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李圭景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2초

구천응원뇌성보화천존 신앙에 대한 한·중 제도권의 대응 - 『옥추경(玉樞經)』에 대한 인식을 중심으로 -

  • 박용철
    • 대순사상논총
    • /
    • 제21권
    • /
    • pp.285-322
    • /
    • 2013
  • 本论文是关于"九天应元雷声普化天尊"的信仰, 是亚洲特别是在韩国和中国所具有的地位, 是怎样演变过来的, 同时还要考察它所蕴含的意义。即是在不能清楚的理解对"九天应元雷声普化天尊"的基本信仰的状态下, 关于对大巡真理会的传统信仰"九天应元雷声普化天尊" 进行讨论时, 稍有不慎便有可能出现非合理性的矛盾理论。所以作为关于中国和韩国的『玉枢经』的混乱和误会的再声明, 历史的长流所带来的对『玉枢经』的误导, 通过容纳和批判一起作为对关于大巡真理会的"九天应元雷声普化天尊"信仰的神学的基础解说。中国元朝的时候道教是非常受敬重的, 然而在道教和佛教辩论时, 道教惨败之后(1256年, 1281年), 在道教的衰退期时, 因道人们的意愿, "九天应元雷声普化天尊"显现, 并且记录了天尊所说的话的『玉枢经』, 在明世宗(在位:1521-1566年)以后开始遭到士大夫和外面的百姓们的抨击。理由是明世宗热衷于研制"不死药", 而在政治上荒废朝政。还有从严蒿开始受到政治镇压的王世贞第一次对『玉枢经』作出了学者性的误导解说, 这使给受到明朝文化影响的朝鲜的士大夫, 传达了对『玉枢经』误导, 这也是成为传播到朝鲜重要证据。从朝鲜建国开始, 虽然当时儒教作为国家的统治理念, 但是作为消除国家灾难的神位, 在朝鲜初期时得到了很多优待的事实在许多文献里都有体现。这样一本记录了受到优待的"雷声普化天尊"教导的『玉枢经』, 因英祖的儿子思悼世子读过这本书之后便开始生病(1752-1762年), 作为世子不只是在政治上没有力量, 反而父亲英祖先被杀害。这样类似的事件使『玉枢经』从左序那里得出被驳倒的结果, 再进一步, 『玉枢经』在政治方面和学文方面同时受到世俗抨击。介于这样相同的中韩脉络对『玉枢经』的认识, "九天应元雷声普化天尊"作为道教的最高神位而从主流信仰里被排挤出来。和这一样历史的"九天应元雷声普化天尊", 关于世俗的隐退推移, 作为大巡真理会的最高神位重新登场的"九天应元雷声普化天尊"信仰是关系到大巡真理会的宗统并且是具有时代意义的谨慎的类比推论。

조선후기 유서류(類書類)에 나타난 민속종교 자료 (The Materials on Korean Folk Religions in the Encyclopedic Literatures of Late Joseon Dynasty)

  • 서영대
    • 역사민속학
    • /
    • 제33호
    • /
    • pp.31-72
    • /
    • 2010
  • 이 글은 조선후기의 대표적 유서인 이수광(李晬光)의 『지봉유설(芝峯類說)』·홍만선(洪萬選)의 『산림경제(山林經濟)』·이익(李瀷)의 『성호사설(星湖僿說)』·이규경(李圭景)의 『오주연문장전산고(五洲衍文長箋散稿)』에 수록된 민속종교 관련 자료들을 살펴본 것으로, 먼저 4종의 유서에서 민속종교 관련 항목들을 추출하여, 그 내용을 표로 제시하였다. 다음으로 이들 유서류에서 언급된 민속종교 관련 자료들의 성격과 내용을 살펴보았다. ① 이들 유서들은 전대의 것이 후대의 것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면서 많은 공통점을 가지게 되었지만, 한편으로는 저술 목적에 따라 차이가 있다. 즉 『지봉유설』·『성호사설』·『오주연문장전산고』는 백과전서식 저술답게 민속종교의 다양한 측면을 전하는데 비해 『산림경제(山林經濟)』는 실생활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와 그 해결이란 실천적 내용이 중심을 이루고 있다. ② 이들 유서는 민속종교를 부정적인 것으로 인식했다. 그것은 이들 유서가 기본적으로 유교적 관념에 기초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완전한 부정에는 이르지 못하고, 영험성의 일부를 인정하기도 했다. ③ 조선시대 민속종교의 신앙대상들, 즉 성황신·업신·질병신·금부대왕신(金傅大王神)·정득양(鄭得揚)·관왕신(關王神)·부근신(付根神) 등에 대한 유서류의 내용을 살펴보았다. ④ 이들 유서류들은 귀신에 대해서도 공통적으로 관심을 보였는데, 그들의 귀신론은 기본적으로 성리학에 기초한 것이면서도 그 영험성으로 말미암아 민속종교의 귀신론을 일부 수용하고 있다. ⑤ 이들 유서류에서는 공통적으로 점복에 대해 상당한 관심을 가지고 있다. 그렇지만 개인의 운명에 관한 점복은 부정적으로 인식했고, 농사의 풍흉점에 대해서는 긍정적으로 이해하려 했다. ⑥ 이들 유서류에는 저주와 벽사에 관한 항목들도 상당수 있어, 이를 살펴보았다. ⑦ 무격은 민속종교의 성직자로서 민속종교의 핵심에 서 있는 존재이기 때문에 이들 유서류에서 공통의 관심사가 되었다. 이들 유서에서 무격은 부정적으로 묘사되고 있지만, 그 영험성의 일부는 인정하고 있었다. 그렇다고 한다면 이들 유서류들은 비록 민속종교에 대해 부정적인 입장을 취하고 있고 잘못된 정보를 제공하기도 하지만, 조선후기 민속종교의 다양한 사실들을 전한다는 점에서 자료적 가치를 간과할 수 없다. 따라서 이들 유서류들은 향후 민속종교 연구에서 반드시 심도 있게 검토되어야 할 자료라 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