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훈증

검색결과 222건 처리시간 0.023초

소나무재선충병 피해목의 침전·훈증처리를 통한 재선충밀도 및 압축강도성능에 관한 연구 (The Nematode Density and Compressive Strength Property of Pine Wilt Disease Damaged Trees by Soaking and Fumigating Treatment I)

  • 윤석락;박정환;박한민;김종갑;변희섭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7권3호
    • /
    • pp.200-207
    • /
    • 2009
  • 침전 및 훈증처리한 소나무 재선충병 피해목을 목재 재료로서의 활용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한 소나무재선충의 밀도 및 종압축강도 시험결과는 다음과 같다. 침전처리 후 소나무와 해송 모두 목초액 및 살선충제 처리의 경우 21일째에, 바닷물 침전의 경우에서는 30일째에 재선충의 밀도가 매우 낮아졌다. 재추출된 재선충을 피해가 없는 정상재에 인위적으로 접종한 경우 6개월경과 후까지 감염되지 않았으며, 소나무와 해송의 평균 기건밀도는 각각 $0.47g/cm^3$, $0.54g/cm^3$, 종압축강도는 각각 $304kgf/cm^2$, $363kgf/cm^2$이었다. 훈증처리 후의 소나무재선충은 수종에 관계없이 3개월까지는 검출되었으며, 그 이후에 출현하는 재선충은 유사 선충으로 판명되었다. 24개월이 지난 소나무와 해송의 평균 기건밀도는 각각 $0.54g/cm^3$, $0.52g/cm^3$, 종압축강도는 각각 $353kgf/cm^2$, $370kgf/cm^2$ 이었다. 본 연구의 결과, 피해목의 목재재료로서의 활용성은 일부 검증되었으며 보다 정확한 검증을 위하여 추후 기타 조직, 물리 및 역학적 성능에 대한 검토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감마선과 Methyl Bromide 처리된 팥과 녹두의 수침에 따른 용출 특성 (Water-Soluble Components of Small Red Bean and Mung Bean Exposed to Gamma Irradiation and Methyl Bromide Fumigation)

  • 노미정;권중호;변명우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184-189
    • /
    • 2001
  • 팥과 녹두의 가해해충 살충을 위한 감마선과 methyl bromide(MeBr) 훈증 처리가 두류의 수침 시 용출 성분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 검토하였다. 팥과 녹두를 $20^{\circ}C$에서 16시간 침지시킨 후 용출액의 성분을 분석한 결과, 고형분과 환원당 함량은 감마선 조사선량에 따라 증가하였는데 녹두에 비해 팥이 두드러졌다. 그리하여 5 kGy 이상 조사구에서는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나 살충선량인 2.5 kGy 범위에서는 변화가 크지 않았다. MeBr 처리된 팥의 고형분 함량은 7.5 kGy 조사구와 유사한 수준의 변화를 보였으나 전반적으로 대조구와 거의 유사한 함량을 보였다. 용출액의 pH는 처리구에 따라 일정한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용출액의 색도는 감마선 조사선량의 증가에 따라 두 시료에서 명도(L)의 감소와 적색도(a) 및 황색도(b)의 증가현상이 점차 나타났으며, 훈증처리 시료에서는 이 같은 현상이 매우 심하여 전반적 색차(${\Delta}E$)가 팥은 10 kGy, 녹두는 30 kGy 이상 조사된 시료와 유사한 값을 보였다. 수침에 따른 유리아미노산의 용출은 팥의 경우 asparagine, glutamic acid, alanine, valine 등이, 녹두의 경우asparagine, glutamic acid, proline, valine 등이 용출 비율이 높았으며, 조사선량이 증가함에 따라 총 유리아미노산의 용출 함량은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MeBr 훈증 처리구의 유리아미노산 함량은 대조구보다 낮은 값을 보였다. 팥과 녹두 용출액의 고형분과 환원당 함량은 감마선 조사선량과 매우 높은 정의 상관관계를 보여주었다.

  • PDF

우리나라 농약의 변천사 -살균제를 중심으로-

  • 이두형
    • 농약과 식물보호
    • /
    • 제3권10호
    • /
    • pp.4-11
    • /
    • 1982
  • 살균제가 어느 시대부터 사용되어 왔는지는 확실한 기록이 없어 알 수 없으나 농사가 시작된 오래전부터 재배된 작물을 병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사용되었으리라는 것은 쉽게 상상할 수 있다. 19세기 이전에 사용된 살균제로서는 황(黃)에 의한 훈증, 승홍(昇汞) 및 황산구리(黃酸銅)에 의한 종자소독 등 이라고 추정할 수 있으나 우리나라에서의 확실한 기록이 없어 무엇이라 말 할 수가 없다. 우리나라에서의 과학적인 영농방법이 시작된 것은 1905년 이후 권업모범장의 연구 결과가 발표되기 시작하면서부터라고 말할 수 있다. 따라서 살균제의 변천과정을 1945년을 전후로 나누어 작물과 주성분에 따른 적용범위와 사용상의 문제점 등을 중점적으로 다루기로 한다.

  • PDF

감마선과 Methyl Bromide 처리가 녹두의 살충 및 이화학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Comparative Effects of Gamma Irradiation and Methyl Bromide Fumigation on Disinfestation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Mung Bean)

  • 노미정;권중호;권용정;허은엽;권용순;변명우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444-449
    • /
    • 2001
  • 녹두의 가해해충 살충방법을 연구할 목적으로 현행 검역해중 살충방법인 methyl bromide(MeBr) 훈증처리와 감마선 조사에 의한 살충효과와 몇 가지 이화학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하였다. 국내산 녹두의 가해해충은 팥바구미(Calloso-bruchus chinensis Linne)로 확인되었으며, 살충처리 후 5일째에 MeBr 처리는 완전한 살충효과를 보였다. 같은 시기에 3 kGy 이상의 감마선 조사는 유충에 대하여 완전한 살충효과를 보였고, 2 kGy 조사구에서도 약 90%의 살충률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녹두의 성충은 유충에 비해 방사선 감수성이 큰 것으로 나타나 처리 후 10~15일 경에 두 충태 모두 1 kGy 조사구에서도 100%의 누적살충률을 보였다. 살충조건에서 녹두의 이화학적 품질특성을 비교해 본 결과, 질소용해도, TBA가, 총아미노산 및 지방산 조성과 함량은 25 kGy 조사구 및 MeBr 처리구에서 대조구와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녹두의 기계적 색도는 MeBr 훈증처리에 의해 명도의 감소와 적색도 및 황색도의 증가로 전반적인 색차(${\Delta}E$)에서 느끼는 정도(NBS 2.61~2.94)의 색 변화를 가져왔다.

  • PDF

배합사료 원료에 대한 방사선 살균 효과 ; 탄수화물의 살균 (Effects of Gamma Irradiation on the Decontamination of Animal Feeds: Sterilization of Carbohydrate Sources)

  • 조한옥;변명우;권중호;이재원;김영배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권3호
    • /
    • pp.97-102
    • /
    • 1987
  • 배합 사료의 전분질원으로 사용되는 13종의 곡류 및 곡류 부산물의 미생물 오염 정도와 방사선 조사에 의한 살균효과 및 이화학적 특성변화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3종의 사료 원료의 호기성 전세균의 오염은 $10^2-10^6/\;g$ 범위였으며 5-7 kGy의 방사선 조사로 거의 살균되었고, 대장균 균은 $10^2-10^5/\;g$로 높게 오염되었으며 이들은 3-5 kGy 조사로서 완전 사멸되었다. 총 곰팡이의 오염은 $10^2-10^4/\;g$ 정도로서 오염 곰팡이의 대부분이 내삼투압성 곰팡이었으며 5-7 kGy 조사로서 검출 한계 이하로 사멸되었다. 또한 이들에서 분리된 곰팡이는 Aspergillus속과 Penicillium속이었으며, 분리된 10여종의 곰팡이중 Aspergillus flavus group을 포함한 7여종의 잠재적 독소를 생성하는 균이었다. 총 아미노산과 전당 함량, 색도, TBA 등이 이화학적 특성변화에서는 고선량 방사선 조사와 훈증처리는 다같이 대조구에 비해 다소의 영향을 미쳤으나 훈증처리구는 더욱 현저하였다.

  • PDF

감마선과 Methyl Bromide 처리가 사과의 생리화학적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Gamma Radiation and Methyl Bromide Fumigation on Physiological and Chemical Quality of Apples)

  • 강호진;정헌식;조덕조;변명우;최성진;최종욱;권중호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381-387
    • /
    • 2003
  • 감마선(0, 0.5, 1, 2, 3 kGy) 조사와 methyl bromide(MeBr, 2 g/kg, 4 hr) 훈증 및 이들의 처리시기가 사과의 생리화학적 품질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하여, 검역처리를 위한 감마선 조사의 응용성을 검토하였다. 감마선과 MeBr 처리에 따른 사과의 생리화학적 품질평가에서 2 kGy 이상의 감마선 조사와 MeBr 훈증은 사과의 일부 생리화학적 품질특성의 변화를 촉진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감마선과 MeBr의 처리시기별로는 수확 직후보다는 저온($0^{\circ}C$)에서 40일 정도 보관한 후 처리한 것이 대체적으로 품질손상이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1 kGy 이하의 감마선 조사와 지연조사는 사과 과실의 품질을 비교적 양호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어 검역처리 기술로 활용성이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이산화염소에 대한 거짓쌀도둑거저리의 회피행동과 이를 억제하는 열처리 효과 (Evasive Behavior of the Red Flour Beetle, Tribolium castaneum, against Chlorine Dioxide and Its Suppression by Heat Treatment)

  • 김용균;수닐쿠마르;마버버라흐만;권혁;천용식;나자현;김욱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4권3호
    • /
    • pp.151-158
    • /
    • 2015
  • 이산화염소($ClO_2$) 훈증제는 살충효과를 나타낸다. 그러나 일부 곤충은 이산화염소에 대해 회피행동을 보여, 이 훈증제에 대한 방제효율을 크게 떨어뜨리고 있다. 본 연구는 이를 해결하기 위해 이산화염소 처리에 열처리를 추가하여 곤충의 이산화염소에 대한 회피행동을 줄여 살충효과를 극대화하는 전략을 세웠다. 이산화염소 훈증 처리는 거짓쌀도둑거저리(Tribolium castaneum)에 대해 살충효과를 주었으며, 시험 곤충이 노출된 조건에서 12 시간 처리할 때 유충에 대해서 383.67 ppm (153.63 - 955.78 ppm: 95% 신뢰구간), 성충에 대해서 397.75 ppm (354.46 - 446.13 ppm: 95% 신뢰구간)의 반수치사농도를 나타냈다. 그러나 먹이인 밀가루를 충분히 제공한 상태에서 이산화염소를 처리하면, 처리 약제에 반응하여 시험 곤충이 먹이 속으로 들어가는 회피행동을 보이면서 방제효과는 크게 낮아졌다. Y 튜브를 이용한 이 곤충의 먹이 선호성 행동을 분석한 결과 거짓쌀도둑거저리 성충은 이산화염소가 처리된 먹이를 회피하는 행동을 보였다. 그러나 촉각을 제거한 경우 이러한 회피행동은 둔화 되었다. 거짓쌀도둑거저리에 6 시간 동안 $46^{\circ}C$ 열처리를 하면 살충효과는 10% 이하로 낮지만, 처리된 성충들이 먹이 밖으로 나와 있는 것을 관찰하였다. 반면 400 ppm의 이산화염소를 단독으로 6 시간 처리한 결과 회피행동에 따라 전혀 살충효과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46^{\circ}C$ 열처리와 400 ppm의 이산화염소를 병행하여 6 시간 처리한 결과 살충효과는 95%로 크게 증가하였다. 따라서 열처리는 거짓쌀도둑거저리의 이산화염소에 대한 회피행동을 억제하여 살충효과를 증가시켰다.

인삼의 연작장해에 대한 연구 동향 (Review of studies on soil sickness due to continuous cropping of ginseng)

  • 오승환;이종철;김홍진
    • 한국작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작물학회 1989년도 춘계 학술대회지
    • /
    • pp.22-22
    • /
    • 1989
  • [ ${\circ}$ ] 연작 장해 요인은 병원균, 분비물, 인삼유체의 분해산물 및 비병원성 미생물의 활동으로 구별될 수 있었다. ${\circ}$ 근부병 억제토양의 추출액은 근부 병원균의 발아 및 생장을 억제시켰다. ${\circ}$ 인삼의 연작장해 증상은 뿌리썩음, 지상부 생육억제, 조기낙엽 등이었다. ${\circ}$ 토양 훈증과 길항 미생물의 처리로 일부 토양에서는 연작이 가능하나 근부병 유발 토양에서는 이들 처리로 연작해소는 기대할 수 없는 것으로 판단된다. ${\circ}$ 답전 윤작의 작부 체계로 연작이 가능하다.

  • PDF

상묘포지에 대한 Cylon 및 Chloropiclin 토양 소독이 상묘생장에 미치는 영향 (Soil Disinfection Effect with Cylon and Chloropiclin on the Mulberry (Morus alba L.) Graftage Growth)

  • 박광준;김영택;최영철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84-87
    • /
    • 1988
  • Cylon과 Chloropiclin을 접목원묘를 이식하기 4주전에 묘포지 토양에 각각 30ml/$m^2$씩 관주 후피복하여 훈증소독하고 묘질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Cylon 또는 Chloropiclin 소독구는 상묘의 묘경과 묘장을 뚜렷하게 증대시켰으며 잡초발생억제 효과도 현저하였다. 2. 양소독구 간에는 Chloropiclin 소독구가 Cylon 소독구 보다 약간 우수한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유의차는 인정되지 않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