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흉쇄관절

검색결과 9건 처리시간 0.017초

흉쇄관절에 발생한 화농성 관절염과 결핵성 관절염의 수술적 치료 - 증례 보고 - (The Surgical Treatment of Pyogenic and Tubercular Infection in the Sternoclavicular Joint - Case Report -)

  • 김영율;권종범;이연수;김상일;지종훈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13권1호
    • /
    • pp.99-105
    • /
    • 2010
  • 목적: 흉쇄관절에는 드물게 발생하는 화농성 관절염과 결핵성 관절염에서 조기에 흉쇄 관절의 완전한 절제와 철저한 변연 절제술을 시행하여 그 치료 결과를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03년 9월에서 2008년 9월까지 본원에서 흉쇄관절에서 발생한 2예의 화농성 관절염과 1예의 결핵성 관절염에 대하여 수술적 치료를 시행한 환자들 세 예를 대상으로 진단 및 그 임상적 결과를 평가하였다. 결과: 1년 이상 추시한 단순 방사선 소견 및 혈액 검사상 염증의 소견은 호전되었으며, MRI소견상 원위 쇄골단과 흉골에 골부종과 함께 흉쇄 관절에 경도의 활액막염이나 액체 저류 소견 등이 관찰되었으나, 임상 증상은 호전되었으며 1년 이상 추시하여 더 이상의 재발 없이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결론: 흉쇄관절에서 화농성 관절염과 결핵성 관절염은 드물게 발생하는 질환으로, 진단 시 이미 흉쇄관절 주위의 골로 파급되어 골수염의 소견이 관찰되므로 조기에 흉쇄 관절의 골수염에 대한 완전한 변연 절제술과 철저한 소파술을 조기에 시행하여 만족스러운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흉쇄 관절에 발생된 결핵성 관절염의 수술적 치료 - 2예 보고 - (Operative Treatment of the Tuberculous Arthritis on the Sternoclavicular Joint - A Report of Two Cases-)

  • 박진영;김정우;전철홍;권석현;최윤홍;이석중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11권1호
    • /
    • pp.57-61
    • /
    • 2008
  • 흉쇄 관절의 결핵성 관절염은 매우 드문 질환으로 임상 증상이 뚜렷하지 않기 때문에 진단이 늦어지는 경우가 많다. 흉쇄 관절 부위의 점진적으로 진행하는 동통이나 종창, 미열이 있으면서 결핵의 과거력이 있는 경우에 결핵성 관절염을 의심해야 하고 혈액 검사, 방사선 검사, 조직 검사를 통한 조기 진단이 중요하다. 흉쇄 관절 결핵 관절염의 경우 1년 이상의 항결핵제 투여가 필요하며 증상의 호전이 없거나 증상이 진행되어 흉쇄 관절의 관절 파괴 소견이 보이는 경우 수술적 치료가 필요하게 되는데 수술적 치료 시 흉쇄 관절의 늑쇄골 인대의 손상을 최소화하면서 과도한 변연 절제술로 인해 흉쇄 관절의 주위의 종격동, 늑막 등의 중요 구조물이 손상되는 것을 피해야 한다. 저자들은 경험한 2예의 흉쇄 관절 결핵 관절염에서 변연 절제술로 증상의 호전을 가져온 1예와 변연 절제술 후 종격동 농양, 삼출성 늑막염 등의 합병증이 발생된 1예를 함께 보고하고자 한다.

흉골 골절과 동반된 외상성 흉쇄관절 전방 탈구의 치료 (Treatment of Traumatic Sternoclavicular Joint Anterior Dislocation with a Sternal Fracture)

  • 최성;신동주;황성문
    • 대한정형외과학회지
    • /
    • 제56권1호
    • /
    • pp.76-81
    • /
    • 2021
  • 흉쇄관절의 외상성 탈구는 드문 손상으로 전방 탈구가 후방 탈구에 비하여 흔하다. 후방 탈구는 종격동 구조물을 압박하여 잠재적 위험성이 있다고 잘 알려져 있지만 전방 탈구는 그러한 위험성에 대한 고려가 없었다. 전방 탈구라도 흉골 골절의 전방 각형성과 동반된 경우에 후방 탈구와 마찬가지로 종격동 압박이 발생 가능하며 그로인한 위험성이 있다. 본 저자들은 종격동 압박 증상이 있는 흉골 골절과 동반된 외상성 흉쇄관절 전방 탈구에 대하여 금속판을 이용해 수술적 치료를 시행하였고 비교적 양호한 결과를 얻었다. 이는 국내외에서 매우 드물게 보고되는 사례로 이를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고자 한다.

건강한 성인에서 발생한 일차성 흉쇄 관절 화농성 관절염 - 증례 보고 - (Primary Sternoclavicular Septic Arthritis in a Healthy Adult - A Case Report -)

  • 이우승;김엽;김택선;윤정로;이준호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11권2호
    • /
    • pp.189-192
    • /
    • 2008
  • 흉쇄 관절의 화농성 관절염은 드문 질환으로 정맥주사 약물 남용, 당뇨 그리고 외상 등과 같은 선행성 요인과 연관되어 주로 발생한다. 진단이 지연될 경우 종격동염, 흉벽 농양 등과 같은 위험한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전산화 단층촬영이나 자기공명영상 검사 등을 시행하여야 하고 종격동염 및 흉벽 농양 등과 같은 합병증 발생 시는 흉쇄 관절 절제술을 고려하여야 한다. 저자들은 감염 유발 소인이 전혀 없는 건강한 52세 남자에서 발생하였으며 균 배양 검사상 포도상구균으로 동정되었고 감수성 항생제인 cefminox(첫 4주는 정맥주사, 그 후 2주는 경구투여)만으로 치유되었던 일차성 흉쇄 관절 화농성 관절염에 대해 보고하는 바이다.

흉쇄관절 탈구에 대한 경피적 강선고정술후 발생한 동정맥루 -1례 보고- (Arteriovenous Fistula After Percutaneous Pinning of Sternocalvicular Joint - 1 case report -)

  • 성후식;하종곤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1권6호
    • /
    • pp.615-618
    • /
    • 1998
  • 체 동-정맥루는 보기 드물지만 과운동성 순환을 일으켜, 미발견시 울혈성 심부전증까지 야기시키는 원인질환중 하나이다. 본 교실에서는 아주 희귀한 후천성 동-정맥루 1례를 경험하였다. 환자는 61세 여자로 우측 흉쇄관절 탈구에 대한 경피적 강선고정술후 울혈성 심부전증을 나타내었다. 수술은 대동맥과 무명정맥사이에 발생한 동-정맥루를 폐쇄하고, 심한 삼첨판 폐쇄부전에 대한 삼첨판 판륜성형술을 동시에 시행하였다. 술후 환자는 증상으로부터 완전히 회복되어 퇴원하였으며, 약 2년 6개월 추적기간중 상태 양호하다.

  • PDF

전기화상 환자에서 발생한 흉쇄관절의 감염 - 증례 보고 - (Infection on Sternoclavicular Joint in Electrical Burn - Case Report -)

  • 라종득;장영수;박현수;정태원;진현배;김경훈;이병훈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9권2호
    • /
    • pp.242-245
    • /
    • 2006
  • Infection on sternoclavicular joint after electrical burn is rare. No case was reported previously in Korea. Even though the disease is rare, we treated the case successfully with intravenous antibiotics followed by curettage and drainage. Successful treatment was achieved in the case of infection on sternoclavicular joint after electrical burn.

흉쇄관절 전방변위 추나치료 1례 (Anterior Translation of Sternoclavicular Joint Chuna Treatment: A Case Report)

  • 류헌식;윤창준;박동수;이수길
    • 척추신경추나의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77-84
    • /
    • 2007
  • Objectives : This report is to investigate clinical effects of Chuna treatment on anterior translation of sternoclavicular joint. Methods : The female Patient, 50 years old, had anterior translation of sternoclavicular joint and the local pain. We treated the patient with Chuna treatment. In order to evaluate the improvement, Degrees of pain were measured with Visual Analogue Scale(VAS), and the change of anterior translation was assessed with anterior height of clavicle head. Results : After 3 weeks treatment, In VAS, Degrees of pain decreased 10 to 2. and Anterior height of clavicle head decreased 15mm to 5mm. Conclusions : Chuna treatment is effective on treating anterior translation of sternoclavicular joint and the local pain.

  • PDF

심장 및 대동맥내 이물 치험 1례 (Intracardiac a Aortic Foreign Body)

  • 방정희;편승환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0권9호
    • /
    • pp.932-935
    • /
    • 1997
  • 우측 흉쇄관절탈골로 진단되어 Kirsckler wire로 고정 3개월후 wire의 이동으로 우심실과 대동맥내 이물 및 가성대동맥류를 가진 50세 남자환자에서 이들의 제거를 위해 수술을 시행하였다. 심폐기 가동후 우심실에서 우측폐동맥판막을 관통하여 폐동맥쪽으로 돌출되어 있는 K-wire를 제거하고 상행대동맥 부분점자후 또 다른 K-WiTG를 제거하고 폐동맥판막천공은 일차봉합하고 대동맥 벽은 전층으로 봉합하였다. 환자는 술후 14일째 특별한 합병증 없이 퇴원하였다.

  • PDF

경부절제술과 술후 시행된 PET/CT상의 흉쇄관절 섭취 증가의 상관관계 분석 (A correlation between comprehensive neck dissection and increased uptake around the sternoclavicular joint on post-operative 18F-FDG PET/CT)

  • 오소원;이도영;김보해;김광현;김유경;정영호
    • 대한두경부종양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21-27
    • /
    • 2018
  • Background/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changes of uptake around the sternoclavicular joint (SCJ) according to 18F-FDG PET images in patients with head and neck cancer who underwent neck dissection. Materials & Methods: Retrospectively, the medical records of patients who received selective or comprehensive neck dissection were reviewed. Preoperative and 1-year postoperative 18F-FDG PET images, if available, were analyzed by nuclear medicine physicians in both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manners. Correlation between the changes of uptake around SCJ and perioperative data were statistically analyzed. Results: Thirty-seven patients satisfying the inclusion criteria were enrolled. Seven patients with increased uptake around SCJ on 1-year postoperative 18F-FDG PET showed a correlation with radical or comprehensive neck dissection, accessory nerve sacrifice, and high postoperative SUVmax. When 20 patients with increased uptake around SCJ according to quantitative measurement were compared with other patients without increased uptake, no parameter was significantly different, except postoperative SUVmax. Bivariat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the clinical symptom (shoulder or sternal pain)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extent of neck dissection (OR 0.227, CI 0.053-0.966, p=0.045) and spinal accessory nerve sacrifice (OR 13.500, CI 1.189-153.331, p=0.036). Conclusions: Increased uptake around SCJ on 1-year postoperative 18 F-FDG PET was correlated with either the radical or comprehensive procedure, as well as with accessory nerve sacrifice. This suggests that subjective analysis of 18F-FDG PET can be used to detect subclinical shoulder instabil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