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후두외상

Search Result 39,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Glottic and subglottic airway obtruction

  • 김영모
    • Proceedings of the KOR-BRONCHOESO Conference
    • /
    • 2003.09a
    • /
    • pp.113-113
    • /
    • 2003
  • 성문과 성문하부의 기도 폐쇄는 위치 정도 원인 기간 등은 환자에 따라 다르고 그 치료방법 역시 다양하다. 주 원인으로는 기관내 삽관, 각종 외상 및 화상 등 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질환의 치료 목적은, 기관내 튜브나 기관 캐뉼러 를 통하지 않고 비강을 통하여 자연스럽게 호흡할 수 있도록 기도를 유지 하면서 발성이 가능하고 기고 흡인 없이 연하가 가능하도록 하며 기침 반사가 원활하게 되도록 하는데 있다. 치료목적의 달성을 위하여 협착의 경우, 단계 즉 초기 단계 또는 성숙단계 여부, 위치, 정도, 범위 환자의 연령 전신상태 등을 술전에 잘 평가하고 수술도중의 소견과 술자의 경험이나 기호에 따라 적절한 치료법을 선택하여 치료해야 한다. 후두 외상에 의한 기도 문제는 다른 외상에 비해 흔하지 않은데 이는 연골의 유연성과 후두의 가동성 그리고 후두가 하악과 흉골사이에 위치하여 외상시 보호받게 되는 해부학적 특성에 기인한다. 여러 요인으로 인하여 진단이 늦어질 수도 있는데 이러한 경우 심각한 증상이 초래 되거나 치료가 의 시기가 지나 후두 또는 기관 협착, 발성장애등의 후유증이 유발 될 수 있다.

  • PDF

The Clinical Usefulness of Laryngeal Electromyography(LEMG) for Differential Diagnosis of Traumatic Unilateral Vocal Cord Palsy -A Case Report- (후두외상으로 발생한 일측 성대 마비의 감별진단으로서 후두근전도검사의 유용성 -증례보고-)

  • 최홍식;김한수;김정홍;장정현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Laryngology, Phoniatrics and Logopedics
    • /
    • v.13 no.2
    • /
    • pp.188-192
    • /
    • 2002
  • Unilateral vocal cord palsy which is associated with laryngeal trauma is not uncommon event. In a 42-year-old male, a cricoid cartilage fracure had been developed after blunt trauma. The endoscopic findings showed contusion and diffuse swelling around the left arytenoid and false cord. During phonation, the mobility of left side true vocal cord was decreased. There were no level difference and displacement of the left side arytenoid. We used the laryngeal electromyography (LEMG) to make a differential diagnosis between the cricoarytenoid joint dislocation and the injury of recurrent laryngeal nerve. At the right thyroarytenoid muscle and cricothyroid muscle, the findings of LEMG were normal. But the amplitude and frequency during phonation were decreased (partial denervation) at the left thyroarytenoid muscle. LEMG is a very useful method to predict the diagnosis of vocal cord palsy.

  • PDF

A Case of Thyroid Cartilage Fracture with Vocal Cord Paralysis (갑상연골 골절로 인한 성대마비의 치험례)

  • 조진규;차창일;안회영;조중생;홍남표
    • Proceedings of the KOR-BRONCHOESO Conference
    • /
    • 1983.05a
    • /
    • pp.14.2-14
    • /
    • 1983
  • Complications and sequelae of the laryngeal trauma are respiratory difficulties, edema or swelling, cellulitis or abscess, fistula, perichondrium and chondritis, chronic laryngeal stenosis, vocal cord paralysis, decannulation difficulty, and impaired voice production etc. Generally, the treatment of laryngeal injuries consists of initial tracheostomy for adequate airway and later surgical intervention for its complications and sequelae. Recently, authors experienced a case of closed laryngeal injury with thyroid cartilage fracture, left vocal cord paralysis, swallowing difficulty and right clavicular fracture owing to automobile accident. With reconstructive surgery for thyroid cartilage fracture, we established an adequate airway, improved swallowing function and better voice production.

  • PDF

급성 후두기관손상 환자의 수술적 치료

  • Tae, Kyung;Jung, Yeon-Ki;Jung, Jin-Seok;Cho, Seok-Hyun; Lee, Seung-Hwan;Lee, Hyung-Seok
    • Proceedings of the KOR-BRONCHOESO Conference
    • /
    • 2003.09a
    • /
    • pp.110-110
    • /
    • 2003
  • 후두기관외상은 두경부 부위의 다른 외상에 비해 흔하지 않은데, 이는 연골의 유연성과 후두의 가동성, 후두가 하악과 흉골사이에 위치하여 외상시 보호 받게 되는 해부학적 특성에 기인한다. 그러나, 후두는 호흡과 발성에 중요한 기관으로 조기 진단과 정확한 평가, 적절한 치료를 못할 경우 생명을 위협 할 수 있고 삶의 질에 지대한 영향을 줄 수 있다. 이에 저자들은 급성 후두기관손상으로 수술적 치료를 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손상 기전 및 임상 양상, 손상부위, 손상 정도 치료 등을 알아보고 향후 치료에 도움을 얻고자 하였다. 1996년부터 2003년까지 급성 후두기관 손상으로 수술적 치료를 받은 10명을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조사를 하였다. 손상정도는 Schaefer의 분류를 따랐으며 술후 결과는 발성과 기도유지로 평가하였다. 발성의 경우 수상전과 동일하거나 유사할 경우 성공(good)으로, 수상전과는 다르지만 기능을 하는 경우는 양호(fair)로, 거의 음성이 나지 않거나 알아들을 수 없는 경우 불량(poor)로 분류하였고, 기도유지는 수상전과 동일하거나 유사할 경우 성공(good)으로, 경한 흡인이나 운동 유발성 호흡곤란이 있는 경우(fair)로 발관이 되지 않는 경우를 불량(poor)으로 분류하였다. 남녀 성비는 8대 2였고 30~40대가 4명으로 가장 많았다. 손상의 원인은 둔상인 경우(4예) 교통사고가 2례, cloth line 손상 2례, 관통상(6례)는 모두 칼에 의한 좌상이었다 증상은 피하기종이 9례, 애성이 7례, 호흡 곤란이 6례로 많았으며 손상부위는 갑상연골 골절이 5례(50%), 기도손상과 갑상선 손상이 각각 4례에서 관찰되었다. 그 외에도 윤상 연골 골절과 윤상갑상막 손상 등이 관찰되었다. 또한 점막 손상이 7례에서 관찰되었다. 성대마비는 내원시 4례에서 관찰되었다 치료는 수상 후 조기수술을 시행하였고 수상 부위를 개방하여 손상된 연조직을 일차 봉합하거나, 골절을 정복 고정하였고 3례에서 스텐트를 삽입하였다. 술후 기도유지는 모두 성공적이었고 발성기능은 6례에서 성공(good)적이었고 4례에서 양호(fair)의 결과를 보였다. 양호의 결과를 보인 모든 예가 내원시 성대 움직임의 마비나 저하를 보인 예였다. 급성 후두기관손상환자에서 조기 진단과 적절한 수술적 치료는 환자의 생명을 유지시키고 술후 발성 지능의 보존에 양호한 결과를 보였다.

  • PDF

THE TREATMENT OF ANTERIOR GLOTTIC WEB (전 성대격막의 치료)

  • 김광현;김홍종;장근호;김진영
    • Proceedings of the KOR-BRONCHOESO Conference
    • /
    • 1991.06a
    • /
    • pp.31-31
    • /
    • 1991
  • 후두격막은 1822년 Fleichman이 호흡곤란과 발성장애를 야기한 례를 최초로 보고하였으며 선천성으로나 후천성으로 발생할 수 있다. 선천성후두격막은 태생 10주경의 후두발생장애로 발생한다고 알려져 있으며 성문부위에서 가장 많이 발견되며 후천성후두격막은 감염, 외상, 수술 및 방사선조사 후 발생한다. 저자들은 최근 1례의 선천성후두격막과 4례의 후천성후두격막환자를 치험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 PDF

Laryngeal trauma with thyroid cartilage and hyoid bone frachture (갑상연골과 설골 골절을 동반한 후두외상 1례)

  • Kang, Sun-Mook;Choe, Hwan;Jung, Kwang-Yoon;Baek, Seung-Kuk
    • Korean Journal of Bronchoesophagology
    • /
    • v.13 no.1
    • /
    • pp.51-54
    • /
    • 2007
  • Laryngeal trauma is an uncommon injury but can be life-threatening event. So, early diagnosis is important for appropriate surgical management and better outcome. Because there have been some controversies about Initial airway management, appropriate diagnostic evaluation, operative indication and timing, operative technique, it is difficult to make a common management pathway in laryngeal trauma. A case of laryngeal trauma with thyroid cartilage and hyoid bone fracture is presented with a brief review of literature.

  • PDF

Etiology of the Laryngotracheal Stenosis (후두 및 기관협착증의 원인)

  • 조재식
    • Korean Journal of Bronchoesophagology
    • /
    • v.1 no.1
    • /
    • pp.13-23
    • /
    • 1995
  • 후두 및 기관협착증은 선천적으로 발생하기도 하지만 대부분이 후천적으로 발생한다. 후천적인 원인으로는 외부로부터의 외상에 의하기도 하지만 대개가 기관내 삽관 후유증으로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기관내 삽관에 의한 기도 점막의 손상은 대부분 가역적이기는 하지만 영구적으로 협착을 초래하는 경우, 그 치료에 있어서 많은 노력이 필요할 뿐만 아니라 치료 자체가 매우 까다롭고 실패 할 수도 있다. 따라서 후두 및 기관협착증의 원인을 정확히 이해하고 예방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이러한 관점에서 후두 및 기관협착증의 선천적, 후천적 원인들에 대해서 검토하여 보았다. 특히 기도 내 삽관에 따른 협착증이 가장 많은 빈도를 차지하는 만큼, 이의 병태생리와 발생에 관여하는 여러 인자들에 대해서 중점적으로 문헌 고찰하였다.

  • PDF

A Case of Traumatic Laryngeal Stenosis (외상성 후두 협착 치험례)

  • 강연섭;정재봉;변우현;조윤태;박해수
    • Proceedings of the KOR-BRONCHOESO Conference
    • /
    • 1981.05a
    • /
    • pp.9.2-9
    • /
    • 1981
  • Now we are encountering with a growing number of severe head and neck injuries owing to automobile accidents, violence, and industrial injuries etc. In these circumstances, emergency tracheostomy and neurosurgical treatment are frequently necessary. When cervical trauma was ignored at initial stage, significant complications and sequelae may follow. So it deserves attention that meticulous and thoughtful treatments should be given to the cervical injuries as well as head injuries. We have recently experienced a case of laryngeal stenosis resulted from head and neck trauma. The patient was a 20-year-old male who underwent craniectomy and tracheostomy at another hospital about one and a half years prior to admission. With multistaged operations, we were able to re-establish an adequate natural air way.

  • PDF

Radiofrequency Pitch Raising Surgery of Low Vocal Pitch Female that Results from Laryngeal Trauma (후두외상 후 발생한 저음발성 여자환자에서의 라디오전파를 이용한 음도상승 유도 치료 1예)

  • Kim, Min-Ho;Song, Ki-Jae;Choi, Hong-Shik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Laryngology, Phoniatrics and Logopedics
    • /
    • v.17 no.1
    • /
    • pp.56-59
    • /
    • 2006
  • The factors involved in controlling the vocal pitch are the tension, the mass, the length of the vocal cords and the subglottic pressure. Vocal pitch can be elevated surgically by increasing the stiffness or reducing the vibrating mass of the vocal cords. Recently, we experienced a case of 25 year-old female whose vocal pitch was elevated with radiofrequency surgery of right vocal cord on suspension laryngoscopy. Elevation of vocal pitch(134.11 to 144.73) was noted two months after operation. So we report this case with review of literature.

  • PDF

Management of Anterior Glottic web with Laser Vaporization and Silastic Keel Insertion (성대전연부 격막의 레이저치료 및 endolaryngeal silastic keel 삽입술의 효과)

  • 최종욱;정도광;김용환;오재훈;허경회
    • Proceedings of the KSLP Conference
    • /
    • 1993.12a
    • /
    • pp.21-21
    • /
    • 1993
  • 발성장애와 호흡곤란을 주소로 하는 성대 전연부 격막은 후두병변의 부적절한 치료, 만성염증 또는 외상 등의 후천적인 원인으로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성문중 가장 협소한 부위인 전연부에 발생한 격막에 대하여는 여러 가지 다양한 치료방법이 보고되고 있지만, 재협착의 가능성이 높고, 치료후 반흔 조직에 의하여 음성의 질을 높이는데 한계점이 있다. (중략)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