • pp.123-134
    • /
    • 2007
  • Distribution patterns of sandy bottom macrobenthic communities were studied around the Hupo coastal area. The seasonal surveys were conducted at 15 chosen sites within a depth range of 10 to 50 m along 10 km of the coastline using a Smith-McIntyre grab $(0.05\;m^2)$ in 2005. Overall depth distribution following the direction of the offshore become deeper parallel to the coastline. A total of 319 macrobenthic species were sampled with a mean density of $1,972\;ind./m^2$, and mean biomass was 82.5 wet-weight $g/m^2$. The major individual-dominant species were three polychaetes Spiophanes bombyx ($436\;ind./m^2$), Scoletoma longifolia ($250\;ind./m^2$) and Magelona japonica ($170\;ind./m^2$), and bivalve Adontorhina subquadrata ($73\;ind./m^2$). Cluster analysis and non-metric multidimensional scaling (nMDS) analysis based on Bray-Curtis similarity identified 2 major station groups which corresponded to macrobenthic faunal assemblages and their characteristic species. In addition, environmental condition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station groups. Group I contained mostly 20 and 50 m deep sites and was associated with sandy mud. Group I was characterized by high abundance of S. bombyx, S. longifolia, A. subquadrata. It was divided into two sub-groups (I-I and I-II) in relation to depth. Sub-group I-I was associated with deeper sites than sub-group I-II. Group II included mostly inshore area shallower than 15 m and was associated with coarse and medium sand. Group II was characterized by Lumbrinerides hayashii and Urothoe grimaldii japonica.

효소분해와 HPLC를 이용한 황산콘드로이틴나트륨의 정량 (Determination of Sodium Chondroitin Sulfate by Enzymatic Digestion and HPLC)

  • 강성호;신훈;장순기;윤형중
    • 분석과학
    • /
    • 제7권2호
    • /
    • pp.245-251
    • /
    • 1994
  • 혼합물 중에서 미량 존재하는 황산콘드로이틴나트륨을 정량하기 위하여, Chondroitinase ABC를 사용하여 효소반응을 시킨 후 얻어지는 ${\Delta}Di-6S$(2-acetamido-2-deoxy-3-0-(${\beta}$-D-gluluco-4-enepyranosyluronic acid)-6-0-sulf-D-galactose)를 지표성분을 설정하여 고성능 액체크로마토그래피(HPLC)를 이용하는 방법을 확립하였다. 23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고, 검출한계는 $1{\mu}g/ml$였다. 본 분석법을 재제에 적용하였을 때 캅셀제는 $100.01{\pm}1.58%$, 점안제는 $99.89{\pm}1.80%$로 재현성이 있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 PDF

신발제조업체에서 사용되는 접착제에 관한 연구 (Study on Bond Used in Shoes Manufacturing Industry)

  • 박대희;문덕환;이채언
    • 한국산업보건학회지
    • /
    • 제1권2호
    • /
    • pp.200-213
    • /
    • 1991
  • ln order to acquire the fundamental data for the organic solvents in bond and to contribute the health improvement of workers in deprtment of organic solvents in shoes manufacturing industries. The authors surveyed the contents of organic solvent in adhesive and determined the amount of volatilization of organic solvent by time and temperature with gaschromatography from March to September 1990.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kinds for organic solvents in bond were 9 that was Toluene, C-Hexane, N-Hexane, C-Hexanon, Aceton, Methyl Ethyl Keton, Dimethyl Formamide, Etyly Acetate. 2) Toluene and Methyl Ethyl Keton among the organic solvents in adhesive were over 80.18%. 3) The amount of volatilization of Methyl Cyclohexanone and Aceton by time and temperature were the most level than other compounds.

  • PDF

수도증열기간중 Sink충전의 경시적 변화와 그 품종간 차이 (Varietal Difference in Changing Aspect of Daily Sink Filling During the Grain Filling Period in the Rice Plants)

  • 최해춘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43-48
    • /
    • 1986
  • 벼 등숙기관중 종실발달 및 일당 sink 수요용량의 경시적 변화의 품종간 차이를 파악하고 등숙성기의 최대 sink수요용량과 일사 energy이용효율로부터 확정된 이론적 물질생산한계식를 비교 검토해 봄으로써 벼 다수성육종을 위한 효율적인 지침을 얻고자 ja-ponica단간수중형인 수원 29005와 ind./jap. 단간수중형인 수원26004 및 IR1317-70-1을 공시하여 본 실험을 실시했는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수당개화소요일수와 일별개화영화수의 빈도분포에 있어서 품종간 차이는 거의 인정할 수 없었으나 japonica품종쪽이 초기개화영화수의 빈도가 약관 높은 경향이었다. 2. 벼 한 알의 생리적 등숙소요일수는 ind./jap.인 수원 26004와 IR 1317-70-1은 각각 강ㆍ약세영화 공히 15일과 18일이었으나 japonica인 수원 295 호는 강 및 약세영화가 각각 21일 및 24일로 현저한 품종간 차이를 보였다. ind./jap. 품종도 급속종실발달기에는 약세영화가 강세영화에 비해 종실발달정도가 현저히 떨어지는 경향이었다. 종실수분함량에서도 ind./jap. 품종들이 japonica보다 일찍 급격한 감소현상을 보였다. 3. 등숙기간동말 일별 수당 sink수요용량의 경시적 변화를 수당개화영화수의 빈도분포와 등숙시기별 종실건중증가곡선에 의해 일별 수당건물축적수요용량으로 계산하여 나타내 본 결과 ind./jap. 품종이 japonica에 비해 현저히 첨예한 포물곡선을 나타내어 ind./jap. 품종쪽이 더욱 등숙성기에 source의 부족 및 sink간 양분경합의 심화를 초래할 가능성이 높다. 일당 최대 sink수요용량을 보인 시기는 최초개화일로부터 10∼12일째였으며 이 때의 1 일간 수당sink수요량은 IR1317-70-1, 수원26004 및 수원29005가 각각 약 240mg, 165mg 및 145mg이었다. 4. 수원29005의 등숙기간중 일별 수당 sink 수요용량의 경시적 변화를 온실과 포장재배조건에서 비교해 본 결과 포장쪽이 다소 첨예한 포물곡선을 그리면서 일당 최대 sink수요용량을 보인 시기도 2~3 일정도 빨랐다.

  • PDF

N-아실 카르복시산계 계면활성제에 관한 연구;N-아실 아미도에틸 N-아미도 카르복시산 유도체의 합성 (Studies on the Surfactants of the N-Acyl Carboxylic Acid;Synthesis of N-Acyl Amidoethyl N-Amido Carboxylic Acid Derivatives)

  • 박선영;김상춘;정노희;남기대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41-50
    • /
    • 1995
  • 2염기성 산의 모노메틸에스테르류와 에틸렌디아민을 반응시켜 얻은 아미도아민 유도체류를 고급지방산 염화물로 아실화하여 N-아실 아미도에틸 N-아미도카르복시산 유도체 9종을 합성하였다. 카르복시기와 디아미드기 그리고 소수성의 긴 알칼사슬을 갖는 모든 반응생성물들은 얇은 막 크로마토그래피와 컬럼크로마토그래피로 분리 ${\cdot}$ 정제하였다. 합성 수율은 $74{\sim}87%$였으며 그들의 구조를 FT-IR, $^1H-NMR$, 그리고 원소 분석으로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