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후두 종양

Search Result 222,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Correlation between MRI finding and whole organ section of the larynx in the cancerous larynges (후두암 환자에서 얻은 후두전체조직 표본과 MRI 소견과의 비교연구)

  • 김광문;김영호;홍원표;최홍식;최은창;장미숙;이승문
    • Proceedings of the KOR-BRONCHOESO Conference
    • /
    • 1993.05a
    • /
    • pp.91-91
    • /
    • 1993
  • The anatomical study of whole organ sections was used necessarily for understanding the histopathological anatomy, and routes of neoplastic spread. Ten whole-organ cancerous larynges were axially sectioned and its histopathologic findings were compared with the MRI findings. This study is designed to evaluate the anatomical relationships of the tumor to the laryngeal structure & possible spread of cancer of the larynx.

  • PDF

The Clinical and Histopathological Study of Laryngeal mass (후두 종양의 임상적 및 병리조직학적 고찰)

  • 김화성;한경수;이준기;정덕희;박재훈
    • Proceedings of the KOR-BRONCHOESO Conference
    • /
    • 1981.05a
    • /
    • pp.9.1-10
    • /
    • 1981
  • The clinical study of 183 cases of laryngeal mass was observed and 88 cases of vocal nodule and polyp which is confirmed histopathologically, were clinically classified into 30 cases of vocal nodule, 48 cases of localized vocal polyp, 10 cases of diffuse vocal polyp, and the following results of microscopic examination were obtained. I. The clinical study of laryngeal mass 1. Among total cases of 183, vocal nodule is 82(45%) vocal polyp 53(29%) postintubation granuloma 3(1%) laryngeal papilloma 18(10%) tuberculosis 2(1%) cancer 25(14%). 2. The sex ratio of male to female is 3:4 in vocal nodule, 1:1 in vocal polyp, 1:2 in postintubation granuloma, 3:2 in laryngeal papilloma, 11:1 in cancer. 3. The age distribution is third-fourth decade in vocal nodule, fourth-fifth decade in vocal polyp, third decade in postintubation granuloma, second and fifth decade in laryngeal tuberculosis, sixth decade in laryngeal cancer. 4. The distribution of symptoms is 5 month. -1 year in vocal nodule and polyp, less than 1 year in laryngeal papilloma and postintubation granuloma, 1 year-3 year in laryngeal tuberculosis and cancer. 5. The location of the lesion is between the anterior 1/3 and middle 1/3 in vocal nodule and polyp and papilloma, middle 1/3 and posterior 1/3 in postintubation granuloma, and is diffusely spread on the entire vocal cord in laryngeal tuberculosis and cancer. 6. The side of the lesion is bilateral in vocal nodule and papilloma and the ratio of right to left is 5:3 in vocal polyp, 2:1 in postintubation granuloma. 7. The size is 1~2mm(67%) in vocal nodule, 3~5mm(42%) in vocal polyp, 6~10mm (67%) in postintubation granuloma, 1~2mm (39%) in papilloma, more than 10mm in tuberculosis and cancer. 8. Among the symptoms, the hoarseness is in more than 90% of disease entity, the sore-throat in tuberculosis and cancer, the dyspnea in postintubation granuloma and papilloma and tuberculosis and cancer. 9. In the past history, certain relationship with smoking is noted in cancer (40%) and tuberculosis(50%) and the history of frequent attack of URI is in papilloma(33%). 10. In occupation, certain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not noted. II. The histopathological study of vocal nodule and polyp. 1. Most polyps and nodules were covered with stratified squamous epithelium, but focal hyperkeratosis, parakeratosis, acanthosis and atrophy were rather frequently observed. Hyperkeratosis and acanthosis was most frequently seen.

  • PDF

Evaluation of voice parameters following supracricoid laryngectomy

  • 김민식;조승호;박영학;선동일;김형태;유우정
    • Proceedings of the KSLP Conference
    • /
    • 1997.11a
    • /
    • pp.260-260
    • /
    • 1997
  • 상윤상후두부분적출술은 과거 후두전적출술을 실시하던 환자들에서 선택적으로 사용하여 만족할만한 종양학적 결과 및 후두의 생리적인 기능을 보존 할 수 있어 점차 널리 보급되고. 있다. 이 술식후의 기능변화나 보상기전등에 대하여는 잘 알려지지 않았으나 정상인과 비교하여 음성지표들의 변화가 보고되고 있다. 이 수술은 원발병소의 위치에 따라 CHEP, CHP 방범으로 재건할 수 있으며 종양의 범위에 따라 일측의 피열연골과 윤상연골의 앞부분을 제거하는 extended procedure등이 사용되고 있다. (중략)

  • PDF

Treatment of Early Laryngeal Cancer - Indication and Technique of Conservative Partial Laryngectomy - (초기 후두암의 치료 - 보존적 후두절제술의 적용범위와 방법 -)

  • 서장수;송시연
    • Korean Journal of Bronchoesophagology
    • /
    • v.3 no.1
    • /
    • pp.27-36
    • /
    • 1997
  • 초기후두암에 있어서 보존적 술식의 장점은 후두 전적출술시와 같은 국소치료효과를 얻을 수 있으면서도 후두의 생리적 기능을 최대한 보존하는데 있다. 성공적인 후두부분절제술을 위해서는 후두내에서 종양의 발생위치 및 그 확산에 대한 연부조직들의 해부학적 역할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과거에는 초기후두암환자에서 정상적인 목소리를 보존할 수 있다는 이점 때문에 방사선 치료가 일차적 치료요법으로 많이 시행되어 왔다. Wang 과 Wong은 성대 막양부에 국한된 병변에서 방사선치료에 대한 5년간 조절율(5-year control rate)이 92%, 전연합부를 침범한 경우가 81%, 그리고 후방으로 전파된 경우 76%로 감소된다고 보고하였다. Olofsson 등은 전연합부를 침범한 57례의 환자에서 방사선 치료를 시행하여 85.7%의 5년 생존율을 얻었으나, 57례중 15례에서 재발하여 구제수술(salvage surgery)을 시행하였고, Jesse 등$^{13)}$ 은 전연합부를 침범한 91례의 T1, T2 성문암을 방사선 치료를 시행하여 8.8%의 실패율을 보였으나 22례의 환자에서 재발하여 후에 salvage surgery를 시행하였다. 그러나 Ogura 등은 피열 연골을 침범한 79례의 환자에서 보존적 수술을 시행한 결과 6례의 환자에서 재발하여 90%의 3-years control rate를 얻을 수 있었다고 보고하였다. 이처럼 병변이 전연합부, 피열연골 혹은 후방성문하부로의 침범이 있는 경우는 방사선 치료 효과가 떨어지고, 따라서 방사선 치료에 실패할 가능성이 보다 높기 때문에 비록 방사선 치료 후 실패한 경우에서 구제 수술을 시행할 수는 있지만 후두기능을 보존하려는 궁극적인 목표를 생각할 때 보존적 수술을 우선적으로 시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다. Biller 등은 방사선 요법에서 실패한 성문부 종양에서는 대부분 전적출술을 시행하지만 일부는 보존적 수술을 시행할 수 있다고 보고하였다. 이들은 반대측 성문부에 종양의 침범이 없어야 하고, 전연 합으로의 파급은 있어도 가능하며 성대돌기를 제외한 피열연골이 정상이어야 하고, 종양의 성문하부로의 파급이 5mm 이내라야 하며, 연골에 침범이 없어야 하고, 성대고정이 없어야 하며, 재발 병소가 방사선요법 전의 원발병소와 상관관계가 있어야 하며, 원발병소가 후두부분적출술에 합당할 경우 보존적 술식을 시행할 수 있다고 하였다. 최근에는 다양한 후두 재건술의 발달로 보다 진행된 후두암에 대한 보존적 후두절제술들이 소개되고 있다. 단측 T3,T4 후두암 혹은 경성문암, 이상와에 위치한 암의 경우 음성만을 재건하는 후두근적출술 (near total laryngectomy)을 시행하기도 한다. 본원 이비인후과에서 1986년부터 초기성문암 51례 중 24례(47.1%)와 초기성문상암 17례 중 12례 (70.6%)에 대하여 보존적 술식을 시행하였다. 초기 성문암의 보존적 술식을 시행한 24례중, 2례(8.3%)에서 경부재발, 1례(4.2%)에서 경부재발과 동반된 폐의 원격전이가 있었으나 원발부위의 재발은 관찰되지 않았고, 술후 합병증으로 1례(4.2%)에서 후두협착, 3례(12.5%)에서 수술부위의 육아종형성, 그리고 1례(4.2%)에서 기관지염이 발생하였으나 오연으로 인한 폐렴은 발생하지 않았다. 초기성문 상암의 보존적 술식을 시행한 12례 중 1례(8.3%)에서 원발병소의 재발, 2례(16.7%)에서 경부재발이 있었으며, 술후 합병증으로 3례(16.7%)에서 오연으로 인한 폐렴의 발생이 있었지만 다른 합병증은 발생하지 않았다. 초기성문암 24례 중 재발이 나타난 3례의 환자를 제외한 21례(97.5%)와 초기성문상암 12례 중 재발이 나타난 3례의 환자를 제외한 9례 (75%)에서는 현재까지 재발소견을 보이지 않고 있다. 이러한 결과는 다른 보고자들과 유사한 결과를 보이고 있지만 아직까지 증례가 많지 않기 때문에 생존율을 얻기에는 미흡한 점이 있으며, 향후 지속적인 추적관찰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2 CASES OF CAROTID ARTERY RUPTURE FOLLOWING TOTAL LARYNGECTOMY (후두전적출술 후에 발생한 경동맥 파열 2례)

  • 이흥만;이광선;황순재;추광철
    • Proceedings of the KOR-BRONCHOESO Conference
    • /
    • 1987.05a
    • /
    • pp.22.2-22
    • /
    • 1987
  • 경동맥 파열은 악성 종양으로 인한 두경부 수술의 1-5%에서 발생하고 80%의 사망률과 생존자의 50%에서 신경학적 후유증을 나타낸다. 저자들은 수술전ㆍ후 방사선치료를 받은 환자 2례에서 경동맥파열을 경험하였다. 제 1례는 51세의 남자로서 후두암($T_4$NoMx)으로 후두전적출술과 6120 rad의 수술후 방사선 치료 후 좌측 악하 부위에 악성 종양의 경동맥 침윤으로 시험적 수술후 6일만에 경동맥 파열로 사망하였다. 제 2례는 51세의 남자로서 하인두암($T_3$$N_2$Mx)으로 7200 rad의 수술전 방사선치료후 악성 종양의 재발로 후두전적출술과 일측의 근치적 경부곽청술후 누공을 형성하여 수술후 14일만에 경동맥 파열로 사망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