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후처리제

Search Result 2,673,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Effects of Incorporation Method of Nematicides on Reproduction of Meloidogyne arenaria (살선충제의 처리방법에 따른 뿌리혹선충 방제효과)

  • 김동근;최성국
    • Korean journal of applied entomology
    • /
    • v.40 no.1
    • /
    • pp.89-95
    • /
    • 2001
  • Effects of application method of eight nematicides on reproduction of iweloidogyne arenaria were tested in pot. In pre-treatment, cadusafos , dazomet, fosthiazate reduced over 90% in number of egg masses of M. arenaria at recommended rate . Carbofuran showed similar reduction only at three times of recommended rate. Benfuracarb was the least effective. Post-treatments, in general, were less effective than pre-treatment except fostiazate which reduced root egg mass of iW. arenaria as much as pre-treatment at recommended rate . Systematic nematicide, fosthiazate has potential as post-treatment nematicide.

  • PDF

A Fluctuation of Soil Microflora in Upland Soil Treated with Metalaxyl, Carbofuran and Simazine (Metalaxyl, Carbofuran, Simazine을 처리한 밭토양에서의 미생물수의 변동)

  • Lee, Wang-Hyu;Kim, Ju-Hee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Agriculture
    • /
    • v.17 no.3
    • /
    • pp.220-226
    • /
    • 1998
  • The effects of metalaxyl(granule), carbofuran(granule) and simazine(water soluble powder) on the soil microflora were conducted at field soil between Iksan and Chonju province. Pesticides were divided into 0.5, 1, 1.5 and 2.0 times of normal of field, respectively. The number of fluorescent Pseudomonas was ranged from $10^3$ to $10^6/g$ in both field soil treated with cabofuran. Pseudomonas concentration of Chonju field soil slowly increased and approached the maximum level at 56 day after treatment(DAT). It showed the higher at 14DAT than other DAT in Iksan field soil treated with metalaxyl or simazine, whereas it increased again at 112 DAT in metalaxyl treatment. Cabofuran treatment of both field soil showed maximum Pseudomonas number at 28 DAT compared to that of other treatments. In Chonju field soil, those Pseudomonads of metalaxyl and simazine treatment increased the highest level at 7 DAT. Simazine treatment decreased it's number from the beginning of experiment. In both soil, metalaxyl treatment decrease the general fungi number at 7 DAT, but increase at 14 and 56 DAT in Iksan field soil. However it increased at 56 DAT in Chonju field soil. Cabofuran treatment of Iksan field soil tended to decrease general fungi number at 28 DAT, but was ranged from 1.0 to $8.6{\times}104/g$ for the rest of experimental period. It started to increase at 56 DAT simazine treatment of Iksan. General bacterial concentration both soil treated with cabofuran was belong to $26.6{\sim}29.6{\times}106$. It was the highest at 56 DAT, but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General actinomyces number was highly increased at 7 and 112 DAT compared to that of other DAT. Pseudomonas putida or P. fluorescens from both field soil was separated and identified 10 to 30 of all 104 Pseudomonas, respectively. All isolated microorganisms showed chemical resistance of 100ppm metalaxyl, cabofuran and simazine treatment.

  • PDF

Phosphating and Electrodeposition Properties of Zinc Based Alloy Plating by Dry Process (건식공정에 의해 제작된 아연계 합금도금 강판의 인산염처리 및 전착도장 특성)

  • Lee, Gyeong-Hwang;Park, Jong-Won;Na, Hyeon-Ju;Gwak, Yeong-Jin;Kim, Tae-Yeop;Yun, Seung-J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Surface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2.05a
    • /
    • pp.266-267
    • /
    • 2012
  • 아연계 합금도금강판은 내식성이 향상되는 반면 아연 이외의 원소 성분에 의해 고온다습에서 변색되기 쉽기 때문에 이를 억제하기 위한 후처리 기술이 필요하다. 또한, 아연계 합금도금 강판이 자동차 부품으로 적용되기 위해서는 변색 억제를 위해 처리한 후처리제가 쉽게 제거되어 인산염처리 공정에서 도금 표면에 인산염결정이 용이하게 형성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건식공정으로 제작된 아연계 합금도금 강판에 우레탄계 알칼리 후처리제를 도포하고, 고온다습 환경에서의 변색 억제 특성과 적정 부착량에서의 인산염처리 및 전착도장 특성에 대해 평가하였다. 두 형태의 후처리제는 건식 아연계 합금도금 강판에 도포 직후 표면에 간섭색을 나타내었으며, 첨가제를 통해 간섭색 제어가 가능하였다. 또한, 두 형태의 후처리제 모두가 고온다습 환경에서 무처리 강판에 비교하여 월등히 우수한 변색 억제 효과를 보였으며, 인산염처리 및 전착도장이 양호하게 얻어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

Cryopreservation of Recipient Oocytes Collected from Korean Native Cattle: Incidence of the Zona Hardening of Recipient Oocytes Collected from Korean Native Cattle at the Different Stages of Cryopreservation (복제 한우 생산을 위한 수핵난자의 동결에 관한 연구 : 상이한 동결과정 중 한우 수핵난자에서 일어나는 투명대 경화)

  • 이병천;박종임;임정묵;이은송;노상호;황우석
    • Journal of Embryo Transfer
    • /
    • v.14 no.2
    • /
    • pp.99-106
    • /
    • 1999
  • 핵 이식에 공여되는 수핵난자의 효과적인 동결보존을 위하여 한우 성숙난자를 1.0 M dimethylsulfoxide(DMSO) 또는 1.0 M glycerol이 함유된 동결보호제를 이용하여 처리하거나, 동결보호제 처리 후 완만동결법을 이용한 동결융핼르 시행하여 상기 실험처리로 야기되는 투명대 경화현상을 관찰하였다. 도축장 유래의 난소에서 미성숙난자를 채취한 후 10% 소 태아혈청을 함유한 TCM-199을 이용하여 22∼24 시간 동안 체외성숙배양을 이해하였다. 배양후 작출된 성숙난자를 각각의 동결보호제로 처리, 혹은 처리 후 동격융해한 후 protease를 이용하여 투명 대의 경화현상 발생의 빈도를 조사하였다. 또한 동격란을 동결정액을 이용한 체외수정에 공여한 후 정자 침입농도능을 조사하였다. 동결보호제로 처리한 난자에 있어서 보호제의 종류와 관계없이 투명대 경화현상이 유의적 (P<0.05) 으로 증가하였으나 이후의 동결융해 처리에 의한 추가적인 경화현상의 발생은 증가하지는 않았다. 또한 투명대 경화현상의 발생양상을 동결보호제 처리 후 10분 간격으로 측정한 결과 DMSO의 경우 처리후 10분, glycerol의 경우 처리 후 20분 후부터 유의적으로 차를 발견할 수 없었으며, 수정율 및 난자 1개당 침입한 정자의 수는 동결란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하지 않았다. 본 연구의 결과 동결난자의 투명대 경화현상은 동결보호제 처리과정에서 이미 일어나지만, 이러한 투명대 경화현상이 난자의 동결보존 후 수정능에는 현자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사실이 규명되었다.

  • PDF

김 양식에 있어 붉은갯병 억제를 위한 고염분해수 처리 효과

  • 박찬선;위미영;일본명
    • Proceedings of the Korean Aquaculture Society Conference
    • /
    • 2003.10a
    • /
    • pp.23-23
    • /
    • 2003
  • 김 붉은갯병은 김 엽체에 난균류 Pythium속의 Pythium porphyrae의 기생에 의해 발생되어 매년 김 양식에 큰 피해를 주는 매우 심각한 김 갯병중의 하나이다. 최근에는 이들 병해의 발생 및 억제를 위한 김 산처리제 (활성처리제) 남용에 따른 연안 양식어장의 생태계 파괴 및 김의 자연식품에 대한 이미지 훼손 등의 문제점이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김 양식시 발생되는 붉은갯병의 병해를 억제하고자 활성처리제 처리시 고염분해수 처리를 병용함으로써 활성처리제의 사용을 최소화하면서 처리효과를 배가시키고자 하였다. 시험에 사용한 김 엽체는 2002년 10월에 전라남도 해남군 황산면 지선에서 채묘한 방사무늬김 (Porphyra yezoensis)을 육묘해 엽장 1cm 내외에서 냉동망을 제작하여 -2$0^{\circ}C$에 저장한 엽체를 자연해수 (약 27$\textperthousand$), 15$^{\circ}C$, 100$\mu$mol photon m$^{-2}$ s$^{-1}$, 광주기 9L : 15D의 배양조건하에서 15일간 배양한 엽장 3-4cm 정도의 것이었다. 활성처리제와 고염분해수처리제의 병용에 의한 붉은 갯병 억제효과는 붉은갯병 병원균의 유주자를 김 엽체에 감염시킨 후 27$\textperthousand$의 자연해수에 12일간 배양하면서 염분농도를 3-25%, 처리주기를 1-2회로 하여 각 시험구별 병해정도로 평가하였다. 고염분해수 처리에 의한 붉은갯병균 균사의 생장억제 효과는 김 엽체를 붉은갯병 병원균의 유주자로 감염시킨 다음 감염 12시간 후 염분농도를 3-25%로 처리한 후 27$\textperthousand$의 자연해수에 4일간 배양하면서 각 시험구별 배양시간에 따른 병원균 균사에 의한 김 엽체의 감염세포수로 평가하였다. 활성처리제와 고염분해수처리제의 병용이 김 엽체 생장에 미치는 영향은 건전한 김 엽체의 절편을 27$\textperthousand$의 자연해수에 배양하면서 시험구별로 활성처리와 고염분해수 (5, 10, 15, 20, 25%) 처리를 3일 간격으로 하면서 12일간 배양한 후 엽체의 엽면적 증가율로 평가하였다. 활성처리제와 고염분해수처리제의 병용에 의한 붉은갯병의 억제효과는 대조구 (활성처리 1회)와 비교해 주 2회의 활성처리구와 염분농도 20, 25% 처리구에서 병해 억제효과가 월등히 높았다. 고염분해수 처리에 의한 붉은갯병균 균사의 생장억제 효과는 염분농도 5, 10% 처리구의 경우 무처리구에 가까운 감염세포수를 보였으나, 염분농도 20, 25% 처리구의 경우 활성처리제 처리와 비슷한 감염세포수를 보여 뚜렷한 생장 억제효과를 나타냈다. 활성처리와 고염분해수 처리의 병용이 김 엽체 생장에 미치는 영향은 대조구 (활성처리 1회)의 3.4배 생장율과 활성처리와 염분농도 5-20%의 고염분해수 병용 처리구의 3.1-3.6배 생장율은 유의한 생장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P<0.05).

  • PDF

The study on the trib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Electro spark alloyed layer and solid lubricant (전기방전코팅층과 고체윤활제를 도포한 복합층의 마찰마모특성 연구)

  • 유인석;류병진;김성규;양승호;유영석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Tribologists and Lubrication Engineers Conference
    • /
    • 1996.04b
    • /
    • pp.41-44
    • /
    • 1996
  • 고하중, 저속에서의 마찰마모특징을 나타내는 건설기계의 작업장치 연결부의 핀/부싱 조인트의 개발 적용성 검토를 위해 기존의 사용방법인 표면경화처리 후 그리이스 급유하는 경우와 ESA(전기방전코팅)처리후 고체윤활제를 도포한 경우의 마찰마모특징을 시험 분석하여 기존 방법보다 ESA처리후 고체윤활제를 도포하는 경우의 마찰마모 특성이 매우 우수한 적을 확인하였다.

  • PDF

Study for Sequential Application of Herbicide to Establish an Efficient Weed Control in Red Pepper Field (고추 밭 잡초 관리를 위한 제초제 체계 처리법 개발)

  • Min, Yi-Gi;So, Yoon-Sup
    • Weed & Turfgrass Science
    • /
    • v.5 no.4
    • /
    • pp.213-218
    • /
    • 2016
  • Timely application and the choice of herbicides are crucial for red pepper production since the yield is significantly reduced by weed occurrence.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provide efficient weed control methods in red-pepper fields. The results suggest the followings: 1) in the field of prevalent grass weeds, application of pendimethalin EC as pre-emergence herbicide after transplanting followed by tank-mix with pendimethalin and fluazipfop-P-butyl EC as post-emergence at 3-5 leaf stage of Digitalia species gave a good control for 80 days without crop injury, 2) as for grass and other weeds occurrence, sequential application of tank-mix with glufosinate-ammonium SL and pendimethalin at 30 days after transplanting (DAT) followed by glufosinate-ammonium. at < 20 cm of weed height with 30 days' interval provided better weed control than 2-time application of glufosinate-ammonium. single application for 80 days in this trial. 3) To prevent from drifting of non-selective herbicide spray mist into red-pepper at furrow application, glufosinate-ammonium. should be applied at 15 cm of spray nozzle height at 20 DAT (18 cm tall of red pepper), and the spray nozzle should be placed below 30 cm above ground to keep spray drift minimum to red pepper with > 40 cm plant height at 40 DAT.

Study on non-nickel-based sealing of anodic porous aluminum oxide by using NaAlO2 (알루민산 염을 포함한 다공성 알루미나의 무니켈 봉공처리제에 관한 연구)

  • Kim, Mun-Su;Yu, Hyeon-Seok;Choe, Jin-Seop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Surface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6.11a
    • /
    • pp.190.1-190.1
    • /
    • 2016
  • 봉공처리법은 다공성 알루미나를 제조 후에 내마모성의 증가, 침지된 염료의 봉인 등을 필요로 하여 이용하는 후처리 공정 중 하나이다. 상업적으로는 물 봉공처리나 니켈-아세트산 용액을 이용한 봉공처리를 주로 이용하지만 고온을 필요로 하거나 인체에 유독한 용액을 사용, 혹은 추가적인 봉공처리를 해주어야 한다는 단점들을 가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독성이 적고 상온에서도 다공성 알루미나와 쉽게 반응할 수 있는 알루미늄 음이온 용액을 봉공처리에 이용하였다. 알루미늄 음이온 용액을 이용한 봉공처리는 알루미늄의 양극 산화를 진행한 이후에 알루미늄 음이온을 포함한 봉공처리제를 제조 후, 침지 처리하는 방식으로 봉공처리하였다. 봉공처리제의 pH 변화, 온도 변화, 침지 시간 등의 변수 요소에 따라서 최적화를 진행하였으며, 이 용액으로 봉공처리가 가능한지 주사 전자 현미경 분석을 통해 평가하였다. 이후 최적화된 조건과 기존에 상업적으로 사용하던 봉공처리법을 거친 후에 경도, 부식전위 검사, 내화학성 검사를 통해 성능의 변화를 확인하였으며 광전자 분광기를 통해 성분과 메카니즘을 예측하였다.

  • PDF

Effect of Ethephon and Diquat Dibromide Treatment for Triticale Seed Production on Paddy Field (트리티케일 종자 안정 생산을 위한 생장억제제 및 건조제 처리 효과)

  • Cho, Sang-Kyun;Park, Hyeong-Ho;Oh, Young-Jin;Cho, Kwang-Min;Jang, Yun-Woo;Song, Tae-Hwa;Park, Tae-Il;Kang, Hyun-Jung;Roh, Jae-Hwan;Park, Kwang-Geun
    •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 /
    • v.59 no.1
    • /
    • pp.59-65
    • /
    • 2014
  • As for Ethephon treatment, the heading stage is 2 days later at the concentration of 250 ppm and 500 ppm for the booting stage that when there is no treatment, 4 days later at the concentration of 1000 or more ppm but no difference for the blossoming and ripening stage. The culm length get shorter as the concentration of Ethephon is higher and the rate of culm length damaged is 37% for 1500 ppm of booting stage, which is the most effective processing, and the inferior culm length damage rate is bigger than the superior culm length damage rate. There is no difference between the number of glumous flower, culm and litter weight and the non-processing and as for the thousand grain weight, it is slightly bigger than when there is not any processing. The rate of germination is indifferent, the number of seeds get numerous regardless of the concentration of treatment and the number augments by 5% maximum for the booting stage. The number of days it takes from treatment of desiccant to the moisture content for harvesting time is respectively 15 days for seeds of 30 day-treatment, 10 days for seeds of 35 days-treatment and 5 days for seeds of 40 to 45 day-treatment. As for the harvest time after treatment of desiccant, the treatment at $30^{th}$ days and $35^{th}$ after the earing is 8 days earlier than the culture by conventional methods, 8 days earlier for the treatment at $40^{th}$ day. When the desiccant treatment is implemented, the thousand grain weight is heavier as the number of days of treatment gets later. The rate of germination gets higher as the number of days of treatment after earing gets later but there i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35 days after the earing. Yields are 37% compared to the culture by conventional methods for the treatment of 30 days after the earing, 70% compared to the culture by conventional methods for the treatment of 35 days after the earing, and 92% compared to the culture by conventional methods for the treatment of 40 days after the earing. The treatment before the physiological maturity impacts greatly upon the quality of see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