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1,2-Dimethylhydrazine

검색결과 42건 처리시간 0.018초

쥐에서 식이에 첨가한 n-3 PUFA함량에 따라 대장 암화과정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ifferent Amount of Dietary n-3 PUFA on Colon Carcinogenesis in DMH-treated Rats)

  • 박현서;곽혜경;김민석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38권10호
    • /
    • pp.807-816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Sprague Dawley종 수컷 쥐에서 DHM로 대장암을 유발시킨 후 식이에 첨가한 n-3 RUFA 함량에 따라 대장의 암화과정에 어떤영향을 미치는지 생화학적인 기전을 검토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식이에 n-3 RUFA를 6.2 mmole 첨가하여 먹인 경우에는 COX-2의 mRNA와 단백질의 발현 및 TBX2와 PGE2 합성이 유의하게 감소 되었으며, 이에 따라 세포증식도 억제되었다. 그러나 n-3 RUFA를 12.4 mmole 첨가한 식이로 사육한 경우에는 오히려 COX-2의 mRNA와 단백질의 발현 및 $TXB_2$$PGE_2$ 합성이 대조군 보다도 더 많이 증가되었고 세포증식도 대조군과 같은 수준으로 증가하여 암화과정을 촉진하였다. 2) 식이에 n-3 PUFA를 6.2 mmole 첨가한 경우 대장 점막의 인지질의 지방산조성중 arachidonic 함량은 유의하게 낮았고, EPA와 DHA 함량은 유의하게 높았으며 n-3 PUFA를 12.4 mmole 첨가한 경우에는 EPA와 DHA 함량은 2배 이상 유의하게 더 높았다. 3) 대장 상피세포의 apoptosis는 식이에 n-3 PUFA를 첨가한 함량과는 관계없이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약 34$\sim$$42\%$ 증가하였다. 4) 식이에 n-3 PUFA를 6.2 mmole 첨가하였을 때 Bax의 mRNA와 단백질 발현은 각각 유의하게 증가되었으나 n-3 PUFA를 12.4mmole 첨가한 경우에는 유의하게 감소되었다. 반면에Bcl-2의 mRNA와 단백질 발현은 n-3 PUFA 6.2 mmole 첨가한 경우에는 오히려 증가하였다. 총괄해서 본 연구결과에 의하면 항암효과가 있가도 알려진 n-3 PUFA는 식이에 첨가한 함량에 따라 암화과정에 미치는 효과가 다르게 나타났다, 그러므로 앞으로 대장의 암화과정을 억제시키는 n-3 PUFA의 적절량 또는 섭취의 한계치를 정하는 연구가 필요하다고 본다.

오만둥이(Styela plicata)의 항유전독성 및 대장암 억제효과에 관한 연구 (Antigenotoxic and Anticarcinogenic Effects of Styela plicata)

  • 서보영;김정미;이승철;박은주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8권7호
    • /
    • pp.839-845
    • /
    • 2009
  • 오만둥이는 우리나라의 전통적인 수산식품으로써 찜 또는 찌개류로 조리하여 널리 이용하여 왔다. 본 연구에서는 오만둥이의 기능성 소재로서의 기능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오만둥이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및 항유전독성 활성을 in vitro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또한 대장암에 대한 예방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DMH로 대장암을 유발한 SD 쥐를 이용하여 오만둥이를 경구투여한 후 DNA 손상 및 ACF 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그 결과 총항산화능은 모든 추출물에서 대조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동결건조 한 추출물에서는 메탄올, 에탄올(0.225, 0.219 mM) > 물(0.179 mM) > 아세톤(0.150 mM) 순으로 나타났으며, 신선한 오만둥이에서는 메탄올 추출물(0.215 mM)이 가장 높은 항산화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Comet assay에서는 모든 추출물이 $H_2O_2$에 의한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항한 DNA 손상억제력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동결건조 한 오만둥이에서 메탄올 추출물의 억제력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백혈구의 DNA 손상정도는 대조군에 비해 DMH 투여군에서 유의적으로 손상정도가 증가한 반면, DMH+S. placata군에서는 DMH를 주입한 군에 비하여 손상정도가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또한 ACF의 생성수치가 DMH군에 비하여 DMH+S. placata군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 볼 때 오만둥이는 in vitro 뿐만 아니라 대장암을 유발한 쥐에서도 항산화 및 항암효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오만둥이가 대장암을 예방하기 위한 기능성식품 소재로서 가능성을 보여 주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