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후무사

검색결과 45건 처리시간 0.028초

일본 가고시마 이즈미 후모토 마을의 근세 무사주택의 평면공간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lane Spatial Characteristics of Modern Samurai Houses in Izumi Fumoto Village, Kagoshima, Japan)

  • 김윤상
    •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 /
    • 제34권5호
    • /
    • pp.29-38
    • /
    • 2018
  •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a group of samurai residences among other traditional Japanese villages and to accumulate the village-level sample data of a residential group, which can serve as the foundation for a wide range of discussions. Using data that had been gathered since 1989, this study draw up a prototype floor plans to analyze the indoor spatial features of the residences in the modern period, and sampled 35 samurai houses. The following are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Japanese houses were found among many Izumi Fumoto samurai residences up until the early Meiji period. However, after gradually the floor plan became more and more simplified; connections between rooms were reduced, decreasing their flexibility; and there was a rise in the number of houses with a larger area devoted to the Nando, a room for women and family members. The access of a visitor involved changes in one's eye-level view and established physical and psychological boundaries, which this study conjectures was used as a method to ensure that the visitor recognized the authority of the patriarch and to raise the family's reputation. As their floor plan was simplified, Izumi Fumoto samurai houses established one's eye view, boundaries, and procedures as a way to enhance the authority of the man of the family and the family's reputation. In addition, while there was an increasing number of residences that expanded the area of the Nando, in which family members slept and used the space in a stable way, they maintained the exclusivity of private space and did not clearly show who would use it.

배추무사마귀병균 휴면포자의 발아 및 생존에 미치는 몇가지 환경요인 (Some Environmental Factors Affecting Germination and Survival of Resting Spores of Plasmodioprora brassicae)

  • 김충회;조원대;김홍모
    • 농약과학회지
    • /
    • 제4권4호
    • /
    • pp.66-71
    • /
    • 2000
  • 불활성 휴면포자율의 변화를 경시적으로 조사하여 휴면포자 발아에 미치는 온도의 영향을 간접적으로 측정한 결과 $28^{\circ}C$에서 24시간 후에는 55.6%, 132시간 후에는 82.5% 발아하여 가장 양호하였으며, $24^{\circ}C$, $16^{\circ}C$의 순이었다. 발아 최적산도는 pH 6이었으며 pH 7, 8의 순으로 좋았고, pH 4, 9에서는 발아가 현저히 억제되었다. 휴면포자의 발아는 무, 배추 등의 기주작물과 강남콩의 뿌리 마쇄액에서 가장 높았으며, 상추에서는 현저히 낮았다. 휴면포자의 불활성화에 미치는 고온 처리효과를 조사한 결과 온도가 높을수록 그리고 처리 시간이 경과할수록 불활성 휴면포자의 수는 증가하였으나 $40{\sim}65^{\circ}C$ 온도범위내에서 1시간 후 불활성화 정도는 $40{\sim}60%$로 대체로 비슷하였다. 그러나 $70^{\circ}C$ 처리에서 불활성화율은 급격히 증가하여 60분간 처리시 불활성화율이 91.5%에 달하였다. 뿌리혹을 담수처리하면 불활성화된 휴면포자의 비율이 급격히 증가하여 9일 후에는 60.3%에 달하여 담수에 의하여 휴면포자가 급격히 불활성화되었다. 이병토양을 담수하여도 5개월 후에 30%이상 휴면포자 밀도가 감소하였다. 무사마귀병 방제약제중 후루아지남이 후루설파마이드에 비해 휴면포자 불활성화 효과가 좋았으나 두 약제 모두 아인산염에 비하여 그 효과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안면마비로 초기 발현된 소아 급성골수성백혈병: 조혈모세포이식으로 성공적으로 치료한 3예 (Facial palsy as the presenting symptom of acute myeloid leukemia in children: Three cases with stem cell transplantations)

  • 백희조;한동균;김영옥;최익선;황태주;국훈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2권6호
    • /
    • pp.713-716
    • /
    • 2009
  • 안면 마비가 백혈병의 최초증상으로 발현되는 경우는 매우 드물고, 이들 대부분은 두개내 방사선 치료를 받는다. 이에 저자들을 백혈병의 최초증상으로 안면마비가 발현된 3례의 환자들을 보고하고자 한다. 3례 모두 두개내 방사선 치료없이 관해유도가 된 후 조혈모세포이식을 시행하였다. 2례는 동종이식 후 각각 52개월, 62개월까지 무사건 생존 중이고, 나머지 1례는 자가이식 후 재발의 최초증상으로 안면마비가 나타났고, 타인 조혈모세포이식 후 59개월째 무사건 생존 중이다. 2례에서 여전히 안면마비가 남아있긴 하지만, 두개내 방사선 치료 없이도 동종 조혈모세포이식으로 안면마비가 발현된 백혈병을 치료하여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배추 무사마귀병 방제약제의 처리방법 개선을 통한 방제효과 제고 (Improvement of Control Effect by Change of Chemical Application Method on Clubroot disease of Chinese Cabbage Caused by Plasmodiophora brassicae in Field)

  • 장석원;홍순선;김성기;김희동;이은섭
    • 식물병연구
    • /
    • 제6권1호
    • /
    • pp.39-42
    • /
    • 2000
  • 배추무사마귀병 방제약제의 연용횟수에 다른 방제효과를 조사하기 위해 후루설파마이드분제 처리시 방제가는 1회 단용 24.5%, 2회 연용 84.0%, 3회 연용 88.6%로 약제를 연용할수록 높아졌으며, 10a당 상품수량도 각각 4,968~5,779kg으로 높았다. 후루설파마이드분제 2회 연용 후 3회 재배시 방제가는 53.9%로 다소 낮았으며 10a당 상품수량은 4,822kg으로 약제비, 노동력 투여 등을 고려할 때 3회 연용 재배보다 2회 연용후 3회재배가 경제적 방제수준으로 여겨진다. 방제약제 처리방법개선시험에서는 후루설파마이드분제 시용시 농가관행인 토양환화 처리의 방제가는 봄재배 61.5%, 가을재배 48.9% 에 비하여 상토혼화+재배지토양혼화 처리시 각각 7.6%, 64.4%로 높았으며, 10a당 상품수량도 토양혼화처리구 봄재배 3,167kg, 가을 재배 2,847kg에 비하여 82~98% 증수하여 효과적인 처리방법이었다.

  • PDF

자두와인 내 폴리페놀 화합물의 항산화 및 항바이러스 활성 (Antioxidant and Antiviral Activities of Polyphenolics in Plum Wine)

  • 강병태;권두한;최화정;김순희;박동철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5권6호
    • /
    • pp.891-896
    • /
    • 2008
  • 피자두와 후무사로 만든 자두와인 내 총 페놀화합물과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비교분석한 결과, 총 페놀화합물은 피자두 와인 ($478.4{\pm}5.6\;mg/L$)이 후무사 와인 ($200.6{\pm}7.5\;mg/L$)보다 2배,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피자두 와인 ($202.4{\pm}7.5\;mg/L$)이 후무사 와인 ($64.4{\pm}6.8\;mg/L$)보다 3배 이상 많았다. 자두와인 자체의 항산화 효과를 DPPH 전자공여능으로 비교분석하였을 때 정제된 페놀화합물보다 그 활성이 크게 낮았으나, ethyl acetate로 추출한 중성 페놀화합물과 산성 페놀화합물의 항산화 활성은 mg/mL의 농도에서 정제된 페놀화합물과 비슷하게 나타났다. 특히, 중성페놀화합물의 경우, $100{\mu}g/mL$의 농도에서 64.5%의 전자공여능을 나타내었는데 이는 동일 농도의 정제된 페놀화합물(chlorogenic acid 15.5%, quercetin 24.6%)의 활성보다 3배 이상 높은 값이었다. vero cell에 돼지설사바이러스(PEDV)를 감염시켜 페놀화합물의 항바이러스 활성을 분석한 결과 중성 페놀화합물이 저농도 ($10\;{\mu}g/mL$이하)에서 상용 항바이러스제인 ribavirin보다 세포독성효과 (CPE)를 더 억제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종류의 페놀화합물간에는 중성 페놀화합물이 산성 페놀화합물에 비해 최대 1.5배 정도 더 높은 항바이러스 활성을 보여주었다. 그러나, 고농도 ($100\;{\mu}g/mL$)에서는 ribavirin이 페놀화합물보다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정상세포에 대한 세포독성은 모든 실험군에서 나타나지 않아 페놀화합물의 항바이러스 활성이 바이러스 특이적인 효과임을 알 수 있었다.

비상탈출용 대피트랩 개발에 관한 기초 연구 (Development of basic research on the trap evacuation for emergency escape)

  • 최규출;나판주
    • 한국화재소방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화재소방학회 2010년도 춘계학술논문발표회 논문집
    • /
    • pp.322-330
    • /
    • 2010
  • 초고층 건축물의 급속한 증가는 건축물 화재 시 고층에서 보다 빨리 피난할 수 있는 구조적 피난설비를 요구한다. 기존의 구조용 완강기나 구조대는 고층에서는 피난자의 공포감을 충분히 해소하기에 역 부족이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한 성능을 갖추어 동시에 다수의 피난자를 대피시킬 수 있는 새로운 피난기구가 요구되고 있다. 이에 고층에서도 동시에 여러 사람이 안전하고, 신속하게 피난층까지 무사히 대피가 가능한 유압식 피난기구를 고안하고, 개략 설계하게 되었다. 이 연구를 기초로 향후 상세설계를 마친 후 고층 건축물에 적용되어 안전한 피난기구가 되었으면 한다.

  • PDF

예비발효 및 압출조리 전처리가 쌀-대두분 혼합액의 유산균 발효에 미치는 영향

  • 이철호;무사수안네;류기형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2003년도 제23차 추계총회 및 국제학술심포지움
    • /
    • pp.218.1-218
    • /
    • 2003
  • 쌀을 기질로 하는 유산균 음료 발효에서 Bacillus와 효모의 혼합배용을 이용한 고체상태 예비발효와 extruder를 이용한 압출조리 전처리가 유산균의 생육을 증진하는 효과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Bacillus laevolacticus 와 Saccharomyces cerevisiae의 혼합배양을 쌀과 탈지 대두분의 혼합물에 접종하여 고체 상태로 45$^{\circ}C$에서 배양한 후 자가발열형 단일촉압출성형기를 통하여 처리함으로서 살균과 조직의 변화를 도모하였다. 이렇게 처리된 물질을 분산액으로 만들어 Lactobacillus plantaum 과 Leuconostoc mesenteroides 혼합배양을 접종하여 유산발효시켰다. 예비발효와 압출조리에 의하여 유산균의 증식속도와 산생성이 증가하였으며 가용성 고형분의 함량이 크게 증가하였고 분산 안정성이 향상되었고 관능적 기호도 증가하였다.

  • PDF

자두(후무사, 대석, 피자두) 추출물이 LPS로 염증을 유발한 Raw 264.7 세포와 암 세포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Extracts from Oriental Plum (Formosa, Oishiwase, Soldam) on LPS-stimulated Raw 264.7 Cells)

  • 김세나;김소영;김정봉;박홍주;조영숙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97-202
    • /
    • 2013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anti-cancer and anti-inflammatory activities of plum (Formosa, Oishiwase, Soldam) for the future development of functional food products. To determine the anti-inflammatory effect of different types of plums, the inhibitory effect of plum extracts on nitric oxide (NO) production were measured in lipopolysaccharide (LPS)-stimulated Raw 264.7 mouse macrophage cells and human cancer cell lines (A549, Ags, Hela, Hep3B). Among the three different plum cultivars, Oishiwase at a concentration of 1 mg/mL showed the highest inhibitory effects on NO production (%) in Raw 264.7 macrophage cells. Moreover, Oishiwase exhibited a higher anti-cancer activity against A549 (renal carcinoma, 50%), Ags (gastric carcinoma, 35%), HeLa (cervical carcinoma, 50%), and Hep3B (hepatocellular carcinoma, 31%) at a concentration on 1 mg/mL, respectively, compared to Formosa and Soldam. Our findings suggest Oishiwase plum extracts may serve as potential dietary sources of natural health promoting substances.

수술 중 발견된 한랭응집소를 가진 환자의 개심술 - 1례 보고 - (Open Heart Surgery in Patient with Incidentally Detected Cold Agglutinin - A case report -)

  • 윤영남;이삼윤;유경종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4권10호
    • /
    • pp.797-799
    • /
    • 2001
  • 한랭응집소는 저온에서 적혈구의 용혈 및 응집반응을 일으켜 저체온법을 이용한 개심술 시 치명적인 합병증을 일으킨다. 41세 남자 환자가 승모판 협착증을 진단 받고 외래 관찰 도중 기침과 발열 등의 폐렴증상으로 입원하여 항생제 치료 후 승모판 치환술을 받았다. 수술 도중 심정지액의 온도를 내리면서 응집현상을 관찰하고 한랭반응단백질에 의한 응집현상을 의심하여 심정지액을 온혈성으로 바꾸고 정온 체외순환으로 무사히 개심술을 마쳤으며, 수술 후 면역혈청학검사에서 한랭응집소를 확인하였기에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 PDF

진단 시 1세 이하인 신경모세포종 환자의 치료성적 (Outcome of patients with neuroblastoma aged less than 1 year at diagnosis)

  • 서정민;이상구;유건희;성기웅;구홍회;김주연;조은주;이석구;김진국;임도훈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2권1호
    • /
    • pp.93-98
    • /
    • 2009
  • 목적 : 진단 시 1세 이하인 신경모세포종 환자들의 임상적 특징을 알아보고, 이들의 치료 성적을 보고하고자 하였다. 방법 : 1997년 1월부터 2007년 12월까지 삼성서울병원 소아청소년과에서 새로 진단된 신경모세포종 환자 중 진단 시 나이가 1세 이하인 환자를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저위험군 중 1병기 환자들은 수술만 하였고, 2병기 환자들은 수술 후 단기간 화학요법을 시행하였다. 중간위험군 환자들은 수술 전 화학요법을 시행한 후 종양제거 수술과 수술 후 화학요법, 그리고 필요시 방사선 치료를 시행하였다. 중간위험군 환자에서는 통상적인 항암치료를 한 후에도 큰 잔존 종양이 있을 경우 고용량 화학요법 및 자가조혈모세포이식을 시행하였다. 고위험군 환자들은 통상적인 치료를 시행한 후 고용량 화학요법 및 자가조혈모세포이식, 면역요법과 분화요법 등 강력한 항암치료를 시행하였다. 결과 : 총 41명의 환자 중에서 1명에서 종양이 재발하였으며, 7명이 치료 독성으로 사명하였다. 5명의 환자가 통상적인 화학치료 중 감염으로 사망하였으며 이들 중 4명이 급성호흡곤란증후군으로 사망하였다. 그리고 2명의 환자가 고용량 화학 치료 및 자가조혈모세포이식을 하던 중 급성 심근염으로 사망하였다. 대상환자 41명의 진단 후 5년 전체 생존율(${\pm}$표준오차)은 $82.8{\pm}5.9%$였고 독성 사망과 재발을 사건으로 정의하였을 때 진단 후 5년 무사건 생존율은 $80.0{\pm}6.3%$였으며 정중 추적관찰 기간은 58개월이다. 생존율을 위험군 별로 비교하였을 때 저위험군, 중간위험군, 고위험군의 5년 무사건 생존율은 각각 100%, $68.4{\pm}10.8%$, $66.7{\pm}19.3%$였다. 결론 : 진단 시 1세 이하인 신경모세포종 환자들의 치료 성적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감염에 대한 철저한 관리와 예방이 필요하며, 독성 사망을 감소시키기 위한 새로운 치료법의 개발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