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0.19 m/ka

검색결과 19건 처리시간 0.025초

BaTi0.5Co0.5Fe11O19 조성을 갖는 M형 바륨 페라이트의 Ka-밴드 전파흡수특성 (Microwave Absorbing Properties of M-type Barium Ferrites with BaTi0.5Co0.5Fe11O19 Composition in Ka-band Frequencies)

  • 김용진;김성수
    • 한국자기학회지
    • /
    • 제19권6호
    • /
    • pp.203-208
    • /
    • 2009
  • Ka 대역 (26.5~40 GHz)용 전파흡수체의 자성손실재로 Ti-Co가 치환된 M형 바륨 페라이트($BaTi_{0.5}Co_{0.5}Fe_{11}O_{19}$)를 제조하고, 페라이트-고무 복합체에서 자기적 성질 및 전파흡수특성에 관해 조사하였다. M형 바륨 페라이트에서 Ti-Co가 치환됨에 따라 보자력의 감소가 급격히 일어났다. 이는 c 축으로 강한 자기이방성을 갖던 M형 바륨 페라이트의 자기이방성이 a-b 면내 자기이방성으로 변화함에 기인한다. 이에 따라 자연공명주파수를 Ka 주파수 대역으로 이동시킬 수 있었고, 복소투자율의 주파수 분산특성의 제어가 가능하였다. Ti-Co가 치환된 M형 바륨 페라이트 복합체의 경우 Ka 대역에서 임피던스 정합조건을 만족시킬 수 있었다. 흡수대역폭 증가에 페라이트/고무 함량비(F/R)의 조절이 매우 중요함을 제시하였다. F/R = 4의 함량비에서 ?20㏈ 이하의 반사손실을 갖는 흡수대역폭이 7 GHz 정도로 매우 우수한 광대역 전파흡수특성을 보였다. F/R 비가 증가할수록 정합주파수 및 정합두께는 감소하였으나, 흡수대역폭은 줄어들었다.

대보-구룡포-감포 지역의 해안단구(II) (Marine Terrace of Daebo-Guryongpo-Gampo, SE Korea(II))

  • 최성자
    • 자원환경지질
    • /
    • 제37권2호
    • /
    • pp.245-253
    • /
    • 2004
  • 우리나라 남동해안의 대보-감포간 해안단구는 6개의 단구면으로 분류되며 이들은 각각 하위로부터 1단구(T1,0.5m), 2단구(T2, 10m), 3단구(T3, 30m), 4단구(T4, 40m), 5단구(T5, 60m), 6단구(T6, 75m)이다. 이가운데 3단구(T3)는 두개의 단구로 분류되며, 하위면을 T3b, 상위면을 T3a 정하였다. 3단구 하위면 (T3b)의 구정선을 보여주는 해식애의 발달이 뚜렷하지 않아 단구 세분이 어려운 곳은 통합하여 3단구(T3)로 정하였다. 단구형성시기를 직접적으로 지시해주는 화석은 없으나, 2단구의 퇴적층에서 OSL 연대 자료가 다량 도출되어 있으며, 이 자료를 통하여 단구 형성시기를 정할 수 있다. 2단구(T2) 퇴적층의 OSL 연대는 60-7Oka에 수렴하고 있어, 2단구의 형성시기는 MIS(산소동위원소에 의한 시대 분류)의 5a로. 추정할 수 있다. 따라서 3단구는 MIS 5e, 4단구는 MIS 7에 대비된다. 본 연구지역에서 MIS 5e인 3단구 상위면(T3a)은 현해수면으로부터 30m높게 융기되어 있으며, 따라서 이지역의 융기율은 약 0.19m/ka로 계산된다. 이와 같은 융기율은 국지적인 지구조운동에 기인한 것으로 해석되며, 이에 대한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

북한강 하안단구 퇴적층의 풍화 특성 (Weathering Properties in Deposits of Fluvial Terrace at Bukhan River, Central Korea)

  • 이광률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425-443
    • /
    • 2004
  • 한반도의 중부에 위치한 북한강에는 하안단구의 발달이 대체로 빈약하며, 하상비고 18-29m의 T1면과 하상비고 25-39m의 T2면이 분포한다. 하안단구 퇴적층의 적색화 지수는 T2면이 평균 0.65, T1면이 0.54이며, 역의 풍화각 두께는 T2면의 편마암이 14.0mm, 화강암은 $\infty$이고, T1면에서는 편마암이 5.0mm, 화강암은 8.0mm로 측정되어, 형성시기가 오래된 T2면 퇴적층이 T1면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강한 풍화작용을 받았다. 규반비(SiO$_2$/Al$_2$O$_3$)와 규철반비 (SiO$_2$/R$_2$O$_3$)는 T2면이 각각 3.32, 2.64, T1면이 각각 4.06, 3.19이고 CIA(Chemical Index of Alteration)는 T2면이 87.85%, T1면이 85.88%로서, 더 오래된 T2면에서 풍화작용이 더 활발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하안단구 T2면 퇴적층에서는 높은 풍화 정도를 의미하는 kaolinite와 halloysite가 발견되고, kaolinite의 용탈에 의해 형성되는 gibbsite도 확인되었다. 그러나 하안단구 T1면에서는 kaolinite가 발견되지 않으며, 풍화에 약한 사장석이 발견되기도 하였다. 하안단구의 하상비고, 퇴적층의 적색화 지수, 역의 풍화각 두께, 원소 함량 및 광물 조성을 토대로 할 때, 북한강 하안단구 T2면의 형성시기는 MIS 6시기(130-190ka), T1면의 형성시기는 MIS 4시기(59-74ka)일 가능성이 높다.

Regulation of Immediate Early Gene Expression by Glutamate Receptor Activation in C6 Rat Glioma Cells

  • Lee, Jin-Koo;Kim, Yung-Hi;Choi, Seong-Soo;Suh, Hong-Won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and Pharmacology
    • /
    • 제5권1호
    • /
    • pp.19-25
    • /
    • 2001
  • We have studied the effects of excitatory amino acids on the expression of the c-fos and c-jun mRNA in rat C6 glioma cells. The glutamate, $N-methyl-_D-aspartate$ (NMDA), and kainic acid (KA) increased c-fos mRNA level in a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However, they did not affect c-jun mRNA level. In addition, forskolin and phorbol 12-myristate 13-acetate (PMA) increased c-fos mRNA level. Furthermore, PMA increased c-jun mRNA level whereas forskolin downregulated c-jun mRNA level. The glutamate, NMDA and KA, at a concentration of 0.25 mM, did not affect the basal c-fos and c-jun mRNA levels, and also did not affect forskolin- and PMA-induced responses. Furthermore, both forskolin and PMA itself increased the phosphorylation of ERK (extracellular signal regulated kinase) and CREB (cyclicAMP responsible element binding protein) proteins. The KA, NMDA, and glutamate did not affect forskolin- induced increase of ERK and CREB phosphorylation. The KA decreased PMA-induced increase of phosphorylation of ERK and CREB proteins, whereas glutamate and NMDA did not affect the phosphorylation of ERK and CREB proteins induced by PMA. These findings suggest that, in C6 glioma cells, c-fos mRNA induction induced by EAAs is not mediated by phosphorylation of ERK and CREB proteins.

  • PDF

Breeding of New Productive Bivoltine Hybrid, CSR12 $\times$ CSR6 of Silkworm Bombyx mori L.

  • Datta, R.K.;Basavaraja, H.K.;Reddy, N.Mal;Kumar, S.Nirmal;Kumar, N.Suresh;Babu, M.Ramesh;Ahsan, M.M.;Jayaswal, K.P.
    •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Entomology and Biomaterials
    • /
    • 제3권2호
    • /
    • pp.127-133
    • /
    • 2001
  • With an objective of evolving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superior bivoltine breeds/hybrids of silkworm Bombyx mori L. for tropical conditions, breeding work was initiated in Central Sericultural Research and Training Institute, Mysore during 1992 by utilizing two Japanese hybrids namely BNl8$\times$BCS25 and Shunrei$\times$Shogetsu along with Indian evolved breed, KA. The breed CSR12 which is characterized with sex-limited larval marking and white oval cocoons was evolved from the Japanese hybrid BNl8 ${\times}$ BCS25 by crossing with KA, while the breed CSR6 which is characterized with normal marking (marked larvae) and white dumbbell cocoons was extracted from the Japanese commercial hybrid Shunrei${\times}$Shogetsu through continuous inbreeding coupled with selection. After fixation, these breeds along with other newly evolved breeds were subjected to hybrid study under optimum environmental conditions in the laboratory for expression of full potential of the genotypes. These hybrids were evaluated by Multiple Trait Evaluation Index (Mano et al., 1993). The hybrid CSR12${\times}$CSR6 was selected based multiple trait evaluation index value. The hybrid CSR12$\times$CSR6 recorded survival of 96.0%, shell weight of 50.0 cg, shell ratio of 24.3%, raw silk percentage of 19.6, filament length of 1,216 m, boil off loss of 22.4% and renditta of 5.1. On the other hand, the control hybrid (KA ${\times}$ NB4D2) has recorded survival of 90.6%, shell weight of 42.1 cg, shell ratio of 20.4%, raw silk percentage of 15.9, filament length of 999 m, boil off loss of 24.8% and renditta of 6.3. The hybrid CSR12$\times$CSR6 was authorized during 1997 by Central Silk Board, Government of India for commercial exploitation during favourable months based on national level race authorization test.

  • PDF

영암지역 육상 및 하천 골재의 퇴적 시기별 분포 특성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Land and River Aggregate Resources in Yeongam Area by Deposition Period)

  • 김진철;홍세선;이진영;김주용
    • 자원환경지질
    • /
    • 제57권2호
    • /
    • pp.243-251
    • /
    • 2024
  • 이번 연구에서는 전라남도 영암지역의 골재 자원조사를 위하여 먼저 지표지질조사를 실시하였고 지표지질조사로는 파악이 어려운 지표 하부에 대하여 시추조사를 실시하여 골재의 공간적인 분포를 파악하였다. 조사 지역의 지형 발달 및 제 4기 충적작용 특성들을 고려하여 시추지점을 선정하였고, 총 5 지점에서 하천 골재 시추조사와 총 28 지점에서 육상 골재 시추조사가 수행되었다. 시추코어 퇴적물은 골재로써의 활용 가능 여부를 파악하기 위하여 7개의 퇴적 단위로 분류하였으며, 대표 시추공을 대상으로 광여기루미네선스(OSL) 연대측정을 실시하여 퇴적 단위별 퇴적 시기를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 영암지역 대부분은 하천 유역이 매우 넓어서 골재가 다량 부존될 것으로 추정되었지만 골재 부존량은 다른 시군에 비하여 매우 적은 편으로 평가되었다. 영암 지역 대부분의 미고화 퇴적층은 10 m 이상의 수직적 두께를 보이는 청회색 해성 점토로 구성되는데, 골재 부존구간에 해당하는 모래질 자갈층은 해성 점토 하부의 기반암 풍화대 위를 얇게 덮으며 분포한다. 이는 골재 부존 구간의 부존량 자체가 적고 대부분의 골재 부존 구간이 현재 개발이 어려운 지표하부 10 m 아래 심도에 위치하기 때문에 골재 개발 가능성도 매우 낮은 것으로 평가된다. 연대측정 결과, 청회색 해성 점토층은 약 10 ka 전부터 해수면이 급상승하면서 형성된 조간대성 퇴적층으로 퇴적 작용은 현재까지 지속되었고 그 결과로 매우 두꺼운 점토층이 형성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점토층은 약 6~8 ka 동안 매우 우세하게 퇴적되었다. 골재 부존 가능 구간의 모래질 자갈층은 약 13.0~19.0 ka, 그리고 약 50 ka에 퇴적된 것으로 추정되어 해침과정 이전의 플라이스토세 고기 하성 퇴적층으로 해석된다.

Line X Tester Analysis for Economic Characters in the Bivoltine Silkworm, Bombyx mori L.

  • Naseema Begum;A.S.K. Bhargava;M.M. Ahsan;R.K. Datta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205-209
    • /
    • 1997
  • In a line X tester crossing programme (24 lines 2 testers) the general combining ability (GCA) and specific combining ability (SCA) effects were analyzed for five economic characters in the bivoltine silkworm, Bombyx mori L. The results showed desired GCA effects in 934D1 (9500), 934B (9789) and 934A1 (9855) for cocoon yield per 10,000 larvae brushed by number. Likewise, the lines found to be superior based on GCA effects for other characters were as follows; 931D (14.040 Kgs), 935E (17.023 Kga.), 934D1 (15.643 Kgs.) and 934B (15.687 Kgs.) for cocoon yield by weight: 931D (1.717 g) and 930E (1.796 g) for single cocoon weight; 932B (0.330 g) for single shell weight: 931D (1.717 g) and 930e (1.796 g) for single cocoon weight; 932B (0.330 g) for single shell weight; 932B (18.7%), 933A (18.86%) and 935A (19.89%) for shell ratio. SCA effects showed the superiority of 932D$\times$KA (9822 cocoon yield per 10,000 larvae brushed by number); 932A$\times$NB4D2 (16.933 Kgs. cocoon yield per 10,000 larvae brushed by weight); 931C$\times$KA (1.911 g single cocoon weight); 934$\times$NB4D2 (0.371 g single shell weight and 21.0% shell ratio). The analysis indicated non-additive gene action for all the five characters.

  • PDF

에코나졸 나이트레이트의 구조 (The Structure of Econazole Nitrate)

  • 서일환;조성일;박권일
    • 한국결정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14-18
    • /
    • 1990
  • Econazole nitrate, 1-{2-[(4-chlorophenyl)methoxy]-2-(2,4-dichlorophenyl) ethy1}-1H-imidazole mono-nitrate, C18 H16 CI13 N3 O4의 단위세포 상수는 a=19.337(4) A, b=15.191(5) A c=7.601(3)A, β=91.72(2)μ V=2000.0A3 Do=1.49g/ml Dm=1.47g/ml, M=4.31cm-1 F(000)=912.0, 2T=298K,공간군은 P2₁/C이고 단사 정계이며 Z=4이다. λ=(Mo-Ka)=0.7107 A을 사용한 1330개의 Intensity data에 대해 최종 R값은 0.06이다. Econazole nitrate의 각 세 ring은 각각 평면이며 B,A,C ring순서로 층계를 이루고 있다. 반면에 Econazole의 A와 C ring은 거의 같은 평면에 누워 있으나 B ring 은 거의 같은 평면이며 B,A,C ring순서로 층계를 이루고 있다.반면에 Econazole의 A와 C ring은 거의 같은 평면에 누워있으나 B ring과는 약 60˚의 평면각을 이루고 있다. Nitrate의 O(*3)와 Imidaze의 N(2) 사이의 수소결합은 Econazole slt의 안정화에 기여한다.

  • PDF

동해안 해성단구 분포, 형성시기 및 융기율 검토 (The Distribution, Ages and Uplift Ratio ofmarine Terraces in SE coast of Korea: Review)

  • 김주용;양동윤;김진관;이진영;김정찬;홍세선;오근창;최돈원
    • 한국제4기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27-40
    • /
    • 2005
  • 한반도에서의 해성단구 연구는 1980년대와 1990년대를 거쳐 2000년대에 진입하면서 동해안 전역에 걸친 고해수면 종단 및 횡단 분포도 작성, 해성단구 퇴적상 특성 해석, 해성단구 퇴적물의 OSL 연대 측정 및 융기율 산정 등 여러 부문에 걸쳐 빠르게 발전하여 왔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현재 해성단구 연구자들은 동일 고도에 분포하는 해성단구들이라도 항상 동일한 퇴적상이나 형성연대를 가지는 것은 아니라는 사실에 유의하고 있다. 해성단구 시스템은 낮은 고도로부터 1, 2, 3, 4, 5 단구시스템으로 구분되고 있으며, 단구시스템의 연대는 낮은 단구에서 높은 단구로 갈수록 일률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여준다. 해성단구 연구에 있어서 여전히 문제시되고 있는 것은 제2단구와 제3단구 시스템의 구분 및 이들의 형성시기에 관한 것이다. 논란의 핵심은 약 30~35m(~40m)에 분포하는 해성단구와 약 20m전후의 해성단구중 어느 것이 최종간빙기에 형성되었느냐에 관한 것이다. 동해안 단구분포와 형성시기에 기초한 지반 융기율은 전체적으로 볼 때 약 0.10~0.20m/ka로 추정된다.

  • PDF

인삼 1차 부산물의 생산량 및 기능성 성분 특성 (Yield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Ginseng's First Byproducts)

  • 김관후;성봉재;김선익;한승호;김현호;이가순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9권5호
    • /
    • pp.313-318
    • /
    • 2011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utilize the byproducts (flower, immature and mature berry, leaf and stem) of ginseng. Yield of byproducts were $32.7{\pm}9.8g$ in flower, $68.2{\pm}2.2g$ in immature berry, $48.5{\pm}4.3g$ in mature berry, $316.2{\pm}20.5g$ in leaf, and $296.6{\pm}15.4g$ in stem per $3.3m^2$ ($180{\times}90cm$, ginseng root $675.5{\pm}35.7g$/drybasis. The total saponin contents of ginseng byproducts and root are $52.36{\pm}1.24$, $68.71{\pm}1.98$, $168.89{\pm}0.57$, $68.26{\pm}1.32$, $7.85{\pm}0.61$ and $35.08{\pm}0.96$ mg/g, respectively. The main ginsenoside of all byproducts was Re and the highest content was $132.23{\pm}1.56$ mg/g in mature berry. But flower and berry was not detected Rf and Rh1, respectively. Total polyphenolic compound content on mature berry was the highest, $2.242{\pm}0.140%$, after, immature berry > leaf > flower > root > stem order. The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n mature berry was the highest, $0.115{\pm}0.004$ mg/mL($IC_{50}$), and the others were the same order of polyphenolic compound and ginsenoside content on byproduc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