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흡인

검색결과 1,803건 처리시간 0.032초

유방 선근상피종의 세침흡인 세포학적 소견 - 섬유선종과의 비교 - (Fine Needle Aspiration Cytology of Adenomyoepithelioma of the Breast - Comparison with Typical Fibroadenoma -)

  • 윤혜경;정수진;강미선
    • 대한세포병리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105-110
    • /
    • 1998
  • 유방에 발생한 선근상피종은 드문 양성 종양으로 세침흡인 세포학적 소견이 잘 알려져 있지 않다. 저자들은 조직소견상 관상 선근상피종으로 확진된 23세 여자의 좌측 유방종괴의 세침흡인 세포학적 특징과 전형적인 유방 섬유선종과 비교하여 감별점을 찾아보았다. 세침흡인 세포학적 소견상 흡인된 양이 많아 높은 세포학적 밀도를 보였으며, 배경에는 풍부한 나핵 세포와 점액성 물질이 관찰되었다. 상피세포의 군집의 크기는 작거나 중간 정도였으며, 느슨한 응집성을 보였고, 소수의 촘촘한 응집성을 보이기도 하였다. 상피 세포의 핵은 둥글고 비교적 균일하였으며, 작은 핵소체는 가끔 발견되었으나 핵의 비정형성이나 유사분열상은 관찰되지 않았다. 근상피세포들이 풍부하게 관찰되었으며 응집성이 좋은 상피세포 군집의 변연부를 따라 배열하기도 하였다. 기질 조직은 흡인된 양이 적었으며 섬유성 양상이었다. 전형적인 섬유선종과 구별되는 선근상피종의 세포학적 특징은 응집성이 덜한 상피세포 군집, 불분명한 군집의 변연부, 상피세포의 작은 덩어리가 미만성으로 관찰되는 점과 적은 양의 섬유조직성 기질조직이었다.

  • PDF

태변 흡인 증후군 신생아에서의 피하지방괴사 1례 (A Case of Subcutaneous Fat Necrosis in Neonate with Meconium Aspiration Syndrome)

  • 홍미애;오경창;안승인;신혜정;장진근;이병두;김병일;최중환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5권11호
    • /
    • pp.1422-1425
    • /
    • 2002
  • 저자들은 태아 곤란증 때문에 제왕절개한 과체중아로 저산소성 손상을 받은 태변 흡인 증후군 환아에서 생후 3-4일경에 어깨와 등에 여러 개의 홍반성의 결절과 반이 발생하였고 악화와 완화를 반복했으며 2-3회의 바늘 흡인(needle aspiration)을 시행하였고 합병증 없이 1세경 소실되었던 신생아 피하지방괴사 1례을 경험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갑상선 미분화 "도암종"의 세침흡인 세포학적 소견 - 1례 보고 - (Aspiration Cytology of Insular Carcinoma of Thyroid - A Case Report -)

  • 양영일;김찬환;강신광
    • 대한세포병리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46-51
    • /
    • 1994
  • 갑상선 미분화 "도암종"은 예후가 나쁘고 희귀한 종양으로 이 종양의 세침흡인 세포학적 소견에 관한 보고는 1990년 Pietribiasi에 의해 처음 기술된 이후 현재까지 8례가 있을 따름이다. 최근 저자들은 23세 여자의 좌측 경부의 갑상선 종괴로 부터 세침흡인 세포 검사를 시행하여 진단된 갑상선 도암종을 경험하여 그 세침흡인 세포학적 소견을 기술하는 바이다. 환자는 10년전부터 좌측 경부에 서서히 자라는 종괴를 호소하였으며 본 종괴에서 세침흡인 세포학적 검사를 시행하였다. 종괴의 세침흡인 도말은 세포밀도가 높았고 일정한 모양의 작고 둥근 세포들이 "도"구조 혹은 "지주" 구조를 보이며 간혹 개개로 산재되어 있는 세포 및 소포형태도 보였다. "도" 구조 및 "지주" 구조 내에는 미세한 소포형태가 관찰되었고 종양세포들의 핵은 자주 중첩되어 있었다. 갑상선 여포상 선종에서 보이는 성글게 배열된 소포구조도 드물게 관찰 되었다. 세포간의 크기나 모양은 거의 일정하였고 유사분열은 거의 관찰되지 않았다. 핵은 둥글고 뚜렷한 핵막과 미세하게 뭉친 염색질을 가지며 핵소체는 뚜렷하지 않았으며 드물게 젖빛 유리모양의 핵과 핵구가 관찰되었으나 유두상 구조는 관찰되지 않았다. 세포질의 경계는 불명확하였고 간혹 세포질내에 공포가 관찰되었다. 이상의 도암종의 세포학적 소견은 여포상 종양이나 유두상 종양들과는 구분되는 특징적인 소견이라 생각되며 세포학적 소견으로도 도암종의 진단이 가능하다고 생각된다.

  • PDF

다중검출 나선형 CT로 진단한 기관지 이물 흡인 (Bronchial foreign body aspiration diagnosed with MDCT)

  • 조혜경;조기영;조성윤;손세정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0권8호
    • /
    • pp.781-784
    • /
    • 2007
  • 이물 흡인은 영아와 어린 소아에서 흔히 발생하는 사고이다. 진단이 늦거나 기도 내에 이물이 오래 머물게 되면 질식의 위험뿐만 아니라 폐렴, 무기폐, 또는 기관지 확장증 등의 합병증이 발생한다. 또한 세기관지염이나 크루프, 천식 등으로 잘못 진단하고 치료하는 경우가 많이 있게 된다. 저자들은 초기에 세기관지염으로 진단되었다가 기관지 이물 흡인으로 확진되어 치료한 증례를 통해, 자세한 병력청취와 세밀한 진찰소견에 의해 이물 흡인을 강력히 의심하는 것이 진단에 매우 중요함을 인식하였다. 이 때, 흉부 방사선 이상 소견이 미약하더라도 무시해서는 아니되며 이상 소견이 뚜렷하지 않다면 시간차를 두고 반복 검사를 하는 것이 진단에 도움이 된다. 이물 흡인의 확진에는 다중검출 나선형 CT 검사가 매우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수정된 홉필드 신경망을 이용한 최단 경로 라우팅 알고리즘 (A Shortest Path Routing Algorithm using a Modified Hopfield Neural Network)

  • 안창욱;;최인찬;강충구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정보통신
    • /
    • 제29권4호
    • /
    • pp.386-396
    • /
    • 2002
  • 본 논문은 신경망을 이용한 최단 경로 문제를 풀기 위해 흡필드 신경망(Hopfield Neural Network)을 변형한 준최적 라우팅 알고리즘(suboptimal routing algorithm)을 다룬다. 이 알고리즘은 기존의 흡필드 신경망 알고리즘과는 달리 뉴런(neuron)의 진화를 위해 모든 주변 뉴런 정보뿐만 아니라, 상관 관계성이 높은 자신의 뉴런 정보도 동시에 이용함으로써, 수렴 성능 및 경로의 최적성을 향상하고자 하였다. 이 알고리즘의 수렴 속도는 흡필드 신경망을 이용하는 기존의 알고리즘보다 더 우수하며, 탐색 경로의 최적성도 높다는 것을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통해 확인한다. 이 결과는 거의 모든 출발지와 도착지 쌍에 대해 기존의 흡필드 신경망 기반의 최단 경로 탐색 알고리즘에 비해 네트워크 토폴로지에 비교적 덜 민감한 것으로 나타난다. 따라서, mobile ad-hoc network과 같이 네트워크 토폴로지가 시변하는 다중-흡 무선 패킷망(Multi-hop Packet Radio Network)에서의 경로 설정 알고리즘을 구현하는데 유용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