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후방응력

검색결과 75건 처리시간 0.021초

중간 지대치가 존재하는 고정성 국소의치에서 보철물 설계 및 치조골 상태가 응력분포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rosthetic designs and alveolar bone conditions on stress distribution in fixed partial dentures with pier abutments)

  • 조욱;김창섭;전영찬;정창모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47권3호
    • /
    • pp.328-334
    • /
    • 2009
  • 연구목적: 하악 제 1 소구치 및 제 1 대구치가 결손 되어 중간 지대치를 갖는 5 본 고정성 국소의치에서 비고정형 어태치먼트의 설계 유무 및 지대치의 지지골 상태에 따른 변위 및 응력분포의 차이를2 차원 유한요소분석을 통해 비교하여 보고자 하였다. 연구 재료 및 방법: 5 본 고정성 국소의치는 일체형과 분할형으로 구분하였으며, 분할형에는 제 2 소구치와 제 1 대구치 사이에 비고정형 어태치먼트를 설계하였다. 지지골은 모두 정상인 경우와 세 개 지대치중 한 개의 지대치에서 임상적 치관 대 치근 비율이 6 : 4 정도까지 골 흡수가 일어난 세 가지 경우를 가정하여 총 네 가지의 지지골 상태를 설정하였다. 제 1 소구치와 제 1 대구치 가공치 중앙에 각각 150 N의 수직 분산하중과, 제 1 대구치 가공치 중앙에 300 N의 수직 집중하중을 가하였다. 결과: 일체형과 분할형 고정성 국소의치 모두에서 하중 시 하방 변위를 보였다. 분할형 고정성 국소의치에서 일체형보다 전방 지대치 지지골에서의 응력은 감소하였으나 중간 및 후방 지대치 지지골에서의 응력은 증가하였다. 지대치의 치조골 흡수가 있는 경우 해당 지대치의 지지골에 국소적인 응력 증가가 나타났다. 결론: 중간 지대치를 갖는 고정성 국소의치를 설계할 경우 유지 장치의 유지 능력과 지대치의 지주 상태 그리고 어태치먼트의 사용에 대한 주의 깊은 고찰이 필요하겠다.

지대치 연결고정에 따른 편측성 후방연장 국소의치에서의 응력분포 (EFFECTS OF ABUTMENT SPLINTING ON STRESS DISTRIBUTION IN UNILATERAL DISTAL EXTENSION RPD)

  • 안희영;진태호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42권2호
    • /
    • pp.154-166
    • /
    • 2004
  • Statement of problem: In distal extension removable partial denture, the preservation of health of abutment teeth are very important, but they are always subjected to unfavorable stress.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butment splinting and design of direct retainer on the stress distribution of abutments in unilateral distal extension removable partial dentures. Material and method: Abutments were splinted by different method. In group 1, autment teeth were not splinted, in group 2, canine and 1st premolar were splinted, and in group 3, canine, 1st and 2nd premolars were all splinted. Three different types of direct retainer such as Akers clasp, RPI clasp, and wrought wire clasp were designed. Strain was measured with Switch & Balance Unit(SB-10, Measurement Group Instruments Division, Raleigh USA) and Strain Indicator(P-3500, Measurement Group Instruments Division, Raleigh, USA) 15kg of vertical and oblique loads was applied at central fossa of missing 2nd molar area. Results : The strain on lingual side of 2nd premolar was the greatest, and abutment splinting induced decrease of strain on buccolingual side of 2nd premolar. The strain of loaded area was decreased by abutment splinting and there was no statistical difference of strain between Group2 and Group 3, and strain on 2nd premolar in wrought wire clasp was the least. Conclusion: Within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splinting of two distal abutment teeth is enough for stress distribution widely, and wrought wire clasp was more benefitable than others.

편측성 후방연장 국소의치에서 직접유지장치의 설계와 지대치 골흡수에 따른 간접유지장치 지대치 주위조직에 발생하는 응력분석 (ANALYSIS OF STRESS DEVELOPED WITHIN THE SUPPORTING TISSUE OF ABUTMENT TOOTH WITH INDIRECT RETAINER ACCORDING TO VARIOUS DESIGNS OF DIRECT RETAINER AND DECREE OF BONE RESORPTION)

  • 이석현;이청희;조광헌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150-165
    • /
    • 1998
  • For the purpose of evaluating the effect of both direct retainer design and bony absorption degree around abutment of indirect retainer on the supporting tissue of abutment of indirect retainer, dislodging force was transmitted to unilateral distal extension RPD bases. Analysis of stress distributed within the supporting tissue around abutment of indirect retainer was carried out. Using three-dimensional photoelastic stress analysis method and the conclusion is a follows. 1. According to the extent of force which the direct retainer of the most distal abutment tooth, the amount of force transmitted to the abutment tooth of indirect retainer was small. 2. Of all the cases, Mandibular first premolar which was used abutment tooth of indirect retainer, buccal, mesial and distal sides represented compression stress and lingual side represented tensile stress. 3. The more bone resorption of abutment tooth of indirect retainer, the more distortion of buccal and distal side of abutment tooth was existed and the extent of compression stress which was existed and distal side to abutment tooth was large. 4. When the alveolar bone around the abutment with indircet retainer is normal. The amount of force transmitted on abutment with indirect retainer was small in the order of Akers clasp, RPA clasp, RPI clasp. 5. When the alveolar bone around the abutment with indirect retainer has been absorbed 20% and 30%, the amount of force transmitted on abutment with indirect retainer was small in the order of RPA calsp, RPI clasp, Akers clasp. 6. When denture is displaced, shape of the direct retainer reciprocating abutment affect much the function of indirect retainer.

  • PDF

후방연장 국소의치에서 지대치의 splinting에 따른 치주조직의 응력 변화에 관한 유한요소법적 연구 (FINITE ELEMENT ANALYSIS OF STRESS PATTERNS ON PERIODONTIUM OF SPLINTED ABUTMENTSFOR DISTAL EXTENSION REMOVABLE PARTIAL DENTURE)

  • 황재웅;장익태;김광남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241-268
    • /
    • 1995
  • Splint therapy, the immobilization of teeth, has been done for patient's masticatory comforts and an adjunctive aid in periodontal therapy. Mandibular premolars are frequently splinted in many distal extension removable partial denture cases. But splinting is an extensive restoration that may not be conservative of tooth structure and may prove to be quite costly to the patient. The two dimensional finite element analysis method was used to determine the magnitude and mode of distribution of the stresses of the periodontal ligament and supporting alveolar bone when abutments with different periodontal supports were splinted and distal-extension removable partial denture was subjected to different loading scheme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When abutments were splinted, stresses moved from apico-distal to apico-mesial of terminal abutment on a vertical force and from disto-alveolar crest to apex on a distally directed force. But stresses were generally diminished on a mesially directed force. 2. As vertical bone loss was proceeding, most of stresses were transmitted to residual ridge and the rest of stresses were concentrated on apex of distal abutment. But these apical stresses were minimized when abutments were splinted. 3. As mesially inclined bone loss was proceeding, it seemed to be dangerous that many stresses were concentrated on the distal alveolar crest, especially in the distally directed load case. Abutments splinting decreased the alveolar crestal stresses but not enough. 4. For all vertical stresses were effectively decreased on splinting, stresses were concentrated as highly on apico-mesial area of distal abutment in distally directed load cases as the distal inclination of bone level was severe. 5. The directions and magnitudes of abutment movements were decreased with teeth splinting.

  • PDF

전악 고정성 보철 수복 환자에서 T-Scan 분석을 이용해 전-측방유도를 부여한 상악 임플란트 보철 수복 (Maxillary anterior implant restoration with appropriate anterior guidance using T-Scan in a patient with full fixed prostheses)

  • 남래경;방은경;조영은;박은진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5권4호
    • /
    • pp.419-426
    • /
    • 2017
  • 임플란트는 자각증상을 느끼기 어렵고, 완충역이 없으므로 응력 분포를 고려하지 않는 경우 기계적 실패를 야기할 수 있다. 다수의 상악 전치부 임플란트 수복의 경우 하악의 기능 운동 시 유도를 담당함으로써, 임플란트에 가해지는 측방력의 분산에 중요한 역할을 하므로, 적절한 가이드의 설정이 중요하다. T-scan system을 이용하는 방법은 교합지나 shimstock을 사용하는 기존의 정성적인 방법에 비해, 시간에 따른 교합의 변화와 기능 운동시 접촉되는 치아의 기여정도 및 육안으로 관찰하기 어려운 후방 구치나 반대편 치아의 접촉을 파악하는 등 동적인 교합평가에 유리하다. 본 논문에서는 다수의 상악 임플란트 보철물에 조화로운 전방유도를 부여하기 위하여 T-scan 분석을 활용하는 방법에 관하여 증례를 통해 살펴보고자 한다.

이종재료 접합을 위한 Self-Piercing Rivet의 단조공정설계 (Forging Process Design of Self-Piercing Rivet for Joining dissimilar Sheet Metals)

  • 김동범;이문용;박병준;박종권;조해용
    • Journal of Advanced Marin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36권6호
    • /
    • pp.802-807
    • /
    • 2012
  • SPR(Self-piercing rivet)은 판재 접합법으로서 스틸과 알루미늄 합금 등의 이종재료 접합에 사용되고 있다. 접합 공정은 피어싱을 포함한 소성변형이 함께 이루어진다. 프레스에서 펀치의 아래에 있는 리벳은 상부판재를 피어싱하고 하부 판재와 기계적으로 맞물리며 소성변형되어 결합된다. 본 논문에서는 SPR을 제작하기 위한 단조공정을 설계하였고, 이를 위하여 상용 유한요소해석 코드인 DEFORM-2D를 이용하여 해석하였다. 리벳 제작을 위한 단조공정의 설계에서 공정 순서, 성형성, 단조하중, 응력과 변형률 분포 등을 조사하였다. 또한 시뮬레이션 결과를 통하여 적합한 단조공정을 설계하였다. 설계된 공정은 업세팅, 헤드부 성형, 후방압출, 두 번째 챔퍼링의 네 단계로 구성된다. 그리고 단조공정에 대한 시뮬레이션 결과는 같은 조건을 적용한 실험 결과를 통하여 검증하였다.

파도와 조류에 의한 수직 파일의 유한요소 동적거동 해석 (Finite Element Dynamic Analysis of a Vertical Pile by Wave and Tidal Current)

  • 박문식
    • 한국전산구조공학회논문집
    • /
    • 제17권2호
    • /
    • pp.183-192
    • /
    • 2004
  • 본 논문에서는 수직으로 시추된 해양 파일에 대한 새로운 동적 해석절차가 제안되고 전형적 설계문제에 의하여 검증된다. 해수에 잠긴 파일의 구조는 물론 해양파도와 조류에 의한 힘도 유한요소법에 의해서 정식화되고 모델링된다. 유한요소 방정식에 적합한 파력을 구하기 위해서 여러 가지 파도이론 가운데서도 Airy의 파도이론이 시험되고 선정되었다. 조류의 후방와류에 기인한 횡방향 양력은 Strouhal 진동수와 적절한 양력계수를 가진 간단한 조화함수에 기초한다 파일에 대한 고유진동수 해석과 주파수 응답해석은 정식화 결과를 NASTRAN에 입력하여 계산되었다. 여기서 제안된 절차에 의해 얻어진 동적 변위와 응력의 결과는 기본설계해석 단계로서 해양파일의 파력과 조류 양력에 의한 동적거동을 구할 수 있으며 설계에 응용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편측 후방 치아 잔존시 의치 설계에 따른 지대치지지 조직과 잔존 치조제의 응력 분석에 관한 연구 (STRESS ANALYSIS AT SUPPORTING TISSUE OF ABUTMENT TEETH AND RESIDUAL RIDGE ACCORDING TO DENTURE DESIGN WITH REMAINING UNILATERAL POSTERIOR TEETH)

  • 안광호;정영완;진태호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185-199
    • /
    • 1999
  • This study was peformed to investigate the distribution and magnitude of stress at supporting tissue of abutment teeth and residual ridge tissue with remaining unilateral posterior teeth. Four types of removable partial dentures that included clasp retained removable partial denture, attachment retained removable partial denture, telescopic removable partial denture, and swing-lock partial denture were designed, and strain gauge was used for stress analysis. Each prosthesis was subjected to simulated vertical and oblique load.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from this study. 1. The clasp retained removable partial denture generally distributed simulated vertical force more evenly to the supporting structure. 2. The stress at buccal side of 1st premolar was the lowest in swing-lock partial denture and that was highest in attchment retained removable partial denture. The stress at lingual side of 1st premolar was the lowest in telescopic partial denture. 3. In clasp retained removable partial denture, stress was lower at load site and ridge crest at mid-line, but it was higher at 1st premolar area on vertical load. 4. In attachment removable partial denture, stresses at buccal side of 1st premolar. lingual side of 1st premolar on vertical load, and ridge crest at midline on oblique load were higher. 5. In telescopic removable partial denture, stress at lingual side of 1st premolar was the least in all removable partial dentures, but the stress at load site was higher. 6. In swing-lock removable partial denture, stress at buccal side of 1st premolar was the lowest, and stresses at load site and distal end of residual ridge crest were higher.

  • PDF

티타늄 박막을 이용한 자동차 타이어 압력센서 (Automotive Tire Pressure Sensors with Titanium Membrane)

  • 채수
    • 실천공학교육논문지
    • /
    • 제6권2호
    • /
    • pp.105-110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강한 내구성을 지닌 자동차 타이어용 압력센서를 개발하기 위해 박막 물질로서 적용될 티타늄 멤브레인의 기계적 특성이 연구되었다. 제작공정으로 기존의 마이크로 머시닝공정과 적층 공정기술이 동시에 적용되었으며, 티타늄 멤브레인 기반의 압력 센서가 설계, 제조 및 특성화 되었다. 마이크로 머시닝 공정을 통한 티타늄 멤브레인과 기판의 접합 제조과정은 30분 동안의 20 MPa의 압력과 $200^{\circ}C$의 온도과정 후 $24^{\circ}C$에서의 냉각으로 진행된다. 각각의 압력센서 표면은 니켈 도금된 후방전극이 기판 위에 마이크로 소자로 조립되었다. 제작과정에서 발생한 잔류응력을 예측하기 위해 유한요소 해석이 적용되었다. 또한 티타늄 멤브레인의 외부 압력하에서 변형에 의한 처짐이 계산되었다. 제작된 장치의 민감도는 $10.15ppm\;kPa^{-1}$ 였고 이때의 정전용량 변화량은 0.18 pF, 압력 범위는 0-210 kPa 였다.

신규 블레이드 안테나 장착을 위한 노후 회전익 항공기 구조 해석 연구 (Structural Analysis for Newly Installed Blade Antenna of Rotorcraft)

  • 유정오;김재용;최항석
    • 항공우주시스템공학회지
    • /
    • 제15권5호
    • /
    • pp.106-112
    • /
    • 2021
  • 본 논문에서는 군에서 운용하고 있는 회전익 항공기의 후방 동체 상부에 블레이드 형상을 가진 안테나 장착 설계와 구조 건전성 해석을 수행하였다. 항공기 운항 중 안테나 또는 지지 구조물이 파손되면 기체에서 분리되어 로터 부위 및 블레이드와 충돌할 수 있다. 이 경우 항공기가 추락에 이를 수 있는 위험한 상황이 되기 때문에 반드시 개조 구조물들에 대한 구조 해석을 통해 구조적인 안전성을 확보해야 한다. 안테나 신규 장착 부위와 개조 부위에 대한 설계 요구 조건을 분석하고, 개조 전/후 항공기에 작용하는 하중을 적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안테나 신규 장착 부위와 개조 부위에 대한 설계 요구 조건을 분석하고, 개조 전/후 항공기에 작용하는 하중을 적용하여 지지 구조물에 대한 구조해석을 수행하여 안전성을 확보하였다. 유한요소 모델을 구성하여 응력과 변형량을 확인하고 이론적인 분석 방법을 통해 유한요소 모델을 검증하였다. 이를 토대로 설계된 구조물의 구조 건전성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