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휴대폰 활용

Search Result 402,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TEM 도파관을 이용한 전자파 장해 측정 연구 및 표준화 동향

  • 권종화
    • The Proceeding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omagnetic Engineering and Science
    • /
    • v.13 no.1
    • /
    • pp.51-62
    • /
    • 2002
  • EMI/EMS 측정을 위해서는 주변 전자파 잡음(background noise)이 낮은 야외시험장(Open Area Test Site)이 가장 바람직하나, 근래 전자(전기 기기 사용의 증가와 방송.무선통신 시스템의 다양화로 인한 인공잡음(artificial noise)의 증대로 조건에 부합된 부지 선정이 어렵고, 설치 비용이 매우 크며 날씨 변화에 따라 시험 계획이 변경 될 수도 있는 단점이 있다. 전자파 분-무반사실(Semi Anechoic Chamber)은 대부분의 환경 잡음을 감쇠시키므로 야외시험장처럼 장소의 구애를 받지 않아 도시나 혹은 제품 생산지 가까이에 설치 운용이 가능하다. 그러나 큰 설치 공간과 많은 시설 유지 비용을 필요로 하며, 저주파 대역에서는 반사에 의한 공진을 완전히 제거할 수 없어 성능이 떨어진다. 또한, 최근 컴퓨터 CPU의 동작주파수가 급속하게 높아지고 PCS, IMT-2000 등과 같은 이동전화의 사용주파수도 계속해서 높아짐에 다라 미연방통신위원회(Federal Communication Commission)에서는 5㎓까지의 복사 방출 시험을 요구하고 있다. IEC 61000-4-3 복사 내성 시험규격도 휴대폰 주파수인 2㎓까지 확장되었으며 IMT-2000, Bluetooth 등 새로운 이동통신서비스가 속속 개발됨에 따라 18㎓ 까지 시험 주파수가 확장되는 추세이다. 그러나, 현재 국내 각 연구실에서 보유하고 있는 야외시험장이나 전자파 반-무반사실의 경우 1㎓이상에서의 시험이 곤란하여 수 ㎓주파수대역에서 시험이 가능한 복사 및 내성시험 시설이 필요하게 되었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대용 측정 시설 중 대표적인 것이 TEM 셀이나 GTEM셀과 같은 TEM 도파관(waveguide) 형태의 장비들이다. 이들은 본래 EMS 측정을 위한 장비이지만 협소한 공간이나 외부와의 전자파 간섭의 우려가 없고, 설치가 비교적 자유로워 여러 연구기관에서 도파관 원리를 이용한 측정 방식을 연구(개발하여 범용적인 전자파 적합성 측정 장비로서 활용하고 있다. 야외시험장과 무반사실 등이 안테나에 의한 피시험기기 주변 공간에서의 1점 측정으로 인해 시험 시간이 많아 소요되는 공통적인 단점이 있는 반면, TEM 도파관에 의한 측정은 일단 피시험기기의 모델링 정보만 얻어지면 계산에 의해 EMI 측정을 바로 할 수 있다. <표 1>에서 현재 상용화되어 사용되고 있는 TEM/GTEM 셀, 야외 시험장 및 전자파 무반사실에 대해 EMI 측정과 관련된 몇 가지 사안에 대해 비교하였다. 본 문서에서는 야외시험장이나 전자파 반-무반사실 등과 같은 기존 EMI/EMS 측정 시설의 단점을 보완하고, 광대역 특성을 갖는 대용 측정 시설로서의 TEM 도파관에 대해 소개하고 야외시험장 결과와의 상관관계 알고리즘 및 표준화 동향에 대해 기술하였다. 2절에서는 대표적인 TEM 도파관 구조의 측정 시설인 TEM 셀과 GTEM 셀의 전기적.구조적 특징에 대해 간단히 기술하고, 3절에서는 TEM 셀과 GTEM 셀에서이 측정결과를 이용하여 야외 시험장 결과를 얻어내는 상관관계 알고리즘에 대해 기술하였다. 4절에서는 IEC/CISPR와 TC77에서의 표준화 활동을 중심으로 현재 진행중인 TEM 도파관 관련 표준화 동향과 내용에 대해 기술하고자 한다.

Empirical Study on Brand Authenticity Building Utilizing Product Quality (품질을 활용한 브랜드 진정성 구축에 대한 실증적 연구)

  • Koh, Inkon
    •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and Entrepreneurship
    • /
    • v.15 no.5
    • /
    • pp.235-243
    • /
    • 2020
  • The more consumers feel the brand as authentic, the better the brand image and the higher the purchase intention, so companies actively seek to build brand authenticity. On the other hand, the quality of products perceived by consumers comprehensively in consideration of various factors such as performance, durability, and materials can affect brand authentic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useful implications by building a research model for quality and brand authenticity from a marketing point of view, and empirical analysis. For this, product quality and brand authenticity were theoretically def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m was identified, and ultimately the influence of these concepts on brand image was examined. In detail, a survey was conducted on a total of 286 consumers to find out the quality of the product, authenticity of the brand, and brand image, and the product to be surveyed was S20, the latest mobile phone of S Electronics. As a result of empirical analysis, although quality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brand authenticity, the degree was not greater than expected. In addition, quality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brand image, and its degree was large, but when quality and brand authenticity were considered together, it was found that the regression coefficient of brand authenticity was larger than that of quality. This means a partial mediating effect of brand authenticity. Therefore, in order to enhance the brand image and purchase intention of SMEs/Venture companies, a strategy that build brand authenticity simultaneously in consideration of the components presented in this study will be more effective than a strategy that focuses only on quality. This study proposes a variety of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by empirically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brand authenticity and brand image perceived by consumers through quality from a marketing perspective, based on a research model that was not discussed in previous studies. In particular, this study proposes a plan to build brand authenticity from the perspective of SMEs/Ventures.

Lifetime test of batteries for BLE modules for site identification of vessel's crews and passengers (SIVCP) (SIVCP용 BLE 모듈의 배터리 수명시험)

  • Kwon, Hyuk-joo;Kim, Min-Gwon;Kim, Yoon-Sik;Lee, Sung-Geun
    • Journal of Advanced Marin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v.39 no.7
    • /
    • pp.754-759
    • /
    • 2015
  • Nowadays,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systems with low power energy (LPE) are developed for identification and monitoring of site identification of vessel crews and passengers (SIVCP). LPE communication modules, such as Bluetooth low energy (BLE) and Zigbee, are used for short distance communications with LPE. These modules enable 1:N communications and their popularity is growing since the modules can be mounted on movable objects, such as mobile devices and human body. When these modules are used, the important factor that affects their operation time and design are the capacity and size of battery. Therefore, they must be made as small as possible, and the battery should be selected to be slightly smaller than the module. In this study, we calculate the theoretical life of batteries used in SIVCP BLE modules using data sheet and discharge characteristic graph under the condition of a 1/250 transmission-ratio (TR). We thus calculate experimental life by measuring transmission current for the same TR, and low speed mode current for a 1/5000 TR and measure long-term experimental life using 1/25 TR for days. Through these experiments, we verify experimental methods for the prediction and extension of battery life that would enable us to select appropriate sizes of batteries based on vessel usage and passenger types. The selections of the module TR and battery size are important factors affecting the cost reduction of module design, the battery maintenance, and passenger convenience.

Implementation of a Spam Message Filtering System using Sentence Similarity Measurements (문장유사도 측정 기법을 통한 스팸 필터링 시스템 구현)

  • Ou, SooBin;Lee, Jongwoo
    • KIISE Transactions on Computing Practices
    • /
    • v.23 no.1
    • /
    • pp.57-64
    • /
    • 2017
  • Short message service (SMS)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communication methods for people who use mobile phones. However, illegal advertising spam messages exploit people because they can be used without the need for friend registration. Recently, spam message filtering systems that use machine learning have been developed, but they have some disadvantages such as requiring many calculations. In this paper, we implemented a spam message filtering system using the set-based POI search algorithm and sentence similarity without servers. This algorithm can judge whether the input query is a spam message or not using only letter composition without any server computing. Therefore, we can filter the spam message although the input text message has been intentionally modified. We added a specific preprocessing option which aims to enable spam filtering. Based on the experimental results, we observe that our spam message filtering system shows better performance than the original set-based POI search algorithm. We evaluate the proposed system through extensive simulation. According to the simulation results, the proposed system can filter the text message and show high accuracy performance against the text message which cannot be filtered by the 3 major telecom companies.

정전용량방식 터치패널용 강화유리 기판상 패턴 인비저블 ITO 투명전도막 제조 및 특성 (II)

  • Son, Yeong-Ho;Lee, Jong-Geun;Choe, Seung-Hun;Choe, Jeong-Gyu;Kim, Jin-Ha;Lee, Dong-Min;Jeong, Ui-Cheon;Chae, Jin-Gyeong;Park, Jung-Jin;Jeong, Myeong-Hyo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2.02a
    • /
    • pp.290-290
    • /
    • 2012
  • 터치패널은 키보드나 마우스와 같은 입력장치를 사용하지 않고, 스크린에 손가락, 펜 등을 접촉하여 입력하는 방식이다. 누구나 쉽게 입력할 수 있는 장점으로 인해 기존에는 현금인출기, 키오스크 등 공공분야에 주로 많이 사용되어 왔으나, 최근의 터치스크린은 휴대폰, 게임기, 네비게이션, 노트북 모니터 등 개인정보기기의 입력장치로 활용분야가 넓어져가고 있다. 기존 터치패널은 유리 기판 위에 ITO박막(투명전도막)을 진공코팅하여 사용하여 왔지만, 최근 터치패널은 경량화를 고려하여 PET 필름 기판 위에 ITO 박막을 진공코팅하여 사용하고 있다. PET 필름의 유연성 때문에 ITO 코팅된 필름을 PC 혹은 강화유리 위에 OCA 물질을 이용하여 다시 고정하여야 한다. 이때 터치패널 제작시 생산공정이 늘어나 생산성이 떨어지고, 터치패널의 광투과율도 떨어지는 2차적인 문제가 발생한다. 이를 해결코자하는 터치페널 업체의 Needs가 있고, 최근에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PC, 강화유리 그리고 COP 기판 위에 ITO 박막을 직접 진공코팅하는 공정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ITO 박막은 진공코팅 중에 열을 가하여 결정화를 이루어야 하는데, PC, 강화유리 그리고 COP 기판의 열에 약한 특성을 고려하여, 열을 가하지 않고 ITO 박막을 진공 코팅하여야 한다. 이러한 ITO 박막의 진공코팅 공정에는 In-line magnetron sputtering system이 사용된다. 본 연구에서는 In-line magnetron sputtering system을 사용하여 강화유리 기판위에 정전용량방식 터치패널용 패턴 인비저블 ITO 투명전도막을 제작하고 그 특성을 조사하였다. ITO 박막의 면저항은 230O hm/cm2, 최고 광투과율은 90.96%(@541-543nm), 그리고 550 nm에서 광투과율은 90.45%로 ITO 박막 코팅 전후에 투과율 차이가 0.4임을 확인하였다.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패널에서는 ITO 박막 코팅 전후에 투과율 차이가 1 이하의 특성, 즉 패턴 인비저블의 특성을 필요로 하는데, 이는 ITO 박막 패턴후에 패턴이 보이지 않게 하기 위해서이며, 이러한 시장의 Needs를 고려하면 본 연구에서 매우 중요한 연구 성과를 얻었다고 말할 수 있다. 그리고 면저항 기준 150에서 230Ohm/cm2 사이 여러 종류의 ITO 투명전도막을 제작하고 그 특성을 조사하여, 이를 논하고자한다. (본 연구는 지식경제부 사업화연게기술개발 연구지원금으로 일부 이루어졌음).

  • PDF

소다라임 유리기판상 다층박막 (SiO2/Nb2O5/SiO2/Nb2O5/SLG) 증착 및 저반사 특성 연구

  • Choe, Seung-Hun;Park, Jung-Jin;Lee, Jong-Geun;Choe, Jeong-Gyu;Kim, Jin-Ha;Lee, Dong-Min;Jeong, Ui-Cheon;Chae, Jin-Gyeong;Jeong, Myeong-Hyo;Son, Yeong-Ho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2.02a
    • /
    • pp.289-289
    • /
    • 2012
  • 터치패널은 키보드나 마우스와 같은 입력장치를 사용하지 않고, 스크린에 손가락, 펜 등을 접촉하여 입력하는 방식이다. 누구나 쉽게 입력할 수 있는 장점으로 인해 기존에는 현금인출기, 키오스크 등 공공분야에 주로 많이 사용되어 왔으나, 최근의 터치스크린은 휴대폰, 게임기, 네비게이션, 노트북 모니터 등 개인정보기기의 입력장치로 활용분야가 넓어져가고 있다. 최근의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패널은 디스플레이 패널 위에 올여지는 형태의 Add on type이며, 테블렛의 출현으로 터치패널의 사이즈가 커지면서 인듐산화물 투명성 전도막의 두께가 두꺼워지고, 이로 인하여 광학적 특성인 투과율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하여 투과율을 높여주기 위한 새로운 전도박막 제조방법이 요구되는 상황이다. 현재의 고글절 산화물(TiO2)과 저굴절 산화물(SiO2)의 적층형태의 저반사 특성의 다층막은 주로 플라즈마 보조의 전자빔 증착기를 이용하여 제조되기 때문에, 저반사 특성이 우수하지만 대면적 크기의 대량생산에는 적합하지가 않다. 그리고 태양전지의 에너지 변환효율도 태양전지로 흡수되는 태양광의 량에 크게 의존하기 때문에, 태양전지로 흡수되는 태양광 량을 높이기 위하여 태양전지의 가장 위층에 혹은 모듈 제작시 커버유리의 내부에 저반사 특성을 갖는 박막을 코팅한다. 특히 박막태양전지의 경우는 대면적의 유리위에 저반사 코팅을 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In-line magnetron sputtering system을 사용하여 소다라임 유리 기판 위에 고글절 산화물(Nb2O5)과 저굴절 산화물(SiO2)의 2층 적층형태의 "SiO2/Nb2O5/SiO2/Nb2O5/SLG" 다층 박막을 증착하고, 저반사의 광학적 특성을 하였고, 이를 논하고자한다. 일반적으로 빛이 투과되는 투명한 기판이 공기층에 노출되어있을 경우에 기판의 양면에서 공기층과의 계면에서 각각 4%의 반사율 즉, 총 8%의 반사율을 갖는데, 본 연구의 다층 박막에서는 530에서 540nm 파장 영역에서 투과율은 95% 이상, 반사율은 4.8% 이하이었다. 이 결과는 터치패널과 박막태양전지 시장의 Needs에 대응할 수 있기 때문에 산업의 응용측면에서 매우 중요한 연구 성과를 얻었다고 말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지식경제부 사업화연게기술개발 연구지원금으로 일부 이루어졌음).

  • PDF

정전용량방식 터치패널용 강화유리 기판상 패턴 인비저블 ITO 투명전도막 제조 및 특성

  • Son, Yeong-Ho;Jeong, Myeong-Hyo;Choe, Seung-Hun;Choe, Jeong-Gyu;Kim, Jin-Ha;Lee, Dong-Min;Lee, Jang-Hui;Jeong, Ui-Cheon;Kim, Jeong-Hun;Chae, Jin-Gyeong;Park, Jung-Jin;Lee, Jong-Ge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1.08a
    • /
    • pp.219-220
    • /
    • 2011
  • 터치패널은 키보드나 마우스와 같은 입력장치를 사용하지 않고, 스크린에 손가락, 펜 등을 접촉하여 입력하는 방식이다. 누구나 쉽게 입력할 수 있는 장점으로 인해 기존에는 현금인출기, 키오스크 등 공공분야에 주로 많이 사용되어 왔으나, 최근의 터치스크린은 휴대폰, 게임기, 네비게이션, 노트북 모니터 등 개인정보기기의 입력장치로 활용분야가 넓어져가고 있다. 기존 터치패널은 유리 기판 위에 ITO박막(투명전도막)을 진공코팅하여 사용하여 왔지만, 최근 터치패널은 경량화를 고려하여 PET 필름 기판 위에 ITO 박막을 진공코팅하여 사용하고 있다. PET 필름의 유연성 때문에 ITO 코팅된 필름을 PC 혹은 강화유리 위에 OCA 물질을 이용하여 다시 고정하여야 한다. 이때 터치패널 제작시 생산공정이 늘어나 생산성이 떨어지고, 터치패녈의 광투과율도 떨어지는 2차적인 문제가 발생한다. 이를 해결코자하는 터치페널 업체의 Needs가 있고, 최근에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PC, 강화유리 그리고 COP 기판 위에 ITO 박막을 직접 진공코팅하는 공정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ITO 박막은 진공코팅 중에 열을 가하여 결정화를 이루어야 하는데, PC, 강화유리 그리고 COP 기판의 열에 약한 특성을 고려하여, 열을 가하지 않고 ITO 박막을 진공 코팅하여야 한다. 이러한 ITO 박막의 진공코팅 공정에는 In-line magnetron sputtering system이 사용된다. 본 연구에서는 In-line magnetron sputtering system을 사용하여 강화유리 기판 위에 정전용량방식 터치패널용 패턴 인비저블 ITO 투명전도막을 제작하고 그 특성을 조사하였다. ITO 박막의 면저항은 230 Ohm/cm2, 최고 광투과율은 90.96% (@541 - 543 nm), 그리고 550 nm에서 광투과율은 90.45%로 ITO 박막 코팅 전후에 투과율 차이가 0.4임을 확인하였다. 정전용량방식의 터치패널에서는 ITO 박막 코팅 전후에 투과율 차이가 1 이하의 특성, 즉 패턴 인비저블의 특성을 필요로 하는데, 이는 ITO 박막 패턴후에 패턴이 보이지 않게 하기 위해서이며, 이러한 시장의 Needs를 고려하면 본 연구에서 매우 중요한 연구 성과를 얻었다고 말할 수 있다.

  • PDF

Evaluation of Stability of Double Threaded Implant-Emphasis on Initial Stability Using Osstell MentorTM; Part I (이중나사산 임플란트의 안정성에 대한 평가 - 오스텔 멘토를 이용한 초기 안정성 ; PART I)

  • Kim, Si-Yeob;Kim, Byung-Kook;Heo, Jin-Ho;Lee, Ju-Youn;Jeong, Chang-Mo;Kim, Yong-Deok
    • Journal of Dental Rehabilitation and Applied Science
    • /
    • v.23 no.4
    • /
    • pp.327-336
    • /
    • 2007
  • Purpose This study was planned to compare and evaluate the stability of implant using $Osstell^{TM}$ and Osstell $Mentor^{TM}$. Material and methods Artificial bone and RBM(resorbable blasting media) surface blasted implants(Osstem US II, SS II implants - diameter: 4mm, length: 13mm) were used. To measure the stability of installed implants, $Osstell^{TM}$ and Osstell $Mentor^{TM}$ were used. In the first experiment, five implants were installed in D1(external type implants) and D3(internal type implants). In the second experiment, 4 internal type implants were divided in two groups and installed in D1 artificial bone with different depth. In the third experiment, two external implants were installed in D1 and D3 artificial bone each and two internal implants were installed in D1 and D3 artificial bone. In all groups, their stability were measured by $Osstell^{TM}$ and Osstell $Mentor^{TM}$. Results In all groups, $Osstell^{TM}$ and Osstell $Mentor^{TM}$ both showed reliable measurement values. The value difference between $Osstell^{TM}$ and Osstell $Mentor^{TM}$ was observed but the difference was small and clinically acceptable.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use of Osstell $Mentor^{TM}$ has clinical relevance in the assessment of implant stability.

A Cross-Cultural Study on the Interaction of Participants in the Online Community Using Social Network Analysis (사회적 네트워크 분석을 이용한 온라인 커뮤니티의 참가자 상호작용에 대한 비교 문화적 연구)

  • LEE, HYEJUN;LEE, DONG IL;WOO, WONSEOK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4 no.9
    • /
    • pp.73-87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ultural difference between eastern and western culture in the online community in view of Hofstede dimensions of national culture through social network analysis. And this study tries to interpret the cultural dimensions by using social network indexes. The results show every cultural dimension offered conflicting results except uncertainty avoidance. The eastern culture shows individualism, and low power distance compared to western culture in the online community. Moreover the communication speed of eastern culture is faster than western culture. But eastern culture shows high uncertainty avoidance in the online community similar to an offline culture. This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because of certain differences between the offline and online culture, the typical framework we use to analyze offline culture should not be applied to analyze online culture. Therefore we believe that the most important contribution of this study should be related with the finding that we need very different approach to be able to correctly understand the prevalent culture in the online community than the one that we use in the offline community.

A Key Management Scheme without Re-encryption for Home-domain Contents Distribution in Open IPTV Environments (Open IPTV 환경에서 재암호화 과정 없는 댁내 컨텐츠 분배를 위한 키관리 기법)

  • Jung, Seo-Hyun;Roh, Hyo-Sun;Lee, Hyun-Woo;Yi, Jeong-Hyun;Jung, Sou-Hwan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 /
    • v.15 no.7
    • /
    • pp.57-66
    • /
    • 2010
  • Due to the advancement of IPTV technologies, open IPTV services are a step closer to becoming reality. In such service environment, users are able to enjoy IPTV services using a variety of devices available at their home domain. However, it is impossible to get such flexible services at their convenience unless each of devices is individually connected to Set-Top-Box (STB) because of Conditional Access System (CAS) or service providers otherwise allow STB to freely distribute decoded contents to every user devices attached to STB. In this paper, we propose a key management scheme for securely distributing contents from STB to multiple user devices at home domain. The proposed scheme also makes the service providers be able to control the access rights to each of user devices without installing individual STBs. It is achieved by computationally dividing a private key of RSA signature scheme into three parts and thus makes possible to distribute the contents scrambled through a underlying CAS mechanism without re-encrypting them that the existing scheme should employ. It improves significantly computation and communication complexities, maintaining it as secure as the existing schemes. Additionally, it prevents misbehaving users from illegally distributing the contents from STB to their devices available at home doma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