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01A72

검색결과 1,184건 처리시간 0.028초

노인의 고관절 ROM에 관한 연구 (A Study on Hip Joint ROM of the Elderly)

  • 엄기매;양윤권;장수경
    • 대한물리치료과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67-75
    • /
    • 200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know the average of hip joint range of motion and difference according to the aging for the elderly. This study consisted of elder male(n=75) and elder female(n=109). The result of assessment and analysis in hip pint range of motion are as follows : 1) The average hip flexion(knee flexed) joint range of motion in 60-69(from sixty to sixty-nine)years old are $104.26^{\circ}$(Left-Male), $101.00^{\circ}$(Right-Male), $107.05^{\circ}$(Left-Female), $107.05^{\circ}$(Right-Female). 70-79years old are $104.59^{\circ}$(L-M), $102.05^{\circ}$(R-M), $105.73^{\circ}$(L-F), $108.75^{\circ}$(R-F). 80-89years old are $101.53^{\circ}$(L-M), $101.13^{\circ}$(R-M), $96.83^{\circ}$(L-F), $97.67^{\circ}$(R-F).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hip flexion(knee flexed) among female group(p<.01). The average hip flexion(knee extended) joint range of motion in 60-69(from sixty to sixty-nine)years old are $73.13^{\circ}$(Left-Male), $72.04^{\circ}$(Right-Male), $77.29^{\circ}$(Left-Female), $75.97^{\circ}$(Right-Female). 70-79years old are $74.95^{\circ}$(L-M), $72.19^{\circ}$(R-M), $76.73^{\circ}$(L-F), $76.65^{\circ}$(R-F). 80-89years old are $70.83^{\circ}$(L-M), $70.37^{\circ}$(R-M), $69.00^{\circ}$(L-F), $69.00^{\circ}$(R-F).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left hip flexion(knee extended) among female group(p<.05). 2) The average hip extension joint range of motion in 60-69years old are $13.09^{\circ}$(L-M), $12.78^{\circ}$(R-M), $10.97^{\circ}$(L-F), $10.68^{\circ}$(R-F). 70-79years old are $8.95^{\circ}$(L-M), $8.48^{\circ}$(R-M), $11.24^{\circ}$(L-F), $10.90^{\circ}$(R-F). 80-89 years old are $8.40^{\circ}$(L-M), $8.23^{\circ}$(R-M), $7.33^{\circ}$(L-F), $7.33^{\circ}$(R-F).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left(p<.01) and right(p<.05) hip extension among male group(p<.05). 3) The average hip abduction joint range of motion in 60-69 years old are $33.04^{\circ}$(L-M), $33.17^{\circ}$(R-M), $33.16^{\circ}$(L-F), $33.37^{\circ}$(R-F). 70-79 years old are $31.00^{\circ}$(L-M), $30.05^{\circ}$(R-M), $32.44^{\circ}$(L-F), $32.68^{\circ}$(R-F). 80-89 years old are $29.07^{\circ}$(L-M), $27.90^{\circ}$(R-M), $28.17^{\circ}$(L-F), $28.67^{\circ}$(R-F).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group. 4) The average hip adduction pint range, of motion in 60-69years old are $29.57^{\circ}$(L-M), $29.35^{\circ}$(R-M), $31.87^{\circ}$(L-F), $31.89^{\circ}$(R-F). 70-79, years old are $27.41^{\circ}$(L-M), 27.00(R-M) $30.85^{\circ}$(L-F), $31.28^{\circ}$(R-F). 80-89 years old are $26.87^{\circ}$(L-M), $26.63^{\circ}$(R-M), $24.67^{\circ}$(L-F), $24.83^{\circ}$(R-F).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hip abduction among female group(p<01). 5) The average hip external rotation pint range of motion in 60-69years old are $32.26^{\circ}$(L-M), $31.17^{\circ}$(R-M), $33.53^{\circ}$(L-F), $34.42^{\circ}$(R-F). 70-79 years old are $31.64^{\circ}$(L-M), $28.62^{\circ}$(R-M) $31.29^{\circ}$(L-F), $31.45^{\circ}$(R-F). 80-89 years old are $26.40^{\circ}$(L-M), $26.07^{\circ}$(R-M), $24.77^{\circ}$(L-F), $24.27^{\circ}$(R-F).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left(male, female p<.01) and right(female p<.0l) hip external rotation among group. 6) The average hip internal rotation joint range of motion in 60-69years old are $30.30^{\circ}$(L-M), $28.13^{\circ}$(R-M), $34.27^{\circ}$(L-F), $36.03^{\circ}$(R-F). 70-79years old are $31.24^{\circ}$(L-M), $29.57^{\circ}$(R-M), $28.51^{\circ}$(L-F), $29.10^{\circ}$(R-F). 80-89 years old are $24.63^{\circ}$(L-M), $24.40^{\circ}$(R-M), $24.27^{\circ}$(L-F), $24.27^{\circ}$(R-F).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left(male p<.05, female p<.01) and right(female p<.01) hip internal rotation among group.

  • PDF

골밀도 상태에 따른 검사자의 재현성 평가 (The Precision Test Based on States of Bone Mineral Density)

  • 유재숙;김은혜;김호성;신상기;조시만
    • 핵의학기술
    • /
    • 제13권1호
    • /
    • pp.67-72
    • /
    • 2009
  • ISCD (International Society for Clinical Densitometry)에서는 골밀도 검사자의 전문성을 키우고자 검사자의 재현성 시험을 필수 자격조건으로 요구하고 있다. 하지만, 재현성 시험의 대상자 선정에 대한 권고안이 불확실하여 골밀도 상태에 따른 그룹별 재현성을 시험해 골밀도 차이가 재현성 시험에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았다. 2008년 1월부터 6월까지 본원에 내원한 300명(57.8세$\pm$9.02)의 여성 골밀도 수검자를 두 그룹으로 나누어 4명의 검사자가 재현성을 시험하였다. A그룹의 120명은 4명(a,b,c,d)의 검사자가 골밀도 상태와 관계없이 동일한 방법으로 요추부와 대퇴부를 30명씩 두 번 측정하였고 나머지는 B그룹으로 두 명의 검사자가 골밀도 상태에 따라정상, 골다공증, 골감소증 군으로 분류하여 A그룹과 동일한 방법으로 재현성을 시험하였다. 사용된 장비는 GE Lunar Prodigy Advance (Vr11.4)이고, 수집된 자료는 ISCD에서 배포된 Precision Tool을 이용하여 각각의 변동계수율(%CV)를 알아보았으며 SPSS 14.0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A그룹의 %CV는 a, b,c, d 검사자가 각각 요추부 1.08, 0.83, 0.72, 1.37%, 대퇴부 1.08, 1.04, 1.4, 0.58 %로 산출되었고 동일 골밀도 상태의 요추와 대퇴부를 비교하면 재현성이 일관되지 않았다. B그룹에서는 a의 요추부 정상군 %CV가 1.26으로 가장 높았고 대퇴부는 0.94로 골다공증 군이 가장 높게 측정됐다. b는 요추부의 정상군 %CV가 0.97로 가장높았고 대퇴부는 1.04로 골다공증 군에서 가장 높았다. 요추부의 정상군과 대퇴부의 골다공증 군은 %CV가 가장 높게 나타나 골밀도 상태에 따른 재현성이 일관되지 않았다. 본원의 골밀도검사 재현성 시험은 골다공증 상태의 수검자를 제외한다. 그 이유는 ISCD의 대상자 선정이 불확실하고, 골밀도가 낮을수록 장비의 골 인식도가 떨어져 재현성 시험을 시행할 경우, 검사자의 수작업을 요하므로 좋은 재현성을 얻기 힘들기 때문이다. 하지만 재현성 결과값은 LSC (Least Significant Change)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장비, 검사자, 수검자에서 발생할 수 있는 모든 오차를 반영해야 한다. 실험결과는 골밀도 상태가 재현성에 영향을 주지 않았으며, 따라서 정상, 골감소, 골다공증의 구별 없이 대상자의 선정 폭을 넓혀 대상에 구애 받지 않고 보다 정확한 의미의 재현성 시험을 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심뇌혈관질환 고위험군 대상 교육프로그램의 효과: 경로당노인의 심근경색과 뇌졸중에 대한 경고증상 인지도 (Effects of an Educational Program for the High Risk Group of Cardio-cerebrovascular Disease: Awareness of the Warning Signs and Symptoms of Acute Myocardial Infarction and Stroke in the Aged at Senior Centers)

  • 송정국;박형근;홍성철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40권3호
    • /
    • pp.126-136
    • /
    • 2015
  • 본 연구는 급성 심근경색과 뇌졸중의 고위험군인 노인들을 위하여 마련된 일개 권역심뇌혈관질환센터의 경로당노인 교육프로그램이 급성 심근경색과 뇌졸중 경고증상에 대한 지식수준을 높이는 데에 효과가 있었는지 교육프로그램 수행 1년이 경과시점에서 평가하였다. 2012년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의 11개 경로당에서 337명을 편의표집 하였는데, 과거 2010년 해당 경로당에서 진행된 교육프로그램에 참여했었던 159명은 실험군으로 하였고, 교육에 참여하지 않은 178명은 대조군으로 하였다. 경고증상을 정확히 알고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두 가지 질환 각각 3개 문항씩 총 6문항에 대하여 질환 별 증상이 맞는다고 생각하는지를 폐쇄형 질문으로 물어 명목형(정확한 인지 여부)으로 구분하였으며 빈도(백분율)로 나타내었다. 참여군과 비참여군 간에 경고증상에 대한 지식수준은 유의한 차이를 나타나지 않았고, 급성 심근경색과 뇌졸중 경고증상에 대한 지식이 최고 수준인 것(우수 인지수준, 경고증상 여섯 개 모두를 정확히 인지)과 경로당노인 교육프로그램 참여여부가 관련이 없는 것으로 나타나 교육 효과는 확인할 수 없었다. 다만 우수 인지수준이 될 오즈값은 교육수준이 초등학교 졸업 이상일 경우 초등학교 미졸업(무학 및 서당)에 대해서 3.01배 높았고(3.01; 1.72-5.26), 매일 빠지지 않고 TV뉴스를 시청할 경우 6일 이하로 시청하는 것에 대해서 2.97배 높게 나타났으며(2.97; 1.68-5.23), 이들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참여군에서 교육 참여 이후 높아진 지식수준이 교육 후 1년 시점까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 없이 유지되었던 것과 비참여군에서 지식수준이 참여군 만큼 높은 수준이었던 것은 교육참여와 상관없는 어떠한 교육중재적 요인을 공유하고 있음을 시사하였다. 결론적으로 심뇌혈관질환의 고위험군인 노인을 표적 선택하여 실시하는 일회적 지역사회 방문교육 대신 대중매체를 활용한 반복적 지식 전달이 효과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일회적 지역사회 방문교육의 효과는 지역사회 노인 전체를 대상으로 하는 대중매체 보건교육 캠페인이 잇달아 수반되어야만 그 효과를 장기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젖소폐기물에서 생산된 Algae Meal의 화학적조성 및 사료적가치 (Chemical Composition and Nutritional Value of Algae Meal Produced from Dairy Cow Wastes as a Feedstuff)

  • 김용국;은정식;김상덕
    • 유기물자원화
    • /
    • 제6권1호
    • /
    • pp.75-85
    • /
    • 1998
  • 젖소폐기물(분뇨)에서 algae meal(cell)을 생산하여 사료로의 재활용 하기 위하여 야생에서 선별한 2종의 algae, ulothrix와 chlorella을 배양하여 algae meal을 생산하였다. 생산된 aigae meal의 일반성분, 투기물, 아미노산 조성 및 지방의 지방산조성을 분석하였으며 in vitro 건물 및 조단백질 소화율 측정하고 어패류에 대한 성장효과 및 안정성을 2종 간을 비교 분석하였다. Algae meal(ulothrix 및 chlorella)의 일반성분 중 건물기준 조단백질 함량은 29.03% 및 29.24%로 유사하였으나 다른 성분 특히 NDF 함량(20.76% 및 5.92%), 조회분 함량(28.99% 및 32.86%) 및 Ca 함량(6.09% 및 12.62%)은 algae종 간에 상당한 유의차를 나타냈다(P<.01). Algae meal의 필수아미노산 조성에서 ulothrix가 valine, isoleucine 및 phenylalanine 등의 함량이 chlorella에서 보다 높게 나타났고 isoleucin, glycine 및 proline 함량은 chlorella (1.46%, 9.79% 및 8.25%)에서 ulothrix (1.16%, 144% 및 1.03%)에서 보다 매우 높게 나타났다(P<.01). Algae meal지방의 포화지방산 조성은 C16:0 및 C18:0의 함량이 ulothrix(33.07% 및 20.70%)에서 chlorella (27.17% 및 7.03%)에서 보다 높았고(P<.01) 불포화 지방산 조성은 C18:1, C18:2 및 C18:3은 chlorella 함량(24.83%, 13.06% 및 5,76%)이 ulothrix 함량(4.69%, 0.03% 및 7.51%) 보다 매우 높았다(P<.01). Algae meal의 in vitro 반추위 및 전체 건물 소화율은 ulothrix(36.33% 및 69.43%)가 chlorella(42.57%및 72.83%)에서 높았다(P<.05) Algae meal의 어패류에 대한 성장효과 및 안정성 (증체율 및 생존율/8주)은 chlorella(178% 및 100%)가 ulothrix(1.59% 및 90%)나 대조구(158% 및 86.7%) 보다 높았으나 통계적 유의차는 나타나지 않았다(P>.05).

  • PDF

대사증후군을 가진 성인남녀의 영양소 섭취상태와 혈액성상에 관한 연구 (A Study on Nutrient Intakes and Blood Parameters of Adult Men and Women with Metabolic Syndrome)

  • 최미경;전예숙;배윤정;승정자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311-317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대사증후군의 예방과 관리를 위한 식사지침을 마련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일부 성인을 대상으로 NCEP-ATP Ⅲ와 WHO 아시아태평양 비만 기준에 의해 대사증후군 성인을 분류한 후 영양소섭취상태와 혈액성상을 살펴보았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대사증후군 대상자의 평균 연령, 신장, 체중 및 체질량지수는 각각 58.8세, 158.0 cm, 66.3 kg, $26.5\;kg/m^{2}$이었으며, 대조군은 각각 58.4세, 158.9 cm, 59.6 kg, $23.5\;kg/m^{2}$로 대사증후군 대상자의 체중과 체질량지수가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001, p<0.001). 총 식품섭취량은 대사증후군 대상자와 대조군이 각각 1063.8 g과 1183.4 g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각 식품군별 섭취량도 두 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남자 대상자의 경우 대사증후군 대상자의 버섯류 섭취는 대조군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반면(p<0.05), 난류 섭취량은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낮았다(p<0.01). 또한 여자 대상자의 경우 대사증후군 대상자의 채소류 섭취가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낮았다(p<0.05). 에너지 섭취량은 대사증후군 대상자가 1527.9 kcal, 대조군이 1578.9 kcal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그 밖의 영양소 섭취량도 두 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여자 대상자의 경우 대사증후군 대상자의 식이섬유 섭취량이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낮았다(p<0.05). 대사증후군 진단기준으로 사용한 혈청 HDL-콜레스테롤, 중성지질, 혈당 및 혈압은 대사증후군 대상자가 각각 39.9 mg/dL, 183.9 mg/dL, 126.6 mg/dL, 138.1/78.8 mmHg로 대조군의 45.8 mg/dL, 125.5 mg/dL, 93.6 mg/dL, 120.8/72.8 mmHg와 비교할 때 HDL-콜레스테롤은 유의하게 낮고 나머지는 유의하게 높았다(p<0.001, p<0.001, p<0.001, p< 0.001, p<0.001). 혈청 GPT, 동맥경화지수, 백혈구수는 대사증후군 대상자가 각각 27.8 IU/L, 3.7, $5964.2\;{\mu}/L$로 대조군의 22.6 IU/L, 3.2, $5250.0\;{\mu}/L$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01, p<0.001, p<0.01). 이상의 결과를 종합할 때 대사증후군의 여성 대상자의 경우 섬유소 및 채소류의 섭취가 정상 성인보다 낮게 나타나, 이들 식품 및 영양소의 섭취가 대사증후군의 증상에 도움이 될 수 있음이 제시되어 이러한 결과는 대사증후군의 예방과 관리를 위한 식사지침을 마련하기 위한 기초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대사증후군 대상자의 혈청 GPT와 동맥경화지수가 정상 성인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나, 본 연구를 기초로 하여 향후 염증과 군집으로서의 대사증후군과의 관계를 밝히는 연구를 수행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지속적인 청색증에 노출된 선천성 심장병에서 수술 후 Cardiac Troponin I의 농도 변화 (The Influence of the Preoperative Chronic Cyanosis on the Cardiac Troponin I in the Pediatric Cardiac Operation)

  • 송진영;이성규;이재영;김수진;심우섭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5권4호
    • /
    • pp.498-504
    • /
    • 2002
  • 목 적 : 오랫동안 청색증에 노출된 선천성 심장병인 경우 심근의 지속적인 저산소증은 수술 전후로 심근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되는데 최근 소아에서의 cardiac specific protein인 cTpn-I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여 조금이나마 예측이 가능하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청색증을 보이는 심장질환의 경우 수술 전후의 심근 손상과 수술 경과를 cTpn-I를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 법 : 2001년 3월 1일부터 2001년 6월 30일까지 부천세종병원 소아과에서 활로씨 4징 혹은 우심실 양대혈관 기시의 진단을 받고 흉부외과에서 완전교정술을 받은 25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대조군으로 같은 기간에 심실중격수술을 받은 10명의 환아들(D군)과 대상 환아들을 수술 전 산소 포화도에 따라 A군(>90%) B군(80-90%), 그리고 C군(<80%)으로 나누었다. 각 군별로 수술 전 혈색소, 수술 연령 및 체중과 수술 기록지를 통해 수술 중 경과를 고찰하였고 수술 후의 경과를 관찰함과 동시에 cTpn-I 및CK-MB의 혈중농도와 산소 포화도를 수술 전, 수술 후 24시간 그리고 수술 후 72시간째에 측정하였다. 결 과: 25명의 대상 환아들은 대조군인 A군이 6명, B군이 12명, C군이 7명 그리고 D군이 10명으로 구성되었다. 수술 전 혈색소의 농도는 A군이 $12.9{\pm}1.3g/dL$, B군 $13.8{\pm}1.8 g/dL$, C군은 $17.0{\pm}4.1 g/dL$ 그리고 D군은 $12.1{\pm}0.9 g/dL$로 각 군간의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나(P=0.01) 각 군간의 수술 나이와 수술 당시의 체중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수술 전 cTpn-I의 농도는 A군이 $0.23{\pm}0.12 ng/mL$, B군이 $0.25{\pm}0.12ng/mL$, C군이 $0.26{\pm}0.13ng/mL$ 그리고 D군이 $0.24{\pm}0.08ng/mL$로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으나 청색증이 심할수록 cTpn-I 농도가 높은 경향을 보였다. 대상군들의 수술 당시 CPB time과 ACC time 그리고 수술 후 인공호흡기 유지시간과 중환자실 입원기간은 대조군과는 큰 차이를 보였으나 대상군 사이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수술 후 24시간째의 cTpn-I 의 농도는 A, B, C, D 군이 각각 $10.04{\pm}5.28 ng/mL$, $12.50{\pm}6.86 ng/mL$, $12.55{\pm}9.90 ng/mL$, $3.35{\pm}2.93 ng/mL$ 대상군에서 대조군 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대상군내에서도 C군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수술 후 72시간째의 cTpn-I의 농도는 환자군인 A, B, C군에서 각각 $1.58{\pm}0.80 ng/mL$, $2.92{\pm}1.36 ng/mL$, $4.96{\pm}3.14ng/mL$로 대조군의 $0.83{\pm}0.58ng/mL$과 비교해도 유의하게 높았고 환자군 내에서도 수술 전 산소 포화도에 따라 의미 있는 차이가 있었다(P=0.000). 또한 수술 후 72시간째의 cTpn-I의 농도는 수술 후 24시간째의 그것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P=0.001). 수술전이나 수술 후 24시간, 72시간째의 CK-MB 농도는 각 군간에 유의한 차이를 발견할 수 없었다. 결 론: 수술 전의 지속적인 청색증은 수술 후의 cTpn-I의 농도를 높일 수 있으며 특히 수술 후 72시간째의 농도가 높아짐으로 수술 후 심근 회복에 영향을 끼칠 수 있다.

우리나라 치과기공소의 연도별 증가율 및 분포현황 조사 연구 - 1990년부터 2002년까지 - (A Study on the yearly Increase ratio and The Distribution ratio of Dental Laboratories in Korea - From 1990 to 2002 -)

  • 권순석
    • 대한치과기공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143-159
    • /
    • 2003
  • In this study, the data and the Statistical Annual Report of the Korean Dental Technology Association and the yearbook of Health-Welfare Ministry from 1990 to 2002 were surveyed to study and analyze the yearly increase rate and regional distribution rate of the national dental laboratories and dental clinics, the rate of dental laboratories to dental clinics. The purpose of the thesis is to help dental technicians to open the rational and effective dental laboratory which considers the regional condition and the distribution of dental clinics. The result of the study is as follows; 1) The yearly increase rate of overall dental laboratories is 2.01 times to 2002 by the criteria of 1990. The most laboratories was increased in 1995(+94) but the least laboratories was increased in 2000(+13). According to the regional increase rate, Kyounggi Association showed the highest increase rate (7.00 times) but Woolsan Association showed the least increase rate (1.45 times) for the past 5 years. Busan Association had increased by 1.47 times by the criteria of 1990. 2) According to the regional distribution rate of dental laboratories, Seoul area showed the highest distribution rate from the minimum 26.72%(in 2002) to the maximum 35.23%(in 1990) every year, and before 1993, Busan area showed the high distribution rate of 12.49% and Daegu area 12.38%. 3) In the case of the national increase rate, dental clinics had increased by 2.01 times to 2001 by the criteria of 1990 and dental laboratories, whose number was 1,482 in 2002, had increased by 2.01 times to that year. The rate of the national dental laboratories to dental clinics went up an average of 1: 7.57 for 12 years. In 1994, the rate showed the highest 1:7.91 and in 1990, the rate showed the least 1:7.17. 4) The metropolitan rate of dental laboratories to dental clinics showed the average of 1:6.70 for 12 years, and the rate was highest in 1992(1:7.15) and the rate lowest in 1999(1:6.33). 5) The rate of dental laboratories to dental clinics in other areas was 1:9.53, the average of 12 years and was highest in 1991(1:9.97) and was lowest in 1990(1:8.79). (6) The rate of the Korean dental laboratories to dental clinics was 1:7.37 in 2001, the metropolitan rate was 1:6.53 and the rate in other areas was 1:9.10. According to the regional distribution rate, the rate of Kyounggi was highest (1:15.58) and the rate of Daegu was lowest(1:3.03).

  • PDF

이온화 방사선 및 염화수은(II)에 의한 자궁경부암 세포의 DNA 손상 평가 (Evaluation of DNA Damage by Mercury Chloride (II) and Ionizing Radiation in HeLa Cells)

  • 우현정;김지향;안토니나 체불스카바실레프스카;김진규
    • 환경생물
    • /
    • 제24권1호
    • /
    • pp.46-52
    • /
    • 2006
  • 세포에 미치는 염화수은(II)과 이온화 방사선의 영향과 수은 처리 전 후 방사선 조사 시 그 상호 작용에 관해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염화수은(II)의 독성정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사람의 자궁암 세포에 농도별로 염화수은(II)을 처리하였다. 세포의 생존율은 3가지 농도(1,0. 1,0. $0.01\;{\mu}M$)모두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이미 $0.1\;{\mu}M$에서 약 73%의 생존율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염화수은(II)과 방사선의 단독처리 시 DNA의 손상 정도에 비해 복합처리 시의 DNA손상 정도가 $2\sim4$배 정도 확연히 높아짐을 볼 수 있었다. 특히 방사선 후 수은 처리군은 DNA손상의 정도가 다른 처리군에 비하여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이미 기존의 보문에서 밝혀진 바와 같이 수은의 DNA수복에 관련되어 있는 Fpg protein에 미치는 영향 때문으로 사료된다. 이미 방사선에 의해 산화적 손상을 입은 DNA의 수복 기작을 수은이 방해하여 좀 더 높은 손상을 가져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Incentive Spirometer를 사용한 심호흡 방법이 폐환기 기능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연구 -상복부 수술 환자를 대상으로- (A Study on the Effect which the Method of Deep Breathing with the Use of Incentive Spirometer has on the function of pulmonary Ventilation - In Upper Abdominal Operation Patients -)

  • 김종혜;변영순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268-280
    • /
    • 1991
  • The nursing intervention for the prevention of the pulmonary complication and of the function lowering of pulmonary ventilation which emerge with high generation frequency during the nursing of operation patient is necessary for performing the qualitative nursing for operation patient. So, this researcher tried this study so as to obtain the data which can be utilized for the trial of nursing intervention, by grasping the effect that the deep breathing with Incentive Spirometer has on the function of pulmonary ventilation, analysing the factor to have influence on the function of pulmonary ventilation, and applying the effective method of deep breathing to the clinic. By making 42 patients who underwent the operation of upper abdomen after admitting G Hospital in Seoul from Mar. 7, 1991 to Apr.30, 1991 as the object, they were classified into the experiment group that the deep breathing was made with the use of Incentive Spiromenter and the comparison group that the deep breathing exercise was made without the use of Incentive Spirometer. And then, by measuring Tidal Volume and Forced Vital Capacity with Respirometer and $O_2$ Saturation with Pulse Oximeter at preoperation postoperation 24 hours, 72 hours, and 120 hours data were collecte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of, average, standard deviation, x$^2$-test, t-test and ANOVA by SPSS.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 1. As for the hypothesis that the function of pulmonary ventilation at postoperation 24 hours, 72 hours and 120 hours will be better in the experiment group that the deep breathing was made with the use of Incentive Spirometer, in comparison with the comparison group that deep breathing was made without the use of Incentive Spirometer, experiment group and comparison group didn't show the significant difference in Tidal Volume, Foreced Vital Capacity and $O_2$ Saturation at postoperation 24 hours and 72 hours. But experiment group and comparison group showed the significant difference in Tidal Volume at postoperation 120 hours (p<0.01). So, this hypothesis was supported partially. 2. The variables that there were the significant differences about the function of pulmonary ventilation in experiment group at postoperation 24 hours stastically were smoking existence (p<0.05), and the variables that there were not significant differences about the function of pulmonary ventilation were distinction of sex, age, anesthetic duration, smoking extent, body weight, surface area of body, existence of narcotic use, regular exercise existence, and past experience existence of respiratory disease. As above result, it appeared that the method of deep breathing with the use of the Incentive Spirometer is more effective for the function recovery of pulmonary ventilation, in comparison with the deep breathing without use of Incentive Spirometer and that smoking existence was the factor to have influence on the function of pulmonary ventilation. In the aspect of clinic, the trial of nursing intervention of deep breathing with use of Incentive Spirometer is expected. And, in the aspect of study, the study through various operative site patients about the effect of Incentive Spirometer use at the clinic will have to be confirmed.

  • PDF

$PEO-SO_3$를 이용한 항석회화 조직첨포의 개발 (I) - 잡견을 이용한 대동맥과 폐동맥 이식 실험연구 - (Development of Calcification-Resistant Bovine Pericardium with $PEO-SO_3$ (I) - An implantation study of bovine pericardium at aorta and pulmonary artery in canine model -)

  • 김형묵;백만종;선경;김광택;이인성;김학제;이원규;박기동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1권10호
    • /
    • pp.919-923
    • /
    • 1998
  • 연구배경: 인체에 이식된 동종 혹은 이종조직은 궁극적으로 석회화 변성이 일어난다. 저자들은 독자적인 항석회화 처리법을 이용해 석회화에 내구성을 가진 심혈관용 조직첨포를 개발하였다. 재료 및 방법:도축장에서 채취한 신선한 소의 심막을 Hank 용액에 담아 실험실로 이송하였다. 불필요한 부분을 절제해 낸 심낭조직을 0.65% glutaraldehyde 용액(4$^{\circ}C$)에 1주일 동안 저장한 다음 phophate-buffered saline 용액(pH 7.4)로 세척하였다. 이후 2.5% 술폰산화 폴리에틸렌옥사이드(PEO-SO3) 용액으로 실온에서 2일 동안 처리한 다음 4$^{\circ}C$ NaBH4용액으로 16시간 동안 환원시켰다. 실험은 글루타르알데하이드 용액으로만 처리한 심막첨포와 항석회화 처리된 심막첨포를 각각 대조군(GA군, n=4)과 실험군(PEO-SO3군, n=4)으로 나누어 혈관벽에 이식하여 석회화 변성 정도를 비교하였다. 실험모델은 성견의 폐동맥과 대동맥 벽의 일부를 절제한 후 심막첨포로 재건하는 방법을 이용하였고, 수술 후 평균 1개월 째에 이식된 첨포를 적출하여 조직병리 변화와 칼슘 및 인 함량을 측정하였다. 결과: 실험군이 대조군에 비해 조직 위축 변성, 칼슘(폐동맥; 1.55$\pm$0.29 vs. 6.72$\pm$0.70 mg/g, 대동맥; 7.10$\pm$1.05 vs. 13.81$\pm$2.33 mg/g) 및 인의 침착량 (폐동맥; 2.58$\pm$0.40 vs. 12.60$\pm$3.40 mg/g, 대동맥; 8.11$\pm$1.07 mg/g vs. 19.33$\pm$4.31 mg/g)이 현저하게 적었다 (P<0.01). 결론:이상의 결과에서 PEO-SO$_3$로 처리한 조직첨포는, 비록 단기관찰 결과이지만, 충분한 석회화 내성을 보이며 이 조직첨포의 장기적인 안정성과 적합성에 대해서는 계속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