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흡수식 시스템

Search Result 177,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흡수식 열펌프 작동유체로서의 나노유체냉매 적용

  • Lee, Jin-Gi;Gang, Yong-Tae
    • The Magazine of the Society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ng Engineers of Korea
    • /
    • v.37 no.7
    • /
    • pp.4-8
    • /
    • 2008
  • 현재 사용되어지는 냉매에 대한 규제와 에너지 수급불균형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증기압축식 냉동기의 대체방안중 하나인 흡수식 시스템에 대해 알아보고 흡수식 시스템의 성능향상을 위해 차세대 냉매인 이성분 나노유체의 적용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태양열 구동 흡수식 냉방 시스템 실증

  • Gwak, Hui-Yeol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5.11a
    • /
    • pp.353-362
    • /
    • 2005
  • 태양열시스템은 하절기에 급탕과 난방 부하가 적거나, 거의 없어 시스템의 과열 문제가 야기 될 수 있다. 이를 해결하는 방안 중에 하나로 흡수식 냉방시스템을 이용하여 하절기 잉여열원을 활용하여 냉방하는 방법이 대두되고 있다. 태양열 냉방시스템은 전기에너지를 대체하는 효과 뿐 아니라 태양열 연간 이용 효율 극대화에도 크게 기여 할 수 있다. 본 고에서는 국내 기술로 최초로 개발 실용화된 중온용 단일 진공관형 태양열 집열기와 1중 효용 흡수식 냉방기를 이용하여 실증연구를 계획하였다. 태양열 냉방 실증을 위하여 단일 진공관형 태양열 집열기 집열면적 200m2, 축열조(태양열, 급탕, 냉수), 10RT급 냉방기, 냉각탑, 보조 보일러, 원격 제어 및 모니터링 등이 계획 되었다. 실증시험 중간 결과 태양열 냉방시스템은 하절기 맑은 날 하루 동안 약 5 - 6시간 안정적으로 가동 되었으며, 앞으로 온수급탕, 난방 시험을 거쳐 시스템 성능 및 경제성 평가를 통하여 유용성, 안정성 및 신뢰성이 검증 될 계획이다.

  • PDF

Solar Absorption System Analysis with Spreadsheet Models (태양열 이용 흡수식 냉난방시스템의 스프레드쉬트 모델)

  • Choi, Hong-Kyu;Fazzolari, Rocco A.
    • Solar Energy
    • /
    • v.12 no.1
    • /
    • pp.15-24
    • /
    • 1992
  • An hourly simulation model of a solar LiBr-water absorption cooling and heating system (for brevity, solar absorption system) is presented, based on SuperCalc spreadsheet computational procedures. This paper demonstrates the value of using spreadsheet simulation techniques by examining the thermal performances of a solar absorption system. The hourly heating and cooling coil loads for a typical office building in Tucson, Arizona are modeled and calculated using ASHRAE methods. The details of the algorithms for the components and control schemes are presented. Two case studies are also presented using real system parameters.

  • PDF

국내 태양열 냉난방시스템 겸용 설치사례

  • Yun, Jang-Su;Jo, Jang-Hyeon
    • The Magazine of the Society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ng Engineers of Korea
    • /
    • v.40 no.5
    • /
    • pp.18-24
    • /
    • 2011
  • 태양열 집열기에서 생산된 열원을 축열한 축열조의 온수를 겨울에는 직,간접 열교환을 통하여 난방을 실현하고 축열조의 여름에는 흡수식 냉동기 발생기(Generator)에 공급하여 흡수식 냉동기를 가동하고 냉동기에서 생산된 저온의 냉수로 냉방을 실현하는 태양열 냉난방 겸용시스템에 대한 설치 사례를 소개하고자 한다.

  • PDF

흡수식을 이용한 에너지 장거리 수송/변환 기술

  • 강용태
    • The Magazine of the Society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ng Engineers of Korea
    • /
    • v.33 no.3
    • /
    • pp.11-18
    • /
    • 2004
  • 흡수식 사이클을 이용한 에너지의 장거리수송 기술을 소개하고 경제성평가 결과를 제시한다. 현재 에너지수요 측면에서 가장 높은 증가율을 보이고 있는 것이 바로 대도시 및 산업단지의 냉$.$난방 및 급탕용 에너지이다. 냉$.$난방에 사용되는 에너지는 10$0^{\circ}C$미만의 저온으로서 고열원 에너지인 화석연료의 사용은 에너지사용 면에서 비효율적이다. 따라서 산업지 역에서 버려지는 폐열원등의 각종 미활용에너지를 이용하여 냉$.$난방부하를 충족시킬 수 있는 에너지 절약형 시스템의 개발이 매우 중요한 과제로 대두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미활용에너지 및 폐열에너지 공급지역은 소비지역으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다. 지금까지 흡수식시스템은 냉동 및 냉방의 개념에서 기술개발 및 실용적운전이 이루어져 왔으나, 본 논문에서는 흡수식시스템을 이용한 에너지의 장거리수송 및 변환 기술을 소개하고자 한다.

  • PDF

Effect of S$iO_2$ Nano-sized particle on heat and mass transfer in ammonia-water absorption ($SiO_2$나노입자에 의한 암모니아-물 흡수용액의 열 및 물질전달 특성 연구)

  • 하종주;이찬호;김성현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for Energy Engineering kosee Conference
    • /
    • 2002.05a
    • /
    • pp.161-165
    • /
    • 2002
  • 인류가 직면한 환경 및 에너지 문제를 타개하기 위한 많은 연구 중 흡수식 열펌프는 환경친화적인 자연냉매를 사용하는 열구동 시스템으로 다시 주목을 받고 있다. 흡수식 열펌프의 구성요소 중 흡수기는 암모니아의 흡수에 의한 열 및 물질전달 현상이 동시에 일어나는 곳으로 암모니아-물 열펌프 시스템의 성능 향상을 위해 가장 중요한 부분이다.(중략)

  • PDF

Next generation absorption technologies in USA and Japan(2) - Next generations technologies in Japan - (미국 및 일본의 차세대 홉수식 열펌프 기술(2) - 일본의 차세대 흡수식 연구동향 -)

  • 강용태
    • The Magazine of the Society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ng Engineers of Korea
    • /
    • v.28 no.4
    • /
    • pp.300-314
    • /
    • 1999
  • 가스구동 흡수식 시스템은 인류와 환경에 여러 가지 유익을 가져다준다. 첫째, 시스템의 고효율에 따른 매력적인 경제성을 제공하고, 둘째 천연가스의 사용으로 인하여 여름철 피크 전력소요(peak electric demand)를 완화하고, 셋째 이산화탄소 ($CO_2$)의 발생을 감소시킴으로써 지구 온난화 현상을 완화한다 실제로 가스구동 흡수식 시스템으로부터의 $CO_2$발생량은 증기보일러를 사용하는 전기구동 냉동기에 비하여 85% 수준인 것으로 보고되었다(Suzuki 등). 넷째로 암모니아 및 물과 같은 환경 친화적인 냉매들을 사용함으로서 오존층을 파괴하는 Chlorofluorocarbon(CFC) 및 Hydrochlorofluorocarbon(FCFC)계 냉매들을 대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 PDF

Performance Analysis of New Working Solution for Absorption Refrigeration Machine using Treated Sewage (하수처리수이용 신용액 흡수식 냉동기의 성능해석)

  • 권오경;유선일;윤정인
    • Journal of Energy Engineering
    • /
    • v.7 no.2
    • /
    • pp.231-240
    • /
    • 1998
  • The global environmental problems such as CFC, energy losses in heat recovery system as well as summer peak time power demands, the development of high efficiency absorption refrigeration systems is one of the most promising method in this problems. The absorption refrigeration system to utilize treated sewage is available for environmental protection and energy conservation. Simulation analysis on the double-effect absorption refrigeration cucles with parallel or series flow type has been performed. LiBr+LiI+LiCl+LiNO$_3$ solution was selected as the new working fluid.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evaluating the possibilities of effective utilization of treated sewage as a cooling water for the absorber and condenser. The other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determine the optimum designs and operating conditions based on the operating constraints and the coefficient of performance in the parallel or series flow type. In this study, we found out the characteristic of new working solution through the cycle simulation and compared LiBr solution to evaluate. The absorption refrigeration machine using the new working fluid was obtained better results COP rise and compactness of system by comparison with LiBr solution.

  • PDF

태양열을 이용한 냉방장치 -급수식 냉동기를 중심으로-

  • 하재현;이상천
    • Journal of the KSME
    • /
    • v.17 no.1
    • /
    • pp.23-27
    • /
    • 1977
  • 태양열을 냉방에 이용하기 위한 시스템은 집열기,열교환기,냉동기 등으로 구성된다. 집열기는 난 방시와 마찬가지로 볼 때 냉난방을 병용하는 집열기를 사용하면 유리하다. 열교환기는 집열기에 서 수집한 열을 냉방기에 전달시키는 기능을 가지는데 용도에 따라 이것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도 있다. 냉동기로는 보통 흡수식 냉동기를 사요하나 그외 개방식, 분사식 등의 냉동기도 사용된다. 그러나 분방식 냉동기는 취급은 용이하나 흡수제의 재생조건이 까다로워 높은 습기를 갖는 경우 재생온도가 역시 높아져야 하므로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여름철의 습도가 높기 때문에 재생온도가 높아져야 하므로 태양열 냉방에는 부적당하다. 또 분사식 냉동기의 경우 성적계수(Coefficient of Performance) 가 다른 냉동기에 비해 낮고 증기압력이 낮으면 이것이 극히 낮아지기 때문에 태양 열 냉방에 많이 사용하지 않는다. 그래서 태양열 냉방에 있어서 냉동기는 거의 흡수식을 사용하 고 있으며, 여기에서도 주로 흡수식 냉동기를 사용한 냉방에 대하여 논하고져 한다.

  • PDF

일본의 흡수식 냉동기 연구개발동향

  • 정종수;황규대
    • The Magazine of the Society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ng Engineers of Korea
    • /
    • v.33 no.3
    • /
    • pp.37-42
    • /
    • 2004
  • 흡수식 냉동기의 구성요소에 관한 성능향상 및 배열을 이용한 코제네레이션 시스템의 소개한다. 1997년 12월에 개최된 지구온난화 방지 교토회의(COP3-기후변동협조조약 제3회 체결국 회합)에서, 일본은 2008년-2012년까지 온실효과가스의 배출량을 1990년도 시점을 기준으로 6% 삭감하기로 합의하였다. 이러한 배경에 따라 $CO_2$ 배출량의 삭감에 대한 새로운 공업기술의 전개가 진행되고 있으며, 일본의 냉동공조산업 분야에서도 코제네레이션이라는 에너지 절약 관점으로부터 흡수식 냉동기가 다시 주목을 받게 되는 계기가 되었다.(중략)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