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후두의 이물

검색결과 32건 처리시간 0.023초

후두이물 (Laryngeal Foreign Bodies)

  • 이광선;박영원;백만기;김종선
    • 대한기관식도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관식도과학회 1982년도 제16차 학술대회연제순서 및 초록
    • /
    • pp.10.2-10
    • /
    • 1982
  • 후두이물은 기도일식도이물의 전체예에서 차지하는 수는 적으나 일단 걸리면 질식사 할 수 있으므로 곧 적절한 기구를 사용하여 제거할 수 없으면 기관절개술을 요하는 응급질환이다. 저자들은 3예의 후두이물의 보고와 함께 이 질환의 진단, 예방 및 처치에 대하여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 PDF

갑상선을 침범한 후두의 이물 (A Case of Foreign Body in Larynx Involving Thyroid)

  • 한주현;최규성;안평안;박기철
    • 대한후두음성언어의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138-140
    • /
    • 2017
  • Pharyngeal and laryngeal foreign bodies are common problem at ENT clinic. Removal of a foreign body is mostly simple with the manipulation of endoscope and various instruments. Rarely, migration of swallowed sharp foreign body makes complication. We describe a 74-year-old patient diagnosed with foreign body in larynx involving thyroid. In this case, we present this disease and the treatment course which has been successfully treated by surgical removal and conservative treatment. Furthermore, we discuss its symptoms, physical examinations through literature review.

  • PDF

기도 이물 (Foreign body in the air way)

  • 김선우;홍래복
    • 대한기관식도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관식도과학회 1976년도 제10차 학술대회연제 순서 및 초록
    • /
    • pp.89.2-89
    • /
    • 1976
  • 기도 이물은 유아나 소아에서 특히 많으며 성문으로 들어갈 수 있는 크기라면 우리 주위에 있는 어떤 물체라도 이물이 될 수 있으며 따라서 기도 이들의 종류도 다종 다양하다. 그리고 특수하게 생긴 이물의 개재부위가 다양해지는 것을 감안할 때 우리는 판자 치료에 있어서 획일적이고 동일하게 처리될 수 없음은 알 수 있다. 저자는 최근에 유아 및 소아에서 후두의 이물로 생선뼈 1례, 기관지 부분에서 걸린 피리 1례 및 기관 이물로 철사 1례를 경험하였기에 문헌적 고찰과 아울러 보고하는 바이다.

  • PDF

소아에서 후두 마스크를 이용한 기관지이물 제거 경험 1예 보고 (A Case of Bronchial Foreign Body Removal During Trans-Laryngeal Mask Airway Fiberoptic Bronchoscopy)

  • 서지원;김종렬;박규호;강준구;최진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4권6호
    • /
    • pp.1433-1439
    • /
    • 1997
  • 소아에서 기관지내 이물은 드물지 않게 접하는 질환이 나 본 예의 환자의 경우와 같이 소아에서 후두 마스크를 사용하여 기관절개술(tracheostomy)을 회피하고 기관지 이물을 제거한 경험예는 현재까지 아직 발표된 바 없고, 아직까지도 마취과의사를 제외한 다른 진료분야의 의사들에게는 후두 마스크가 널리 알려져 있지 않기에 저자들은 후두 마스크를 사용하여 굴곡성 기관지경으로 기관지 이물을 성공적으로 제거한 1례를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 PDF

과거 4년 5개월간 본교실에서 취급한 식도 및 기도이물의 통계적 고찰 (A Statistical Study of the Foreign Bodies in the Food and Air Passages for past 4 years and 5 months)

  • 전지일;김성일;조현상;김정원;최태규;김진구;최병익;임현준;김영학
    • 대한기관식도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관식도과학회 1976년도 제10차 학술대회연제 순서 및 초록
    • /
    • pp.87.4-88
    • /
    • 1976
  • 본 의료원 개원이래 1971년 11월부터 1976년 3월말까지 만 4년 5개월간 경희대학교 부속병원 이비인후과에 내원한 식도이물환자 73례, 기도이물환자 8례, 총 81례에 대한 통계적 고찰을 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은바 기왕의 보고와 비교관찰 하면서 문헌적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식도이물의 빈도는 총례 73례중 주화(61례 : 83.6%) 골편 (6례 : 8.2%) 식괴(3례 ; 4.1%) 디스크 나른 금속들의 순이었고, 기도이물 총 8례중 석괴(3례 ; 37.5%) 금속편(2례 ; 25%), 플라스틱제 연필뚜껑, 나무조각, 플라스틱제반지의 순서였다. 2) 성별비는 남자가 51례(62.9%) 여자가 30례(37.1%)이며 남녀비는 약 1.7:1로 남자에 많았다. 3) 연령별로는 5세이하가 총 81례중 69례(85.2%)였으며 특히 주화는 5세이하가 61례중 59례(96.7%)였으며 최고 연령은 8세 최저연령은 11개월이었다. 기도 이물은 8례 중 7례(87.5%)가 10세이하의 어린이었다. 4) 식도이물과 기도이물의 비는 식도이물 73례, 기도 이물 8례로 약 9:1로 식도이물이 많았으며, 부위별로는 식도이물에서 66례(90.4%)가 제1협착부에, 5례(6.9%)가 제2협착부에, 그리고 2례(2.7%)가 제3협착부에 있었다. 기도이물에서는 5례(62.5%)가 기관에, 2례가 후두에 그리고 1례는 기관지에 있었다. 5) 잔류기간에 있어서 식도이물은 24시간이내가 63례(86.3%)였으며 1례는 16일동안 잔류하였다. 기도 이물은 24시간이내가 4례(50%)였으며 1례는 18일동안 잔류하였다. 6) 치료에 있어서 식도이물에서 37례(50.7%)는 후두경을 이용한 상부식도경술로, 33례(45.2%)는 국소마취하에 식도경술로, 3례(4.1%)는 전신마취하에 식도경술로 적출하였다. 주화의 경우 총 61례중 8례(13.1%)는 검사도중에 위속으로 내려갔다. 기도이물에서 후두이물 2례는 국소마취하에 후두경으로, 기관이물 5례중 2례(40%)는 국소마취하에 기관절개술과 함께 기관지경술로, 3례(60%)는 전신마취하에 기관지경술로 적출하였으며 기관지이물 1례는 흉부외과에서 전신마취하에 개흉술로 적출하였다.

  • PDF

애성이 동반된 위식도 역류 질환 환자의 치료 후 음성 변화

  • 김영모;조정일;최원석;하현령
    • 대한음성언어의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음성언어의학회 1998년도 제10회 학술대회 심포지움
    • /
    • pp.187-187
    • /
    • 1998
  • 위식도 역류 질환의 전형적인 증상에 반하여 인후두에서 나타나는 애성, 만성 기침, 헛기침, 인후두 이물감등의 비전형적인 증상에 대해 최근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특히 애성이 주된 증상으로 나타나는 경우 일부에서 후두 후방에 점막의 비후 소견이나 육아종을 보이기도 하지만 많은 경우 후두내 기질적 병변을 찾기 어려울 때가 많으므로 의식도 역류 질환과 연관된 애성으로 진단하기 위해서는 자세한 병력 파악 및 이학적 검진, 그리고 위식도 역류 진단을 위한 검사 둥이 요구된다. 저자들은 인후두 이물감을 주소로 내원하여 위식도 역류 검사상 위식도 역류 질환으로 판명되었던 환자 중 애성이 동반된 환자 20례에 대하여 치료전 음성 검사를 시행하였으며 일반적인 치료 후 8주째 추적 검사를 시행하여 그 결과를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고자 한다. (중략)

  • PDF

식도 및 기도이물의 통계적 고찰 (A statistical study of the foreign bodies in the food and air passages)

  • 박근목;우영태;김은우;박해수
    • 대한기관식도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관식도과학회 1977년도 제11차 학술대회연제 순서 및 초록
    • /
    • pp.9.2-9
    • /
    • 1977
  • 1971년 1월부터 1976년 12월까지 만 6년간 본원 이비인후과를 찾은 식도 및 기도이물 환자 64례의 임상적 통계적 고찰을 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식도 및 기도의 이물 환자는 64례로서 총 외래 신환자 수의 약 0.69%를 차지하며, 식도이물이 55례 기도이물이 9례로서 그 비는 약 6.1 : 1이었다. 2. 성별 빈도는 전 이물 환자 64례중 남자 33례, 여자 31례 (식도 : 28례, 27례, 기도 : 5례, 4례)로 큰 차이는 없으나 남자에게 조금 많았다. 3. 연령적 빈도는 5세 이하에서 전이물 64례중 35례(45.7%)로 가량 많았으며, 식도이물은 55례중 27례(49.1%), 기도이물은 9례중 8례(88.9%), 특히 주화에 있어서는 26례중 25례(96.2%)가 5세 이하였다. 4. 종류별 빈도는 식도이물에서는 주화가 26례(47.3%)로 제일 많았고 다음은 골류 13례(23.6%), 육류 8례(14.5%)의 순이었으며, 기도이물에서는 두류가 5례(55.6%)로 제일 많았다. 5. 개재부위별 빈도는 식도이물은 제 1협착부에서 38례(69.1%)로 제일 많았고, 기도이물은 기관지 4례, 후두 4례로서 많았다. 6. 체류기간은 식도이물 환자중에는 1일 이내에 내원한 환자가 38례(69.1%)였고, 3일 이내가 50례(80.9%)로 거의 대부분이었다. 기도이물은 1일 이내가 5례(53.6%)이었다. 최장기간은 후두이물로 90일 경과된 례가 있었다.

  • PDF

접촉성 육아종으로 오인된 후두 이물 육아종 1예 (A Case of Foreign Body Laryngeal Granuloma Mimicking Contact Granuloma)

  • 김혜수;김선우;이진;이상혁
    • 대한후두음성언어의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27-30
    • /
    • 2020
  • Among lesions in the larynx, laryngeal contact granuloma due to persistent tissue irritation can typically be attributed to endotracheal intubation, vocal abuse, or gastro-esophageal reflux disease. Treatment typically includes voice therapy, lifestyle changes and use of anti-reflux medication. Microsurgical removal is only indicated in cases of severe dyspnea due to mass size. Foreign body granuloma is a response of to any foreign material in the tissue. Foreign body granulomas are sometimes misdiagnosed as soft tissue tumors when the causative foreign body is not initially found. Delayed treatment of these foreign bodies may cause complications. We present a case of larynx granuloma due to impacted foreign body, probably fish bone, in the larynx that mimicked contact granuloma. We initially used anti-reflux medication, but to no avail. The laryngeal mass, observed through laryngoscopy, showed no improvement and therefore necessitated a proper pathologic diagnosis. We were able to successfully treat it via trans-oral laser CO2 microsurgery before any complications developed.

우리나라 이비인후과 외래환자의 인.후두 역류증상 발병빈도 조사(One Week Survey 결과) (Prevalence of Laryngo-pharyngeal Reflux(LPR) Related Symptoms at the Out Patient Department in Korea : One Week Survey)

  • 최홍식;김형태;서장수;왕수건;조재식;최건;홍기환;김석일;이원철
    • 대한후두음성언어의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87-97
    • /
    • 2000
  • 1999년 4월 일주일간 전국 101개 병의원의 이비인후과 외래를 방문한 신환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고 이비인후과 전문의의 진찰을 통하여 인.후두 위산역류중(LPR)의 발병빈도와 그와 관련된 사항들을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이비인후과 신환 전체 진단 병명의 24%, 이비인후과 신환 환자 중 25%에서 LPR 관련 증상 또는 진찰소견이 확인되었다. 2) LPR 관련 진단명으로는 인두이물감증후군(Glo-bus syndrome)이 27%로 가장 많았으며, 역류성후두염, 만성후두염 등의 순이었다. 3) 여성에서 남성보다 많았으며, 40, 50, 60대에 흔하여 노인성 변화와의 관련이 의심되었다. 4) 비만도와는 큰 상관관계가 없었음. 5) LPR의 3대 주증상은 인두이물감, 만성적 목청소, 원인모를 쉰 목소리였음. 6) LPR을 악화시키는 요인으로는 피곤함, 정신적 스트레스, 술, 담배, 자극성있는 음식, 커피 등이었음. 7) 목소리를 직업적으로 쓰는 사람에서 LPR 증상의 발현이 높았음. 8) 과거 병력상 위질환과 잦은 편도염이 많았음.

  • PDF

인후두 이물감의 정신과적 접근 (Globus Pharyngeus : The Psychiatric Perspective)

  • 주영훈
    • 대한후두음성언어의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84-86
    • /
    • 2016
  • Globus pharyngeus or globus sensation is the painless sensation of a lump in the throat and may be described as a foreign body sensation, a tightening or choking feeling. It is often associated with persistent clearing of the throat, chronic cough, hoarseness, and catarrh. Its etiology remains unclear ; however, laryngopharyngeal reflux may play a role in a subset of patients. Psychogenic problems have often been thought to cause or trigger the globus sensation. Personality studies have found higher levels of alexithymia, neuroticism, and psychological distress (including anxiety, low mood, and somatic concerns) and lower levels of extraversion in patients presenting with globus. Globus patients with laryngopharyngeal reflux exhibited weaker psychological symptoms than non- laryngopharyngeal reflux globus patients, and globus patients who did not respond to proton pump inhibitor had significantly higher anxiety scores. In cases with negative clinical investigations and consistent globus symptom, other treatment strategies, including speech therapy, antidepressants, and cognitive-behavioral therapy, should be considere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