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후방 십자 인대

검색결과 125건 처리시간 0.031초

후방십자인대의 단독 및 동반 손상에서 관절경적 재건술 후 기능적 평가 (Functional Evaluation after Arthroscopic Reconstruction in Isolated and Combined Injury of Posterior Cruciate Ligament)

  • 이광원;이승훈;박재국;김하용;김병성;최원식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115-120
    • /
    • 2002
  • 목적 : 후방십자인대의 단독 손상군과 동반 손상군에서 재건술 시행 후 발생되는 후방 전위의 정도를 분석하고 슬관절의 기능적 평가와 비교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94년 6월부터 2000년 6월까지 동종 아킬레스건을 이용한 관절경적 후방십자인대 재건술을 시행받은 45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평균 추시 기간은 49개월이었다. 후방 전위 정도는 후방 부하 방사선 사진과 KT-2000 슬관절계를 이용하였고 슬관절 기능 평가는 Lysholm score와 IKDC evaluation form을 이용하였다. 결과 : 건측과 비교한 방사선학적 후방 전위의 차이는 단독 손상군에서 술 전 평균 11.83 mm, 최종 추시 6.38 mm였고, 동반 손상군에서 술 전 12.7 mm, 최종 추시 6.7 mm이었다. 최종 추시에서 단독 손상군과 동반 손상군의 KT-2000슬관절계를 이용한 후방 전위는 각각 평균 3.5 mm, 4.1 mm, Lysholm score는 평균 87.4점, 81.2점, IKDC 평가표상 grade B 이상은 16례$(88.9\%)$, 23례$(85.2\%)$ 조사되었다. 결론 : 후방십자인대 재건술 후 동반 손상군이 단독 손상군에 비해 후방 전위가 좀더 잔존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통계학적인 의미는 없었고 두 군에서 후방 전위의 정도와 슬관절의 기능적 평가와는 상관관계가 없었다.

  • PDF

슬관절 후방십자인대에 발생한 결절종 -증례보고- (Ganglion Cyst of the Posterior Cruciate Ligament -Two Cases Report-)

  • 조재영;유현종;이의형;이주연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189-192
    • /
    • 1998
  • 슬관절 후방십자인대의 결절종은 드물게 발생하며, 이에 대한 보고도 적다. 특별한 외상의 병력 없이 발생한 2례의 후방십자인대 결절종을 발견하고, 관절경을 이용하여 생검 및 제거를 하였기에 그 경험을 보고하는 바이다.

  • PDF

슬관절 후방십자인대 대퇴 부착부 거대 삽입성 골낭종 (Huge Insertional Bone Cyst at the Femoral Attachment of the Posterior Cruciate Ligament in the Knee)

  • 민경대;김경범;조휘제
    • 대한정형외과학회지
    • /
    • 제56권5호
    • /
    • pp.445-449
    • /
    • 2021
  • 슬관절내 삽입성 골낭종은 주로 십자인대의 골 부착부에 작은 낭종의 형태를 보이며, 보통 증상과 관련은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저자들은 31세 남자의 슬관절에서 통증이 유발된 후방십자인대 대퇴 부착부 거대 삽입성 골낭종을 진단하고, 소파술과 골시멘트 충진술로 좋은 결과를 얻었기에 보고하고자 한다.

동종 이식 아킬레스 건을 이용한 관절경적 후방 십자 인대 재건술 (Arthroscopic Reconstruction of Posterior Cruciate Ligament with Achilles Tendon Allograft)

  • 김경택;손성근;이대희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9-16
    • /
    • 1999
  • 목적 : 동종 아킬레스 건을 이용한 후방 십자 인대 재건술을 시행하여 결과를 분석하고자 시행되었다. 대상 및 방법 : 1996년 9월부터 1998년 3월까지 동아대학교 의과대학 정형외과학교실에서 동종이식 아킬레스 건을 사용한 후 후방 십자 인대 재건술을 시행받은 총 30례 중, 1년 이상의 추시가 가능했던 20명 20례의 슬관절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령은 최저 18세, 최고 59세로 평균 연령 40세였으며, 남자가 16 여자가 4명이었다. 수상 후 4주이내에 수술을 시행한 례는 12례였고, 2개월이내가 4례, 5개월이내가 2례, 7개월이내가 2례였다. 수상후 수술 시기는 평균 7.8주였다. 평균 추시 기간은 24개월(최소 12개월, 최장 50개월)이었다. 결과 : 술 후 12개월에서 50개월까지 평균 20개월 추시한 결과 능동적 운동범위는 2개월째 평균 $90^{\circ}$, 술 후 6개월째 평균 $110^{\circ}$를, 술 후 1년 및 2년째 평균 $125^{\circ}$$130^{\circ}$를 보여주었다. 객관적 평가로서 Lysholm Knee Score를 술전후로 시행하여 술 전 평균 54점에서 술 후 1년 6개월째 평균 87점이었다. 또한, 후방 전위 검사 및 reverse pivot shift 검사를 술 전후로 시행한 후 비교하여 양호한 결과를 얻었다. Cybex 340 등속성 검사상 최대 우력(torque)은 신전근의 경우 $60^{\circ}$/sec와 $180^{\circ}$/sce 운동각속도에서 술 전에는 평균 47.8%, 35.3%에서 술 후 1년 6개월에는 평균 21.3%, 21.2% 의 근력결손을 보였고, 굴곡근은 $60^{\circ}$/sec와 $180^{\circ}$/sce의 운동각속도에서 술 전에는 평균 40.4%, 16.2%였고 술 후 1년 6개월에는 평균 17.8%, 13.3%의 근력결손을 보여, 신전근보다 근력약화의 정도는 적었으나 근력약화가 지속되는 소견을 보였다. 층 일량(Total work)도 비슷한 결과를 보여 추시 관찰상 자가건 이식시의 결과와 큰 차이점은 없었다. 결론 : 동종 아킬레스 건을 이용한 관절경적 후방 십자 인대 재건술은 자가건 채취에 따른 단점을 보완하며, 충분한 강도와 길이를 제공하고, 추시상 자가 이식과 비슷한 결과를 보여 후방 십자 인대 손상시 권장할 만한 치료 방법으로 사료되었다.

  • PDF

경골 내재술식을 이용한 이중 다발 후방 십자 인대 재건술 - 수술 기법 - (Double Bundle Posterior Cruciate Ligament Reconstruction by the Tibial Inlay Method - Technical note -)

  • 이영현;남일현;문기혁;안길영;이상충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139-146
    • /
    • 2008
  • 목적: 아킬레스 동종 이식건을 사용하여 경골 내재술식으로 시행한 이중 다발 후방 십자 인대 재건술을 소개하고, 이 방법으로 수술하여 2년 이상 추시 관찰한 11예의 임상 결과를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슬관절 만성 후방 불안정성과 급성 후방 십자 인대 파열이 있는 11예에서 후방 십자 인대 재건술을 시행하였고, 임상적 분석 방법으로는 IKDC(International Knee Documentation Committee) 평가법을 사용하였으며, 후방 전위 방사선 소견 및 KT-1000TM arthrometer를 이용한 전위 검사법을 이용하여 평가 하였다. 결과: 90도 굴곡위 후방 전위 방사선 사진 및 10도 굴곡위 KT-1000TM arthrometer 에서의 결과는 술 전 평균 각각 13.4 mm, 11.4 mm에서 술 후 평균 각각 4.4 mm, 3.9 mm로 호전되었다. 또한 IKDC 평가법에서는 9예에서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었다. 1예에서 굴곡 시 경미한 관절 강직이 발생하였고, 나머지 1예에서 후방 불안정성이 충분히 교정되지 못하였다. 동종 이식건으로 인한 합병증은 없었다. 결론: 아킬레스 동종 이식건을 사용하여 경골 내재술식으로 시행한 이중 다발 후방 십자 인대 재건술은 급격한 경골 터널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이식건의 마모를 피할 수 있고, 슬관절 굴곡위 뿐만 아니라 신전위에서도 후방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으므로 슬관절의 후방 십자 인대의 급성 파열 및 후방 십자 인대 재건술 후 재발된 불안정성을 포함한 만성 후방 불안정성에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이다.

  • PDF

TransFix 경골부 고정을 이용한 경 경골 두 다발 후방십자인대 재건술 - 수술 술기 - (Transtibial Double Bundle PCL Reconstruction using TransFix Tibial Fixation - Technical Note -)

  • 이용석;정영복;안진환;강번중;신윤창;공제관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203-208
    • /
    • 2006
  • 목적: 후방십자인대의 경 경골 두 다발 재건술에 있어서 기존의 방법들은 공여 인대가 길어야 하는 문제 때문에 이식건의 선택이 제한적인 경우가 많으며 경골부에서 이중의 고정을 해야 하는 문제점 등이 있다. 이에 저자들은 두 다발 재건술을 실시하면서 경골부에서 초기에 단일 고정으로써 안정성을 얻고, 공여 인대 길이에 제한을 덜 받는 방법을 소개하고자 한다. 수술 술기: 진단적 관절경 검사를 실시 한 후 두 다발 재건술을 위한 이식건을 준비하고, 경골 터널 및 TransFix 고정을 위한 준비를 한다. 대퇴부에 2개의 터널을 만들고, 이식건을 전 내측 입구를 이용하여 경골부, 대퇴부 순으로 통과시킨 후 TransFix를 이용하여 경골부에 고정을 먼저 실시하고, 대퇴부의 2 다발을 각각의 고정 위치에서 고정을 실시한다. 결론: 경경골 터널을 이용한 두 다발 후방십자인대 재건술에서 TransFix를 이용한 경골부의 고정은 단일 고정으로써 강한 고정을 제공하면서 이식건의 길이에 제한을 받지 않고, 전 내측 입구로 이식건을 통과시킴으로써 이식건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좋은 방법이라고 생각한다.

  • PDF

양측 슬괵건을 이용한 후방 십자 인대 및 후외측 지대 재건술 (Posterior Cruciate Ligament and Posterolateral Structure Reconstruction using Bilateral Hamstring Tendons)

  • 인용;김석중;이규영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167-173
    • /
    • 2005
  • 목적: 저자들은 후방 십자 인대 손상과 후외측 회전 불안정성이 동반된 환자에서 양 측 슬괵건을 채취하여 각각 후방 십자 인대 및 후외측 지대 재건술을 시행하고 그 결과를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02년 10월부터 2004년 3월까지 후방 및 후외측 회전 불안정성으로 양 측 슬괵건을 이용한 후방십자 인대 및 후외측 지대 재건술을 시행한 10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남자가 9명 여자가 1명이었고 평균 연령은 36.8세였다. 평균 추시 기간은 17개월(12개월-2년 4개월)이었다. 후방 십자 인대는 환측 슬괵건을 이용하여 횡고정 핀과 Intrafix (Mitek, Norwood, MA) 로 고정하였고 후외측 지대는 비골두에 터널을 뚫어 건측 슬괵건을 통과 시킨 후 대퇴골 외과의 등장점에 흡수성 나사로 고정하였다. 후방 전위 정도는 후방 부하 방사선 사진으로 계측하였고 이학적 검사상 회전 불안정성의 정도를 Noyes와 Barber-Westin의 분류에 따라 평가하였다. 슬관절 기능 평가는 Lysholm 점수와 International Knee Documentation Committee (IKDC) 평가 기준을 이용하였으며 건측 공여부의 평가는 IKDC 평가기준 공여부 항목과 슬관절 굴곡력으로 평가하였다. 결과: 후방 부하 방사선 사진상 술 전 13.3 mm에서 술 후 3.7mm로 호전되었으며 $30^{\circ}$$90^{\circ}$ 경골 외회전 검사상 기능적 소견을 보인 예가 7예, 부분 기능적 소견을 보인 예가 2예, 실패의 소견을 보인 예가 1예였다. Lysholm 점수는 술 전 54점에서 술 후 86점으로 호전되었다. IKDC 평가 기준상 거의 정상 이상이 8예, 비정상이 2예 이었으며 심한 비정상의 소견을 보인 예는 없었다. 건측 하지 공여부 평가상 2예에서 감각 저하를 호소하였으나 슬관절 굴곡력의 약화 소견은 없었다. 결론: 후방 십자 인대 손상과 후외측 회전 불안정성이 동반된 환자에서 양 측 슬괵건을 이용한 후방 십자 인대 및 후외측 지대 재건술은 양호한 임상 결과와 건측 채취부의 합병증이 적은 좋은 치료 방법으로 사료된다.

  • PDF

만성 단독 후방십자인대 파열에서 자가 슬괵건과 후-후 삼각술기를 이용한 만성 후방십자인대 보강술 (Posterior Cruciate Ligament Augmentation Using an Autogenous Hamstring Tendon Graft and the Posterior-Posterior Triangulation Technique)

  • 김영진;채수욱;최병산;김종윤;이황용;한창완;한수연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24-30
    • /
    • 2013
  • 목적: 슬관절의 후방십자인대 파열 시 잔존하는 절단단 또는 이완된 인대를 유지하면서 관절경하 후-후 삼각기법과 단일절개 횡경골 접근법을 이용하여 4겹의 자가 슬괵건을 사용해 손상된 후방십자인대 보강술을 시행한 결과를 후향적으로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2년 1월부터 2009년 12월까지 후방십자인대 파열로 진단되어서 4겹의 자가 슬괵건과 후-후 삼각기법과 단일절개 횡경골 접근법을 이용한 보강술을 시행한 환자 중에서 최소 2년 이상 추시가 가능하였던 32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평균 추시는 5년 5개월(범위: 2-7.9)이었다. 수술 시 연령은 평균 35.2세이었다. 운동 가능 범위, 후방 전위 검사, Telos stress 방사선 검사, Lysholm knee score, Tegner activity score, International Knee Documentation Committee (IKDC)의 판정 기준을 이용하여서 술후 기능 평가, 2차적 관절경 검사 등을 시행하여 주관적 및 객관적 지표로 삼았다. 결과: 최종 추시 시에서 후방 스트레스 방사선 사진상 통계학적으로 의미 있는 감소 소견이 관찰되었다(p<0.05). 최종 추시에서 IKDC grade는 Group A가 18예, Group B가 11예, Group C가 3예이었고, Group D는 한 예도 없었으며, 각각 통계학적 의미가 있는 호전을 보였다(p<0.05). 결론: 만성 단독 후방십자인대의 파열에서 관절경하 후-후 삼각기법과 단일절개 횡경골 접근법을 이용하여 4겹의 자가 슬괵건을 사용해 손상된 후방십자인대 보강술은 양호한 슬관절의 안정성과 기능 회복을 얻을 수 있는 좋은 수술 방법으로 사료된다.

  • PDF

13세 소아에서 후방십자인대의 경골 부착 부위의 견열 골절 - 증례보고- (Avulsion of the Tibial Attachment of the Posterior Cruciate Ligament in a 13-year-old child - A Case Report -)

  • 이광원;이승훈;김하용;김병성;최원식
    •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61-64
    • /
    • 2002
  • 소아에서후방십자인대의경골부착부위의견열골절은발생빈도가매우낮으며그보고된경우도드물다. 이에저자들은슬관절동통과종창을주소로내원하였으며, 슬관절 후방 슬와부에압통과 종창, 혈관절증, 후방 불안정성, 경골의 후방 전위, 슬관절신전제한소견을보이고있으며 방사선학적검사상후방십자인대의경골과간후면 부착부위에견열골절을 보이는13세 소년에게서 슬관절후방슬와부를 통한 견인 봉합술(pull-out suture)로 고정하여 치료한1예의 결과를 문헌 고찰과 함께보고하고자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