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후두 협착

검색결과 62건 처리시간 0.023초

구개인두성형술로 교정한 비인두 협착증 (A Case Report of Nasopharyngeal Stenosis Corrected by Velopharyngoplasty)

  • 최홍식;임재열;신승호;남태욱
    • 대한후두음성언어의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59-62
    • /
    • 2002
  • We present a case of nasopharyngeal stenosis which developed after adenotonsillectomy. A 11-year-old boy underwent adenotonsillectomy because of snoring at a local clinic using a $CO_2$ LASER. After the operation, he cannot breathe via nose due to severe cicatrical nasopharyngeal stenosis. Nasopharyngeal stenosis and oropharyngeal stenosis are rare and challenging problems in the pediatric population. The most common etiology is currently the surgical trauma associated with adenotonsillectomy. Stenosis can vary from a thin band to a complete obstructing cicatrix. Presenting symptoms range from mild hyponasal speech to severe airway obstruction. We treated the patient with velopharyngoplasty using two separate rotational mucosal flaps.

  • PDF

성대전연부 격막의 레이저치료 및 endolaryngeal silastic keel 삽입술의 효과 (Management of Anterior Glottic web with Laser Vaporization and Silastic Keel Insertion)

  • 최종욱;정도광;김용환;오재훈;허경회
    • 대한음성언어의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음성언어의학회 1993년도 제1회 학술대회 연제순서 및 초록집
    • /
    • pp.21-21
    • /
    • 1993
  • 발성장애와 호흡곤란을 주소로 하는 성대 전연부 격막은 후두병변의 부적절한 치료, 만성염증 또는 외상 등의 후천적인 원인으로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성문중 가장 협소한 부위인 전연부에 발생한 격막에 대하여는 여러 가지 다양한 치료방법이 보고되고 있지만, 재협착의 가능성이 높고, 치료후 반흔 조직에 의하여 음성의 질을 높이는데 한계점이 있다. (중략)

  • PDF

후두전적출술후 Myomucosal tracheoesophageal shunt를 이용한 음성 재활에 관한 연구 (VOICE REHABILITATION FOLLOWING LARYNGECTOMY -MYOMUCOSAL TRACHEOESOPHAGEAL SHUNT-)

  • 엄재욱;이건주;박춘근
    • 대한기관식도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관식도과학회 1991년도 제25차 학술대회 연제순서 및 초록
    • /
    • pp.27-27
    • /
    • 1991
  • 저자들은 후두전적출술을 시행한 환자의 음성재활을 위해 식도의 근육과 점막을 이용한 shunt를 만들고 이상적인 shunt의 기능을 위해 shunt의 길이, 직경, 적절한 괄약효과 보강, 음성훈련 요령등에 대해 개 5마리를 이용한 동물실험 및 5례의 임상 적용을 통해 다음과 같은 지식을 얻었기에 문헌 고찰과 아울러 보고하는 바이다. 1. shunt의 협착에 대한 문제는 없었다. 2. 식도측의 입구를 좁혀 줌으로서 기관으로의 흡인을 방지할 수 있었다. 3. Nelaton catheter는 72시간 삽입이 적당했다. 4. 음성훈련은 3주부터 시작함이 적당했다. 5. shunt의 길이는 3 cm가 적당했다.

  • PDF

예기치 못한 후두 입구 협착으로 인한 환기 부전 상황에서의 비디오 후두경의 유용성 1예 (A Case of Successful Use of C-MAC® Video Laryngoscope in 'Cannot Ventilate' Situation Due to Unexpected Severe Narrowing of Laryngeal Inlet)

  • 문정환;이선홍;강봉진
    • 대한후두음성언어의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22-125
    • /
    • 2016
  • Although many factors associated with difficult intubation have been known, predictors of difficult mask ventilation are not well known. We experienced a case of nearly complete airway obstruction following usual anesthetic induction which needed various emergency treatments. The patient had a preoperative diagnosis of contact granuloma of right posterior vocal cord and bilateral vocal cord palsy but later was found out as invasive laryngeal cancer. Upon the surgical field of view, both vocal cords were showing significantly thickened and fixated appearance and was considered as in the critical narrowing state with the potential of complete obstruction. Using $C-MAC^{(R)}$ video laryngoscope we were able to see the narrowed vocal cord and choose proper size of endo-tracheal tube. Consequently, intubation was successfully done and operation was conducted. From this case, we have lessons that physicians should examine the patient's airway more carefully in case of laryngeal mass and prepare emergency measures.

  • PDF

술 후 후두협착을 예방하기 위한 외래에서의 Mitomycin-C의 반복 국소적용 (Office-Based Mitomycin-C Application to Prevent Postoperative Laryngeal Stenosis)

  • 장전엽;이길준;손영익
    • 대한후두음성언어의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36-41
    • /
    • 2009
  • Background and Objectives: Topical administration of mitomycin-C (MMC) has been reported to reduce or delay scar formation in airway surgery. However, it is not infrequent to experience recurrent stenosis or adhesion of operative wound even after a meticulous MMC application during the laryngeal surgery. Therefore we aimed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repeated postoperative MMC applications and the technical feasibility of MMC applications to the laryngeal wound at an outpatient clinic. Methods: We reviewed medical records of 13 consecutive patients who received office-based MMC applications after laryngeal airway surgery at Samsung Medical Center, Seoul, Korea. The patients were grouped into 3 categories according to the site of surgical wound and the purpose of MMC application; group I : supraglottic stenosis (n=5), group II : cordectomy and arytenoidectomy site granulation prevention (n=3), Group III : laryngeal web prevention (n=5). Outcomes in each group and adverse effects of repeated MMC applications were evaluated. Results: Office-based MMC application was successfully performed one to four times with a week interval for each patient. No significant complications were observed except slightly decreased mucosal wave in one female patient who received 4 times of MMC application at the anterior commissure of vocal fold. Repeated MMC applications at the outpatient clinic resulted in wide or acceptable supraglottic airway in group I, clean wound healing without granulation formation in group II, and negligible or no web formation at the anterior commissure in group III. Conclusion : Office-based topical administration of MMC to the larynx was technically feasible. Postoperative repeated MMC applications were effective to reduce recurrent stenosis or adhesion of supraglottic structures, to prevent granuloma formation after laser arytenoidectomy and glottic web formation after anterior commissure resection.

  • PDF

경부기관절제 및 단단문합술

  • 김광문;홍원표;최홍식;조정일;최은창;김명상
    • 대한기관식도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관식도과학회 1995년도 이비인후과 종합학술대회 초록집
    • /
    • pp.90.1-90
    • /
    • 1995
  • 저자들은 최근 4년간 11례에서 기관절제 및 단단문합술을 사용하였기에 그 치료 결과를 살펴보고 치료적용의 범위를 넓혀보고자 한다. 대상은 후두-기관협착증 2례, 기관협착증 8례, 갑상선암 1례로 총 11례였으며 이중 3례에서 기관-식도누공이 동반되어 있었다. 술후 발거가 가능했던 경우는 8례였으며 발거가 불가능했던 경우는 술전에 이미 양측성대마비가 있던 경우 l례, 문합부위 아래에 새로운 협착 부위가 생겼던 1례, 기관 연골의 과도한 결손이 있었던 경우가 1례 있었다. 합병증으로 창상감염 1례, 육아조직 3례의 경우는 치료되었으며 양측성대마비가 있던 경우는 편측성대절제를 하여 관찰 중이다. 이상의 결과를 볼 때 기관절제 및 단단문합술이 실패한 경우는 2례로 술전 동반질환의 정확한 검사 및 절제부위의 국소화, 수술시 문합부위의 장력을 최소화하여 시행한다면 합병증은 비교적 받아들일만 하며 비교적 성공율도 기대할 만한 술식으로 여겨졌다.

  • PDF

외상성 후두 협착 치험례 (A Case of Traumatic Laryngeal Stenosis)

  • 강연섭;정재봉;변우현;조윤태;박해수
    • 대한기관식도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관식도과학회 1981년도 제15차 학술대회연제순서 및 초록
    • /
    • pp.9.2-9
    • /
    • 1981
  • 심한 두경부 외상은 교통사고·폭행·산업재해 등으로 인하여 나날이 증가일로에 있다. 이 때는 대개 시급한 기관절개술 및 신경외과적 치료가 필요한 경우가 많은데, 두부 외상에 대한 치료뿐 아니라 그에 상당하는 관심을 가지고 경부외상을 치료하지 않으면 후일에 심각한 합병증 및 후유증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주의를 환기 할 필요가 있다. 최근 저자들은 약 1년 6개월 전에 집단 폭행으로 두부 및 후두부에 외상을 입고 타 병원에서 두개골절제술 및 기관절개술을 받은 20세 남자 환자에서 발생한 후두 협착을 다단계 수술로써 치료하여 좋은 결과를 얻었으므로 이에 문헌 고찰과 아울러 보고하는 바이다.

  • PDF

갑상연골 골절로 인한 성대마비의 치험례 (A Case of Thyroid Cartilage Fracture with Vocal Cord Paralysis)

  • 조진규;차창일;안회영;조중생;홍남표
    • 대한기관식도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관식도과학회 1983년도 제17차 학술대회연제순서 및 초록
    • /
    • pp.14.2-14
    • /
    • 1983
  • 후두외상의 손상은 그 정도나 범위에 따라 차이는 인지만 주요 후유증으로는 기도폐쇄, 부종, 주위조직의 봉와직염 및 농양, 누공, 후두연골 및 연골지막염, 만성 후두협착, 성대마비, 기관발거곤란증, 성음장애 등을 들 수 있고, 일반적인 후두외상의 치료방법은 일차적으로 신속한 기도유지를 위한 처치를 한 다음 상기각 후유증에 따르는 이차 시술을 시행하는 것이 보통이다. 최근 저자들은 교통사고로 인한 후두부 및 경부의 폐쇄적 외상으로 갑상연골 골절과 좌측 성대마비, 연하장애 및 우측 쇄골 골절을 보인 환자에게서 갑상연골 정복술을 시행 후 술후 2개월에 상기 증세의 호전을 보인 예를 경험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