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희곡(戱曲)

Search Result 85,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A study on the method of teaching drama in elementary and upper grade textbooks (초등 고학년 교과서에 나타난 희곡교육 방법 연구)

  • Lee, cheol-woo
    • (The) Research of the performance art and culture
    • /
    • no.43
    • /
    • pp.203-228
    • /
    • 2021
  • This thesis examines the play education method shown in the elementary school textbook 'Enjoy Play'. If the educational methods of the curriculum other than plays were presented in the order of 'Understanding play - Appreciation of Works - Creation of Works', the method of drama education is presented sequentially in the order of 'Understanding play - Creation of Works - Appreciation of Works' in the order of 'Understanding play - Artwork - Appreciation' have. Even if such a curriculum considers the study linked to the subject of 'Plays', students may not feel the 'burden' of 'creation', and by simplifying the understanding of 'spoken language', it is rather the characteristic of 'Korean language'. It may also make it difficult for students to feel the attraction. In addition, empathy through the conflict situation of the play or comparison with the actual conflict is mainly presented through the translation of foreign works or the expression of a fairy tale and fantastic world that is far from reality, so the burden of inferring the right life problems can be confirmed. Theatrical expressions and plays and plays learned through textbooks are partially different depending on the educational goals to be achieved. The result of this study is that the course of textbooks for elementary and upper grades may correspond to the problem of expressing 'Plays', but it is regrettable in leading students to think about ways to solve life problems in detail through 'Plays'. It is also necessary to emphasize the importance of expression that makes students realize how to express themselves autonomously in the way of expressing their feelings, but on the other hand, on the other hand, it is necessary to share empathy with feelings first, understand these feelings, Therefore, it was suggested that training to infer expressions and emotions by learning individual expressions through methods of expressing emotions and a process of educating students to voluntarily accept shared emotions are also necessary. Sharing and expressing emotional emotions through 'play', and participation through cooperation and division of labor through the process of performing.

청소용 로봇의 현황과 미래

  • 박성일
    • Journal of the KSME
    • /
    • v.44 no.4
    • /
    • pp.53-58
    • /
    • 2004
  • 로봇의 백과사전적 의미를 보면, 사람의 손발과 같은 동작을 하는 기계라고 되어 있다 로봇이라는 말은 체코어의 '일한다(robota)'라는 뜻으로, 1920년에 체코의 작가 K. 차페크가 희곡 (로섬의 인조인간 : Rossum's Universal Robots)을 발표한 이래로 쓰이게 되었다.(중략)

  • PDF

김욱동 지음 "탈춤의 미학"을 읽고

  • Im, Jae-Hae
    • The Korean Publising Journal, Monthly
    • /
    • s.153
    • /
    • pp.14-14
    • /
    • 1994
  • 오류 하나는 탈춤이 전승되고 연행하는 현장을 보지 않고 채록된 보고서만 텍스트로 삼아서 탈춤의 미학을 밝히겠다는 것이다. 그것은 마치 연극은 보지 않고 희곡만 봐야 연극미학을 제대로 연구할 수 있다는 것이나 다름없다. 오류 둘은 현장론이 무엇인지도 모른 채 다만 현장답사가 곧 현장론이라는 인식의 착각이다.

  • PDF

A Study of Clothing Imagery Emerging from Shakespeare's Plays II -Focusing on MAcbeth, 1996 RSC production- (Shakespeare 희곡작품에 나타난 복식 이미저리 연구 II -1996년 RSC 공연의 Macbeth를 중심으로-)

  • Bae, Soo-Jeou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 /
    • v.33
    • /
    • pp.143-156
    • /
    • 1997
  • 와관과 실체의 갈등은 문학작품의 주제 중에서 가장 보편적이면서도 복잡한 양상을 지니고 있다 희곡 Macbeth에 있어서 이주제는 Shakespeare의 어느 작품에서보다도 핵심적인 역할을 하며 특히 외관과 실체의 주제를 시각적으로 보여주는 복식이미저리는 그의 주제를 상징적으로 나타내는 데 효과적일 뿐만 아니라 극적 분위기 창조 및 무대사에서배우들의 의상변화로 인한 시각적이미저리 효과를 극대화 시키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Macbeth에 내재된 복식 이미저리를 고찰하고 이를 가장 최근에 공연된 macbeth의 무대의상에 적용 분석함으로써 무대의상 제작시 복식 이미저리의 효과적인 무대적용 여부를 파악하는 것이다.연구의 방법은 먼저 이론적인 배경으로 희곡 Macbeth의 본문을 분석하여 복식이미지저리와 관계된느 대사 및 지문 등을 추출한 다음이를 하나의 케이스 연구대상으로 선정된 1996 RSC극단 공연의 Macbeth 무대의상에 적용하여 분석 고찰 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자신의 실체를 파악하지 못한 인물이나 혼동하는 인물은 자신의 신분에 맞지 않은 남의 의상을 적응기간조차 없이 착용함으로써 결국은 자신을 파멸로 몰고가는 복식 이미저리가 제시되어 있었다 둘째 자신의 실체를 분명히 지각하고 있는 인물들은 새로운 복식이나 신분에의 적응은 많은 시간과 노력을 요한다는 것을 매우 잘 파악하고 있었으며 이것은 그들의 대사 중에 구체적으로 제시되어있었다 1막1장의 Banquo 의 대사 중에 나오는'새로운복식'과 '새로운 신분'에 비유 2막 4장의 macduff의 대사중에 나오는 '새로브'와 '헌로브'의 비유 5막 2장의 Caithness의 '자제력의혁대'등의 비유는 복식이미저리의 구체적인 표현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복식 이미저리의 측면에 1996 RSC의 Macbeth 무대의상을 분한 결과 이의상들에는 '난쟁이가 훔쳐 입은 거인의 옷' 으로 대표되는 복식 이미저리가 직접적으로 제시되지는 않았지만 공연전체를 통하여 무대장치 및 의상에 변화를 주지 않음으로써 이 작품의 초시한성과 복식이미저리를 오히려 역설적으로 표현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따라서 이공연의 의상 계획은 복식 이미저리의 역설적인 한 표현으로 분석되었으며 관객에게 등장인물의 외곤은 그 실체를 그대로 반영한다는 Shakespeare 본래의 의도를 잘 보여주는 의상계획으로 파악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Shakespeare극의 무대의상 디자인 및 제작시 무대의상이 단순한 무대의상 그 이상의 의미로 고려되어져야 함을 보여주며 이는 관객에세 의미 깊은 메시지로 전달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