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흔적지점

Search Result 46,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Estimation of flood peak discharge using flood marks (홍수흔적을 이용한 첨두홍수량 추정)

  • Lee, Tae Hee;Lee, Jung Hoon;Kang, Jong Wan;Roh, Youngsi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75-75
    • /
    • 2019
  • 첨두홍수량 자료는 홍수예경보 및 치수계획수립 등 하천관리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그러나 대규모 홍수가 발생 시 악천후가 동반된 기상상황이나, 현장 접근이 어려운 환경적 조건과 예산 및 인력 부족 등에 의한 불가피한 문제로 첨두홍수량을 측정하는데 어려움 있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수위-유량관계곡선식을 이용하여 첨두홍수량을 산정하지만 단순 고수위 외삽 추정을 통해 개발된 곡선식을 이용한 첨두홍수량 산정에 있어서는 주의가 필요하다. 이러한 경우 홍수가 지나간 후 현장조사를 통해 획득한 위치, 표고, 횡단면적 등 홍수흔적(flood marks)을 가지고 경사면적법(slope-area method)과 같은 간접적인 방법으로 첨두홍수량을 추정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2018년 큰 호우사상이 발생한 내성천의 지류인 서천의 영주시(월호교) 지점과 남강의 산청군(하촌리) 지점에서 홍수흔적 조사를 통해 지점별 두 개의 단면을 선정하였다. 영주시(월호교) 지점의 두 단면 간 거리는 약 90m, 높이차는 약 0.21m로 조사되었고, 산청군(하촌리) 지점의 두 단면 간 거리는 약 330m, 높이차는 약 0.47m로 조사되었다. 경사면적법을 이용한 첨두 홍수량 추정에 적용된 조도계수는 '서천 하천기본계획(2014)', '남강 하천기본계획(2013)'에서 계획 홍수량 산정에 적용된 조도계수 0.029와 0.025를 적용하였다. 영주시(월호교) 지점은 2018년 9월 4일 발생한 호우사상의 첨두수위 5.59m에서 수위-유량관계곡선식을 이용하여 산정된 유량은 $1,127.8m^3/s$이고 경사면적법을 이용하여 추정된 유량은 $1,105.9m^3/s$로 약 -1.98%의 편차율이 발생하였다. 산청군(하촌리) 지점은 2018년 8월 26일 발생한 호우사상의 첨두수위 6.75m에서 수위-유량관계곡선식을 이용하여 산정된 유량은 $3,435.0m^3/s$이고 경사면적법을 이용하여 추정된 유량은 $3,233.3m^3/s$로 약 -6.24%의 편차율이 발생하였다. 경사면적법을 이용하여 추정된 첨두홍수량은 수위-유량관계곡선식을 이용하여 산정된 유량과 편차율이 지점별 ${\pm}10%$ 이내의 근사한 범위로 산정되었다. 따라서 경사면적법을 이용한 첨두홍수량 추정 방법의 적용에 있어서 적절한 것으로 판단된다.

  • PDF

Research on Discrimination of Mark in Vehicle Arson (차량 방화의 흔적 식별에 관한 연구)

  • Moon Byung-Sun;Cho Young-Jin
    •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 /
    • v.19 no.1 s.57
    • /
    • pp.59-69
    • /
    • 2005
  • There were little available data of vehicular incendiary fires. We investigated fires by inflammable gasoline and papers. cloths in the interior and exterior of vehicles. Fires in the interior and exterior of vehicles were carried out under the several conditions by incendiary methods and vehicle's windows. We knew that dominant factor of combustion is direction of wind at that time in vehicle's fire. And we knew that the other mark of combustion pattern in vehicle's fire could be a clue for solving the problem in discerning the place to which we sotted fire between the general fire and arson.

Usage of System Restore Point in Digital Forensics (포렌식 관점에서의 시스템 복원지점 활용 방안)

  • Yun, Sun-Mi;Lee, Seok-Hee;Lee, Sang-J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08.02a
    • /
    • pp.55-58
    • /
    • 2008
  • 디지털 증거분석 단계에서 조사관은 용의자 시스템을 통해 사건 날짜와 시간에 실행된 응용 프로그램이나 악성 프로그램의 설치 여부 등을 유추하여 관련 증거를 발견할 수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범죄자는 혐의 부인을 위해 대상 시스템에서 특정 프로그램의 설치 및 사용 정보를 삭제하여 증거를 인멸한다. 이와 같이 디지털 포렌식 조사를 방해하는 기술이나 도구와 관련된 분야를 안티포렌식(Anti-Forensics)이라 한다. 사이버 범죄의 증가로 인해 디지털 포렌식 기술이 발전할수록 범죄의 흔적을 남기지 않기 위한 안티포렌식 기술 또한 발전하고 있다. 이러한 안티포렌식에 대응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프로그램 사용 또는 설치와 같은 흔적을 시스템에서 삭제한 경우 시스템 복원지점을 이용한 증거탐지 방법을 제시한다. 또한 실제 발생 가능한 상황을 예로 들어 설명하고 수사 시 유용하게 쓰일 수 있는 도구 개발에 대한 계획을 제시한다.

  • PDF

Prediction Study on Major Movement Paths of Otters in the Ansim-wetland Using EN-Simulator (EN-Simulator를 활용한 안심습지 일원 수달의 주요 이동경로 예측 연구)

  • Shin, Gee-Hoon;Seo, Bo-Yong;Rho, Paikho;Kim, Ji-Young;Han, Sung-Yong
    •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 /
    • v.30 no.1
    • /
    • pp.13-23
    • /
    • 2021
  • In this study, we performed a Random Walker analysis to predict the Major Movement Paths of otters. The scope of the research was a simulation analysis with a radius of 7.5 km set as the final range centered on the Ansim-wetland in Daegu City, and a field survey was used to verify the model. The number of virtual otters was set to 1,000, the number of moving steps was set to 1,000 steps per grid, and simulations were performed on a total of 841 grid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an average of 147.6 objects arrived at the boundary point under the condition of an interval of 50 m. As a result of the simulation verification, 8 points (13.1%) were found in the area where the movement probability was very high, and 9 points (14.8%) were found in the area where the movement probability was high. On the other hand, in areas with low movement paths probabilities, there were 8 points (13.1%) in low areas and 4 points (6.6%) in very low areas. Simulation verification results In areas with high otter values, the actual otter format probability was particularly high. In addition, as a result of investigating the correlation with the otter appearance point according to the unit area of the evaluation star of the movement probability, it seems that 6.8 traces were found per unit area in the area where the movement probability is the highest. In areas where the probability of movement is low, analysis was performed at 0.1 points. On the side where otters use the major movement paths of the river area, the normal level was exceeded, and as a result, in the area, 23 (63.9%), many form traces were found, along the major movement paths of the simulation. It turned out that the actual otter inhabits. The EN-Simulator analysis can predict how spatial properties affect the likelihood of major movement paths selection, and the analytical values are used to utilize additional habitats within the major movement paths. It is judged that it can be used as basic data such as to grasp the danger area of road kill in advance and prevent it.

A Study on the Fire Investigation of Blackpig Meat Shop (흑돼지정육점 화재 원인의 규명에 관한 연구)

  • Kim, Yong-Un;Joe, Hie-Su;Lee, Jeong-Il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Fire Investigation
    • /
    • v.9 no.1
    • /
    • pp.79-89
    • /
    • 2006
  • 본 연구는 2004년 10월 3일 03시 29분경 전북 00시 00동 지리산 흑돼지 정육점에서 발생한 화재현장을 대상으로 화재조사 및 감식을 하여 그 원인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조사 결과 안쪽방과 매장 사이에 있던 냉장고가 심하게 소훼 되었고, 점포와 안방 출입문 부위를 중심으로 가장 심한 탄화상태를 보이는 것으로 발화지점으로 보이며, 점포 내 휴게공간에서 발화하여 점포내부와 화장실을 통해 연소 확대되었음을 확인하였다. 한편, 발화원인으로는 전기적원인, 가스 난방기구 및 담뱃불 등 미소화원 등에 의한 발화 가능성의 특이점이 보이지 않으며, 휴게공간에서의 급격한 연소현상, 폭발 후 화재로 진전된 흔적, 바닥의 가연성액체에 의한 연소흔적 등으로 보아 방화의 가능성이 높다. 화재는 휴식공간입구 우측 큰 교자상과 밑의 작은 교자상 밑, 그 주위에 연소매개체로서 등유를 뿌린 상태에서 휴대용가스렌지를 이용 방화한 것으로 추정된다.

  • PDF

Proposal of Functional Assessment for Wetland-type Abandoned Channel (습지형 구하도의 기능평가 제안)

  • Kang, Su Jin;Kang, Joon Gu;Hong, Il;Yeo, Hong Koo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 /
    • v.14 no.4
    • /
    • pp.547-559
    • /
    • 2012
  • Abandoned channel is vestiges of running in the past. Abandoned channels have been formed mostly by artificial river maintenance through channel straightening in Korea. Managed properly, these now abandoned channels can provide habitat for wildlife, maintain biodiversity of aquatic life, security against flooding and recreation area for human. However, because the areas are officially classified as abandoned, the channels is collapsing and decaying from years of neglect. This study suggested functional assessment for wetland-type abandoned channel in order to provide appropriate management and investment. For this reason, The study will examine and evaluate these channels with regard to the following four major criteria (Natureless, Habitat, Water-friendliness and Water quality) and 21 indices. Consequently, abandoned channel in two Nakdong river sites, site 1 was needed for protection or improvement in the medium to longer term, while site 2 was in good condition. This evaluation method will be helpful to manage wetland-type abandoned channel in Korea and will be able to use National River Health Program.

Studies on river otter habitat use pattern on Hongchun river in Gangwon province (강원도 홍천강 유역에 서식하는 수달의 서식지이용에 관한 연구)

  • Park, Bo-Hyun;Lee, Sangdon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 /
    • v.14 no.3
    • /
    • pp.413-418
    • /
    • 2012
  • In this study, both habitat use analysis by rumen contents of Eurasian river otter (Lutra lutra) were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preference of habitat environment and diet using their fecal samples. As the target sites, two streams (the Naechon-cheon and the Koonup-cheon) were selected in the upstream of the Hongcheon river, Hongcheon County, Gangwon Province. A total of 478 track samples (e.g., feces, scent and footprint) were found during the survey periods (May to November, 2009 and November, 2010). The dominant points, where the tracks of river otters were observed, were areas with the low depth(0.5-1m) and the slow flow velocity (5m/sec). Also, both rocks and rock-beds were preferred but artificial facilities were avoided. This ecological study of river otters using habitat use analysis and diet analysis by rumen contents will be useful fundamental information to conserve the river otter populations, and to protect their habitats.

Analysis of debris flow movement and diffusion zone, on August 2020 (2020년 8월 토석류 발생지역의 이동확산범위 분석)

  • Kim, Minseok;An, Hyunuk;Lee, Seongjun;Kim, Jisu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235-235
    • /
    • 2021
  • 아시아 몬순기후의 영향에 의해 우리나라는 2020년 7월부터 9월까지 약 90일간의 장마로 인해 크고 작은 수재해가 발생하였다. 특히, 안성, 충주, 음성 그리고 곡성 등에서 인명피해가 발생하였으며, 그 외 13개소에서 많은 재산 피해가 발생하였다. 2020년 산사태/토석류 재해로 인한 전국적인 피해액은 약 3,900억으로 보고되고 있으며, 매년 집중호우에 의해 피해 양상이 변하고, 도시지역에서의 발생이 빈번하게 늘고 있다. 집중호우에 의한 산사태/토석류 전이 피해를 저감시키기 위해서는 발생 물질이 어디까지 이동할 수 있는지에 대한 위험범위확산에 대한 연구가 중요하며, 이런 연구를 기반으로 인명피해를 줄이기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천수방정식, 유변학특성 식 그리고 연행침식 식을 조합하여 개발된 적응형 격자기반 2차원 토석류 모델을 이용하여 안성, 음성 그리고 단성지역에서 발생했었던 산사태/토석류 전이 피해 양상을 해석하였다. 산사태 발생 후 2~3일 이내에 지표 지질 및 지형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UAV 및 항공사진을 이용하여 산사태 및 토석류의 형태를 맵핑하였다. 지질 및 지형조사 시 간이 Vein tester를 이용하여 야외에서 토양 물성관련 자료를 취득하였으며, 토석류의 이동 흔적(나무 등에의 토석류 타격 흔적)을 이용하여 조사지점에서의 최대 토석류 흐름 깊이를 추정하였다. 정확한 토석류의 유속에 대한 자료 부족으로 2011년 우면산에서 발생한 약 26m/s의 속도를 이용하여 토석류의 흐름 특성을 계산하였다. 이와 더불어 연행침식의 계산을 위해 발생지점 부터 토석류가 퇴적된 하류부까지 기반암의 노출 및 퇴적 정보를 통해 최대 침식 깊이를 추정하여 입력자료로 활용하였다. 토석류 맵핑자료와 비교 결과 정확도가 90%이상으로 나타났으며, 토석류 발생 후 안성 200초, 음성 180초 그리고 단성 180초 이내로 토석류가 하류까지 이동할 수 있는 것으로 계산되었다. 본 연구와 같이 산사태/토석류 발생 메커니즘 해석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를 통해 산지 재해에 의한 인명 피해를 줄일 수 있는 토석류확산범위 해석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The Study on the Distribution and Inhabiting Status of Nutria (Myocastor coypus) in Korea (뉴트리아 (Myocastor coypus)의 국내 분포 및 서식 현황에 관한 연구)

  • Lee, Do-Hun;Kil, Ji-Hyon;Kim, Dong-Eon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27 no.3
    • /
    • pp.316-326
    • /
    • 2013
  • This study has researched the national expansion, dispersion of nutria and investigated its inhabitation status for the past 3 years. The report has shown that the number of nutria habitat, reported to be distributed in 9 cities or districts in 2010, has been increased to 13 in 2012. In the research of 629 nutria habitats, 95.9% of habitat traces were found in Busan-Kyungnam area. From the research of relative density by location type for the 6 survey areas in these 5 areas above, it was shown 3.98(${\pm}2.56$)ind./100m in 2010, 2.90(${\pm}2.69$)ind./100m in 2011 and 1.39(${\pm}0.66$)ind./100m in 2012. From the research of relative density by habitat types, it was shown 3.48(${\pm}2.15$)ind./100m in palustrine wetland area, $1.01{\pm}(0.25)ind.$/100m in river area and $3.69{\pm}(2.83)ind.$/100m in riverine wetland area. It was shown that the annual average density in the areas has slightly been decreased for the past 3 years between 2010 and 2012. It also reported that the habitat density in the river area is a bit lower than that in the wetland area. Currently it can be determined that the nutria has fully adapted themselves to the various local environments of wetland, river, stream, and so on in Korea and the Relative density could be remarkably increased especially in the favorable condition like a wetland. As the ones living in the area with over-density could be spread out to other areas, the efficient management plan to control should be prepared considering ecological conditions.

A Numerical Study on Flood Inundation of Urban Areas Using 2D Finite Volume Model: Application to Tous dam failure, Spain (이차원 유한체적모형을 이용한 도시지역 홍수범람에 관한 수치적 연구 : 스페인 Tous 댐 붕괴 사례 적용)

  • Kim, Kyung-Hwan;Jeong, Woo-Cha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0.05a
    • /
    • pp.1-5
    • /
    • 2010
  • 1982년 10월 21일 스페인에서 발생한 Tous 댐 붕괴 시 발생한 유출로 인하여 댐에서 5km 하류에 위치한 도시지역을 홍수파가 관통하면서 시간에 따라 변화되는 홍수파의 특성을 수치모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에 적용된 수치모형은 비구조적 2차원 유한체적법과 불연속 흐름을 모의하기 위해 시간과 공간상으로 1차 정확도를 가진 HLLC 기법을 적용한 모형이다. 본 연구에서는 도시지역의 침수현상을 두 가지 Case에 대해 구성하였으며, 모의결과를 침수흔적 자료 및 기존의 수치모의 결과와 비교하였다. 첫 번째 Case는 Mulet and Alcrudo(2004)에 의한 수치모의결과와의 비교를 통해 모형의 적용성 검증을 하였으며, 두 번째 Case는 도시 지역에서의 건물 투수여부에 따라 변화되는 홍수파의 흐름특성 및 지점별 최대 침수심을 모의하였을 경우이다. Case 1에서 모형의 검증결과 수치모형을 통해 계산된 지점별 수심변화는 비교적 잘 일치하는 결과를 얻었으며, Case 2의 경우 지점별 수심은 Case 1에 비해 다소 과소산정 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