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휴대전화 의존

검색결과 25건 처리시간 0.024초

청소년의 정서문제 및 휴대전화의존과 학교생활적응과의 관계연구 -선택이론의 관점에서- (A Study on the Relation between Adolescent's Emotional Problems, Smart phone Dependency and School Life Adjustment -from a perspective of choice theory-)

  • 박인아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7권5호
    • /
    • pp.263-268
    • /
    • 2016
  • 본 논문은 Glasser(1998)의 선택이론 관점에서 청소년의 정서문제와 휴대전화의존 그리고 학교생활적응의 관계구조를 검증함으로 청소년의 학교생활적응 향상을 위한 실천방안을 도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한국 아동 청소년 패널자료 중 2차년도 자료가 활용되었다. 분석대상은 중학생 2,075명으로 남학생 1,015명(48.9%), 여학생 1,060명(51.1%)이었고, 가설검증을 위하여 구조방정식 모형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청소년의 학교생활적응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공동체의식이었고, 선택이론을 근거로 청소년의 정서문제가 학교생활적응과 휴대전화의존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청소년의 휴대전화의존은 정서문제와 학교생활적응 간의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청소년의 학교생활적응의 향상을 위해 공동체의식 함양, 휴대전화의존과 정서문제를 완화를 위한 상담 프로그램 개발 및 상담교사 증원과 비정규직의 개선 등을 논의하였다.

잠재프로파일분석을 통한 초등학생의 휴대전화 이용유형분류와 의존도의 관계 검증 (Classifying Latent Profiles in Mobile Phone Usag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Verifying the Relationship with Mobile Phone Dependency)

  • 정규형;이민주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8호
    • /
    • pp.283-289
    • /
    • 2019
  • 본 연구는 초등학생들을 휴대전화 이용유형에 따라 잠재계층으로 분류하고 휴대전화 의존도와의 관계를 검증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2016년 한국 아동 청소년 패널조사의 초등학교 1학년 패널 자료를 사용하여 휴대전화 이용유형에 따른 잠재프로파일분석을 실시한 결과, 1)가족&친구 집중형, 2)가족집중 저수준형, 3)필수이용형의 3개 유형으로 나뉘어졌다. 휴대전화 이용 유형과 휴대전화 의존도의 관계를 검증하기 위한 다중회귀분석결과 1)가족&친구 집중형보다 2)가족집중 저수준형일수록 휴대전화 의존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3)필수이용형보다는 1)가족&친구 집중형일수록 휴대전화 의존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나, 휴대전화 이용유형이 휴대전화 의존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휴대전화 사용의 초기단계에 있는 초등학생을 위한 올바른 휴대전화 이용과 과의존 예방을 위한 개입 방안에 대한 근거를 제공하고 있다. 끝으로 본 연구의 의의 및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부모의 긍정적 양육방식이 휴대전화 의존도에 미치는 영향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와 성별 조절효과의 융합적 접근- (The Effect of Positive Parenting Attitude on Mobile Phone Dependency -A convergent approach to the Mediating Effects of Ego-Resiliency and Gender-Moderating effects-)

  • 권오형;문재우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8권4호
    • /
    • pp.145-152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들의 휴대전화 의존도를 낮추는 방향을 모색하는데 있다. 2013년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KCYPS) 초등학교 4학년 4차중 중학교 1학년 1,972명의 자료가 사용되었다. 본 연구에는 SPSS 21.0이 사용되었다. 기술통계 분석, 신뢰도 분석, 상관 분석 및 다중회귀 분석을 통하여 부모의 긍정적 양육방식과 휴대전화 의존도 사이에서 갖는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와 성별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 부모의 긍정적 양육 방식은 자아탄력성에 정(+)의 영향을 미치나 휴대전화 의존도에는 부(-)의 영향을 미쳤다. 자아탄력성은 휴대전화 의존도에 부(-)의 영향을 미치며, 두변수 사이에서 매개역할을 했다. 성별은 두 변수 사이에서 조절역할을 했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부모와 자녀에게 과도한 휴대전화 의존도로부터 발생할 수 있는 문제에 대처할 수 있는 방향을 제시했다.

부모의 양육태도와 또래관계 속성이 아동의 휴대전화 의존도 및 활용유형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parental child-rearing attitudes and peer relationships on children's mobile phone dependency and use type)

  • 임양미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63-174
    • /
    • 2014
  • This study aimed to discriminate the groups clustered by mobile phone dependency and use type and to explore the quality of parent child-rearing attitudes and peer relationships predicting the types of groups. The subjects were the 688 fourth-grade students participating in the Korea Child Youth Panel Surveys. The data were analyzed with descriptive statistics, cluster analysis, One-way ANOVA and multinominal logistic regressions.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ly, as the result of cluster analysis inputting the mobile phone dependency and use type, the four clustered groups were produced. Secondly, the quality of parent child-rearing attitudes and peer relationships discriminating the four groups were parents' supervision, over-involvement, love, senses of non-alienation from peers and communicating with them. Therefore, this study suggested the parent education and peer-relationship improving program to form children's good habits of mobile phone use.

성별과 학교급에 따른 휴대전화 과다사용의 차이 (Comparing the Mobile-phone Overuse by Gender and School Levels)

  • 윤미선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1호
    • /
    • pp.1-9
    • /
    • 2017
  • 이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성별과 학교급별 휴대전화 과다사용의 차이를 규명하는 것이다. 연구를 위해 경기도 소재의 남녀공학 중 고등학교를 각 1개씩 편의표집하고, 휴대전화 과다사용을 측정하는 자기보고식 검사지를 이용하여 자료 수집하였으며, 565명의 자료 중 휴대전화 과다사용 수준이 표본 평균보다 높은 253명을 추출하여 일원다변량분산분석을 통해 연구문제를 검증하였다. 다변량분산분석결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추가적인 단변량 분석 결과에서 성별에 따른 차이는 '일상생활장애'와 '내성' 요인에, 학교급에 따른 차이는 '학교생활장애', '일상생활장애', '긍정적기대' 요인에 대한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단계적 분석을 적용할 경우 성별 차이는 '일상생활장애'에서, 학교급별 차이는 '긍정적기대'를 제외한 4개 요인에서 통계적 유의성이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통해 휴대전화 과다사용 예방과 치료에 있어서 성별과 학교급과 같은 사용자의 기본 특성이 고려되어야 함을 논의하였다.

아동의 휴대전화 의존과 학습행동 통제 간의 관계에서 부모감독의 조절효과 (Moderating Effects of Parental Monitoring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Dependency on Mobile Phones and Control of Learning Behavior)

  • 조윤주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51권2호
    • /
    • pp.253-261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oderating effects of parental monitor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dependency on mobile phones and control of learning behavior. The data came from the 2010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N = 1,609) conducted by the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The analysis method used wa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by using SPSS 17.0 and AMOS 7.0. To test the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s, Ping's two-step technique, which is free from the requirement of nonlinear constraints, was used. Our results demonstrated that children's dependency on mobile phones had negative effects on control of learning behavior, and the interaction effects between such dependency and parental monitoring affected the control of learning behavior. Thus, these results proved the moderating effects of parental monitoring in the control of learning behavior. This study suggests that parental monitoring buffers against having difficulties to control and adjust one's behavior associated with control of learning behavior, which is affected by the dependency on mobile phones among children. We discussed that the risks of children's dependency on mobile phones and parental monitoring should be acknowledge as a significant protective factor.

초기청소년의 학교적응과 휴대전화 의존도간의 관계에서 방과후 보호자부재의 조절효과 (The Moderating Effect of After-School Caregiver Absence between School Adjustment and Mobile Phone Dependency in Early Adolescence)

  • 김신아;한윤선
    • 아동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147-162
    • /
    • 2015
  • This study examined the role of after-school caregiver abs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chool adjustment and mobile phone dependency during early adolescence. Sixth grade students(N=1,863) from the nationally representative Korea Child and Youth Panel Study were analyzed using moderated multiple regression models. The results showed that higher school adjustment may be effective in reducing youth mobile phone dependency. There was also a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between school adjustment and high caregiver absence, indicating that the protective role of school adjustment concerning mobile phone dependency may be less effective among youth of highest risk. Policy implications of the results are also discussed.

스마트 교육을 위한 청소년 우울, 부모양육행동, 또래관계 및 휴대폰 의존도의 구조적 관계 연구 (A Study on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Adolescents' Depression, Parenting Style, Peer Relation, and Cell Phone Dependency for Smart Learning)

  • 장지우;허균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18권4호
    • /
    • pp.89-97
    • /
    • 2017
  • 본 논문은 스마트 교육을 위한 청소년의 우울과 휴대폰 의존도, 부모의 양육행동, 또래관계의 구조적 관계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또 청소년의 우울과 휴대폰 의존 관계에서 부모양육행동과 또래관계의 매개적 효과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한국아동, 청소년패널 조사(KCYPS) 6차년도 중1패널의 자료 중 총 1897명의 청소년 응답과 보호자의 설문데이터를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자료분석을 위해 SPSS와 Amos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대상 변인들의 상관 및 기술통계분석을 위해서 SPSS을 사용하였고 부모의 양육행동의 경로분석과 매개효과 검증을 위해 구조방정식을 이용하였다. 검증결과, 청소년의 우울과 부모의 양육행동은 청소년의 휴대폰 의존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청소년의 우울은 부모의 양육행동을 통해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부분 매개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하지만 또래관계의 매개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청소년의 휴대전화 의존을 예방하기 위한 방안과 스마트 교육 개발시 유의점에 등에 대해 논의하였다.

아동의 성별 휴대전화 의존도와 사용 목적별 사용 수준, 개인적 및 대인관계 발달간의 관계 분석 (An Analysis of the Relations among Cellular Phone Dependency, Its Use Levels of Usage Purposes, and Individual and Interpersonal Relations Development in Children by Gender)

  • 천희영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31권6호
    • /
    • pp.83-96
    • /
    • 2013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differences in cellular phone dependency and its use levels of usage purposes according to children's gender, and also to analyze the differences in individual and interpersonal relations development due to cellular phone dependency in children based on gender. Using the first year data of the Korean Child and Youth Panel Survey(KCYPS) 2010, this study analyzed 1,604 fourth graders who have their own cellular phones. For statistical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were calculated and mean difference analyses were conducted.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boys and girls in cellular phone dependency. The girls' total phone use level was higher than that of boys and meaningful gender differences in the phone use levels were found in the five phone usage purposes. In both boys and girls, the higher phone dependency groups demonstrated higher levels of phone use in more than eight usage purposes, lower self-resilience and self-regulating learning ability, and less positive peer and teacher relations. These findings show the importance of being concerned about and educating children in the fourth grade about the proper uses of cellular phones.

초등학생의 자기통제력 및 사회적 지지가 휴대전화 의존성에 미치는 영향 (A Study on the Effects of Self Control and Social Support on the Mobile Phone Dependence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 박정아;정지나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24권6호
    • /
    • pp.769-781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self control and social support on the mobile phone dependence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subjects were 392 children(187 boys, 205 girls) in 5, 6th grade from two elementary schools in Gyeonggi-do. The mobile phone dependence was assessed by the Mobile Phone Dependence Scale(Ko Seong-Ja, 2012), self control was measured by the Self-control Scale(Nam hyeon-mi, 1999) and social support was assessed by the Social Support Scale(Han mi hyun, 1996).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Pearson correlations and hierarchical regressions.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mobile phone dependence by sex of the children. Second, children's mobile phone dependence were correlated with self control and social support. Finally, children's self control, family support and peer support significantly explained the mobile phone dependence. But peer support appeared to have negative corelation on mobile phone dependence, but appeared to have static effect in regression result by suppressor variables. So it needs to explore statistical function of suppressor variables in follow-up studies. Also research of this study indicate that self control enhancement program should be developed and parents should communicate more frankly and affectively with their children in order to prevent children's mobile phone depende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