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흡수제 구조

검색결과 226건 처리시간 0.022초

呈色詩藥의 發色에 미치는 陽이온 表面活性劑의 영향 (第1報). Zephiramine 의 存在下에서 여러가지 술포프탈레인 指示藥의 解離常數 (The Influence of the Cationic Surfactant on the Coloration of Chromogenic Reagents (I). The Dissociation Constants of Sulfophthalein Indicators in the Presence of Zephiramine)

  • 문수찬
    • 대한화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270-276
    • /
    • 1976
  • 양이온 표면활성제인 Zephiramine의 존재하에서 여러가지 술포프탈레인 지시약의 흡수스펙트럼과 해리상수를 측정하여 수용액에서의 값과 비교했다. 염기성적색형은 흡수 극대가 6${\sim}$21 nm 장파장쪽으로 이동하며 흡수도는 약간 증가하는 반면, 황색형은 흡수극대가 오히려 4${\sim}$20 nm 단파장으로 이동하고 흡수도도 약간 감소했다. pKa값은 -1.38${\sim}$0.37정도 변화했다. 이와같은 정색반응을, 색소분자가 미셀 표면에 흡착됨으로서 더 안정한 공면구조를 형성하기 때문이라는 가정으로 설명했다.

  • PDF

Cu(Ⅱ) Y Zeolite에 흡착된 푸란화합물에 대한 EPR 연구 (EPR Study of Furan Compounds Adsorbed on Cu(Ⅱ) Y Zeolite)

  • 서곤;전학제
    • 대한화학회지
    • /
    • 제24권6호
    • /
    • pp.421-425
    • /
    • 1980
  • Cu(Ⅱ) 이온이 교환된 zeolite Y에 푸란이 흡착되는 형태를 알아보기 위해, 푸란과 2-메틸푸란이 흡착될 때 나타나는 EPR 스펙트럼을 조사하였다. 푸란이 흡착되면, Cu(Ⅱ) 이온의 흡수 피이크는 감소되면서 g-factor가 2.002, 피이크폭이 8 gauss인 단일 흡수피이크가 나타난다. 메틸기가 치환된 2-메틸푸란이 Cu(15)Y에 흡착되면, 푸란고리 및 메틸기의 수소에 의한 초미세구조가 나타나며, 구리의 이온 교환도가 커지면, 초미세구조는 약해진다. 푸란이 Cu(Ⅱ) 이온이 교환된 zeolite Y에 흡착되어 나타나는 새로운 흡수피이크는 Cu(Ⅱ) 이온과 푸란고리사이에 형성된 전하이동착물에 의한 것으로 생각되었다.

  • PDF

Air-lift 반응기내 황화수소제거시 식물정유추출물의 역할 (Role of Plant Extracts to Remove Hydrogen Sulfide in the Air-Lifter Reactor)

  • 박종우;박영규;김정인
    • KSBB Journal
    • /
    • 제25권5호
    • /
    • pp.421-428
    • /
    • 2010
  • 본 논문은 복합흡수제를 이용하여 유해가스를 처리하기 위해 식물정유의 주요구성성분을 파악한 식물정유로 황화수소가스의 처리효율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또한 복합흡수제와 황화수소가스에 의한 제거반응을 위한 적정조건을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아래와 같이 요약 할 수 있다. 1) 황화수소가스는 중화반응으로 처리하고 져 할 경우, 식물정유의 화학구조에서 알코올기, 알데히드기, 에스터기 등이 중화반응에 관여한다. 실험결과 앞서 언급한 화학작용기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 아민계열의 2-아미노에탄올 및 식물정유의 복합흡수제와 황화수소 가스와의 중화반응으로 염을 형성하여 유해가스 제거효율이 98%에 도달한다. 2) 황화수소가스를 제거하는 중화반응의 경우에 온도와 pH에 따라 처리효율이 크게 달라졌다. 높은 온도보다는 낮은 온도에서 제거효율이 거의 98%이상 나타났다. 적정 pH는 중성영역에서 비교적 처리효율을 확인하였다. 3) 황화수소가스의 처리효율은 초기농도에 따라 처리효율이 크게 차이가 나타났다. 황화수소의 초기농도가 1,100 ppm 이상인 경우에 처리효율은 40%로 나타났다. 반면, 240 ppm 이상인 경우에는 10분이내에 황화수소 가스 처리 효율이 90%이상 처리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Quinolone 계 화합물의 개발

  • 함원훈
    • 한국응용약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응용약물학회 1992년도 제1회 신약개발 연구발표회 초록집
    • /
    • pp.17-17
    • /
    • 1992
  • 항균성 물질을 이용한 화학 요법의 역사는 1930 년대 초 술폰아미드의 발견으로부터 비롯되었고, 페니실린의 발견 이래 $\beta$-lactam 계 항생제가 주종을 이루고 있다. 1963년 Lesher 와 Gruett 에 의해 합성된 nalidixic acid 가 요도염 치료제로 임상에 사용된 이후 이와 유사한 구조를 갖는 항균제 개발에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 제 1세대, 제 2세대의 quinolone 개발에 이어 1950년대에 들어 제 3세대 quinolone의 개발이 활발히 진행되어 왔다. 제 3세대 항생제는 C-6 위치에 F기를 도입한 것으로 연구의 진행 방향은 항균력의 향상과 체내에서의 지속 시간의 연장, 경구 투여시 흡수로의 증가와 독성의 약화를 위한 것이다. 본 연구는 quinolone의 기본 골격을 유지하면서 C-7 위치에 새로운 group을 도입하여 그에 대한 항균력을 측정하여 새로운 quinolone계 항생제의 개발을 시도하였다.

  • PDF

비펩타이드성 AII 수용체 길항제의 합성 생체내 특성 및 구조활성에 관한 연구

  • 유무희
    • 한국응용약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응용약물학회 1994년도 제2회 추계심포지움
    • /
    • pp.99-104
    • /
    • 1994
  • Renin-Angiotensin계는 정상 및 질병시의 혈압조절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음이 밝혀지면서, 이 조절계의 특정단계를 간섭함으로써 새로운 고혈압치료제를 개발하려는 연구가 일찍부터 시도되었다. (그림 1). 그 중에서 내인성 생리활성물질인 Angiotensin II의 합성을 차단하는 ACE 저해제는 임상적으로 고혈압 및 심부전치료제로서 유용성이 인정되어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다. ACE 저해제는 종종 마른기침, 발적과 같은 부작용이 나타나므로 이러한 부작용을 극복하려는 연구가 많이 있었으나 이는 작용기전에서 기인되는 것으로 해결에 한계를 보여왔다. 그런데 1982년 일본의 Takeda사의 연구진은 S-8307, 8308이라는 효과가 매우 약하기는 하지만 Angiotensin II 수용체를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비펩타이드성의 AII길항물질을 특허 출원하였다. 미국의 Du Pont사는 AII길항약물이 효능은 그대로 유지하면서 ACE 저해제들의 부작용을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하고 Takeda 화합물을 모핵으로하여, 많은 유도체들을 합성하면서 구조-활성 연구를 수행한 결과 비펩타이드성길항제인 Dup 753(Losartan, Cozaar$^{R}$) (2-N-butyl-4-chloro-5-hydroxymethyl-1-(2'-(1H-tetrazole-5-yl)biphenyl-4-yl) imidazole, potassium salt)을 발견하게 되었다. 이 Dup 753은 특별히 AII수용체중 혈압조절과 관련이 있는 AT1 수용체를 선택적으로 차단하는데, 효력은 ACE 저해제인 captopril과 유사하며, 경구흡수가 잘되고 지속시간이 길어 하루에 한번 먹는 경구제제로 개발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Dup 753의 지속시간이 긴 것은 그 대사물인 Exp 3174에 기인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대사체가 Dup 753에 비해 효력도 훨씬 더 높고 지속시간도 길어서, Dup 753은 일종의 prodrug적 개념이 들어있는 약물이라 할 수 있다.

  • PDF

내구성 실험을 통한 최적 표면침투제의 선정 (Selection of Concrete Surface Impregnant through Durability Tests)

  • 권성준;박상순;이상민;김종우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11권6호
    • /
    • pp.77-86
    • /
    • 2007
  • 표면침투제를 사용하여 콘크리트 표면을 경화시키는 보수공법은 간단한 시공방법 뿐 아니라 경제적인 방법으로 최근들어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표면보호공 또는 보수방법은 강도에 대해서는 크게 개선효과를확보하기는 어렵지만, 공극을 치밀하게 형성함으로서 내구적인 저항을 개선하고 내수구명을 연장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유/무기계 표면침투제를 사용한 콘크리트 시편에 대하여 흡수성, 투수성과 같은 기초적인 실내실험을 수행하였으며, 이에따라 최적의 표면침투제를 선정하였다. 이후 선정된 표면침투제에 대하여 다양한 내구성 실험(탄산화, 동결융해, 염해저항성, 내화학성)이 수행되었으며, 선정된 2가지 표면침투제를 사용한 콘크리트 시편은 우수한 내구적 저항성을 가지고 있음을 실험적으로 규명하였다.

수용액 중에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와 요오드간의 상호작용에 미치는 $Ca^{2+}$의 영향 (The Effects of $Ca^{2+}$on the Interaction of Nonionic Surfactant with Iodine in Aqueous Solution)

  • 권오윤;백우현
    • 대한화학회지
    • /
    • 제36권5호
    • /
    • pp.621-626
    • /
    • 1992
  • 수용액 중에서 요오드와 $4-(C_9H_{19})C_6H4_O(CH_2CH_2O)_{40} [NP-(EO)_40]$간의 charge transfer(CT) 상호작용에 미치는 $Ca^{2+}$이온의 영향을 UV-visible spectrophotometer를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CT 상호작용에 따른 최대 흡수는 390 nm 부근에서 나타났으며, $Ca^{2+}$ 이온 존재하에서는 370 nm 영역으로 이동되었다. 계면활성제 농도를 CMC 이상에서 고정시켰을 때, CT 상호작용에 따른 최대흡수곡선의 강도가 $Ca^{2+}$이온 첨가 농도에 따라 증가하다가 감소하는 변곡점을 보였다. CT 상호작용에 기인한 흡수곡선의 강도가 증가하는 것은 $Ca^{2+}$이온 존재하에서 미셀 구조가 더욱 조밀해진데 다른 요오드와의 donor-acceptor overlap 증가로 볼 수 있다. 이러한 현상들은 수용액 중에서 상대적으로 자유로이 여러가지 배향을 가질 수 있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선형 oxyethylene(EO) 사슬이 유사 크라운 에테르 구조를 형성하여 $Ca^{2+}$이온과 착물을 형성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준다.

  • PDF

바인더용 고분자 첨가제에 따른 잉크젯 인화지의 잉크흡수 특성변화 (Change of Ink Absorption Characteristics of Ink-Jet Printing Paper with Polymeric Binder)

  • 김철용;이명천
    • 폴리머
    • /
    • 제30권6호
    • /
    • pp.550-555
    • /
    • 2006
  • 잉크젯프린터용 잉크가 수성화되어 감에 따라 전용 인화지에 사용되는 코팅제 역시 수성 코팅제가 사용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 수성 코팅제에 사용되는 재료를 살펴보면 안료로는 알루미나솔, 주 바인더로 폴리 (비닐 알콜), 부족한 물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고분자 첨가제를 사용한다. 된 연구에서 사용된 고분자 첨가제는 스티렌과 부틸아크릴레이트를 기본으로 하구 메타크릴산, 아크릴산, 아크릴 아미드 단량체들을 조합하여 에멀션 중합법으로 합성하였다. 중합시 비이온 및 음이온 유화제를 혼합 혹은 단독으로 사용하고, 단량체 조합과 고분자 첨가제의 입자구조를 변화시켜 흡수성, 퍼짐성, 광학밀도의 인쇄적성과 광택도 내수성 등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이 결과, 음이온 유화제나 카복실기를 가지는 아크릴산 같이 음이온성이 큰 물질을 사용한 경우 알루미나 솔과의 상용성에서 문제를 야기하였고 아크릴 아미드는 인쇄적성에서 뛰어난 결과를 얻었지만 광택도가 떨어지는 경향을 알 수 있었다. 메타크릴산이 함유된 경우 광택도는 향상되었지만 인쇄적성이 떨어졌다.

1-(2-methoxyethyl)-3-methylimidazolium Methanesulfonate 이온성 액체 합성 및 CO2 흡수 특성 연구 (Study of CO2 Absorption Characteristic and Synthesis of 1-(2-methoxyethyl)-3-methylimidazoLium Methanesulfonate Ionic Liquid)

  • 진유란;정윤호;박소진;백일현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50권1호
    • /
    • pp.35-40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화석 연료 사용시 발생되는 이산화탄소를 분리할 수 있는 신 흡수제로써 활용 가능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sulfonate계 이온성 액체인 1-(2-methoxyethyl)-3-methylimidazolium methanesulfonate 흡수제에 대하여 합성하고, 성상 분석 및 이산화탄소 흡수능을 측정하였다. 1단 방법을 이용하여 저렴하게 이온성 액체를 합성하였다. 합성된 시료의 열적, 화학적 안정성을 DSC 및 TGA를 사용하여 측정하였으며, 화학적 구조는 $^1H$-NMR spectrum으로 확인하였다. 또한, 가변부피투시창(Variable-volume view cell)이 장착된 고압용 상평형 장치를 사용하여 $CO_2$ 흡수능을 평가하였다. 실험 조건은 30, 50, $70^{\circ}C$ 온도에서 수행하였고, 압력 195 bar까지 측정하였다. 실험결과 압력이 증가하거나 온도가 감소할 때 $CO_2$ 흡수량이 증가하였으며, $30^{\circ}C$, 13 bar에서 27.6 $CO_2/IL$(g/kg)의 $CO_2$ 흡수능을 보였다.

SDR 반응의 운전 최적화를 위한 전산 해석 (Numerical Study for the Optimal Operation of Semi Dry Reactor(SDR))

  • 박기우;정유진;정문헌;홍성길;정종현;임기혁;손병현
    • 한국산학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학기술학회 2012년도 춘계학술논문집 1부
    • /
    • pp.426-430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3차원 수치 해석 기법으로 SDR 반응기 내 유동 특성을 모사하여 유동 분포 및 체류 시간등을 확인하고 혼합 특성 개선을 위한 방법에 대해 연구하였다. 본 연구 대상 SDR 반응기는 입구 덕트와 반응기 본체의 접속 구간에 가이드 베인(Guide vane)이 설치되어 있고 그 바로 하부 지점에 흡수제를 분무하는 노즐이 설치되어 있다. 이는 처리가스가 반응기로 유입될 때 가이드 베인에 의해 선회류를 형성하여 분무된 흡수제와의 혼합을 촉진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설치하였다. 시간당 1,971$m^3/min$ at $260^{\circ}C$의 처리가스가 반응기 상부로 유입되어 가이드 베인을 거쳐 선회류를 형성한 후흡수제와 혼합되어 하부로 배출되는 구조이다. 유동 특성을 분석한 결과, 처리가스가 반응기 중앙으로 강하게 편중되고 있었으며 반응기 양 측면으로 부상 기류가 형성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강한 편류에 의해 체류시간도 매우 짧은 것으로 판단되는 바, 가이드 베인의 기류 안내 각도가 적합하지 못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곧 혼합 특성 저하에 따른 미반응 액적의 다량 발생과 함께 고착에 의한 스케일 형성 가능성이 매우 클 것으로 예상되므로 혼합 특성을 개선할 수 있는 설계 변경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따라서 편류를 해소하고 노즐 근처에서의 체공시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가이드 베인의 안내 각도를 더 크게 변경한 결과, 기존 설계상에서 본체 중앙에 형성되는 편류가 해소되고 선회류의 전개 각도가 커지면서 체류시간 역시 약 5초 이상으로 유지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가이드 베인의 각도만 변경하더라도 본체 형상의 추가적인 변경없이 유동의 혼합 특성을 개선시킬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