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후두암

Search Result 191, Processing Time 0.037 seconds

CLINICO-STATISTICAL STUDY OF PATIENTS WITH HOARSENESS (사성환자의 임상통계적 관찰)

  • 문영일;박연아;김영주;조은아
    • Proceedings of the KOR-BRONCHOESO Conference
    • /
    • 1987.05a
    • /
    • pp.15.2-16
    • /
    • 1987
  • 사성이란 후두의 발생기능에 장애가 있을 때 생기는 후두질환의 가장 대표적인 주증상으로 인간 문화의 발달에 병행되어서 대화에 의한 전달수단이 중요시되고 또한 암에 대한 인식이 높아져 사성을 호소하는 환자들이 많아지는 경향이 있다. 이에 저자는 1980년 1월부터 1984년 12월까지 이화여자대학교 의과대학 부속병원 이비인후과 외래에 내원한 신외래환자 총 24,949명 중 사성을 주소로 한 800명의 환자에 대하여 병력지를 기준하여 각 질환을 통계적으로 분석 검토하여 다음과 같은 성적을 얻었다. 1) 이비인후과 외래환자 총 24,949명중 사성환자는 800명으로 약 3.2%이었다. 2) 외래사성환자 800명중 남자 336명, 여자 464명으로 남녀비는 약 1 : 1.4이었다. 3) 질환별로는 급성 후두염 248예(31.0%), 만성 후두염 186예(23.3%), 성대결절 160예(20.0%), 성대폴립 90예(11.3%), 성대마비 56예(7.0%), 후두 유두종 12예(1.5%), 후두암 9예(1.1%)이었다. 4) 연령별로는 30대가 213예(26.6%), 20대가 190예(23.8%), 40대가 179예(22.4%)의 순이었다. 5) 각 질환별 최다연령은 급성 후두염 30대 73예(29.4%), 만성 후두염 30대 53예(28.5%), 성대결절 30대 52예(32.5%), 성대폴립 40대 26예(28.9%), 성대마비 40대 14예(25.0%), 후두암 50대 6예(66.7%)이었다. 6) 발병부터 초진까지의 기간은 10일 이내가 153예(19.1%)로 제일 많았고 1개월∼3개월 138예(17.3%), 11일∼l개월 119예(14.9%)의 순이었다. 7) 각 질환에 따른 발병부터 초진까지의 기간의 최다분포는 급성 후두염은 10일 이내가 117예(47.2%), 만성 후두염은 3개월∼6개월이 44예(23.7%), 성대결절은 3개월∼6개월이 40예(25.0%), 성대폴립은 6개월∼1년이 20예(22.2%), 성대마비는 10일이내가 12예(21.4%)이었다. 8) 질환별 동반증상 분포는 사성만을 호소한 경우가 394예(41.4%)로 가장 많았고 동반증상으로는 인두통, 이물감, 객담, 기침, 연하장애, 호흡곤란의 순이었다. 9) 저자의 연도별 사성환자의 평균발생빈도(3.2%)를 문(1981)의 1975년 1월부터 1979년 12월(만 5년간)까지의 평균발생빈도(2.9%)와 비교할 때 증가하였다.

  • PDF

노출평가를 위한 TLV 근거 - 황산(SULFURIC ACID)(1)

  • Kim, Chi-Nyeon
    • 월간산업보건
    • /
    • s.354
    • /
    • pp.16-21
    • /
    • 2017
  • 황산(sulfuric acid)에 대한 직업적 노출기준은 흉곽성 입자로 측정하여 TLV-TWA $0.2mg/m^3$으로 권고하였다. 이 기준은 기존의 호흡기 질환이 있는 개인의 폐 기능 감소 가능성을 최소화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이 노출기준은 황상 에어로졸에 노출된 후 동물과 사람 모두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입증된 점액 섬모 간극의 변화를 최소화하는 수준이다. 강한 무기산 미스트에 함유된 형태로 작업장에서 황산에 노출되면 후두암과 관련이 있어 A2의 발암성 추정물질로 설정하였다. 납 축전지 공장 연구에 따르면 황산 에어로졸의 입자 크기는 일반적으로 $10{\mu}m$미만이었다. 따라서 흉곽성 입자 측정의 기준은 황산 에어로졸 노출로 후두암과 기도 관련 영향(즉, 기관지 정화작용 및 폐 기능 변화)에 대해 보홀할 수 있다. "피부(Skin)"와 감작제(SEN)" 경고주석을 지정하거나 TLV-STEL을 권고하기 위한 유용한 자료는 없다.

  • PDF

High Flow Nasal Cannula Assisted Tracheostomy for Securing Airways in Patients with Acute Respiratory Distress Induced by Glottic Cancer (급성 호흡곤란이 발생한 성문암 환자에서 기도 확보를 위한 고유량 비강 캐뉼라 보조 기관절개술)

  • Hong, Seung Woo;Lee, Dong Ku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Laryngology, Phoniatrics and Logopedics
    • /
    • v.31 no.1
    • /
    • pp.31-34
    • /
    • 2020
  • Tracheostomy is considered as a first treatment, when oral intubation seems to be difficult in patient who present severe upper airway obstruction. Generally, tracheostomy is performed in supine position. But if airway obstruction is severe enough to cause dyspnea, low oxygen saturation and inability to maintain supine position, tracheostomy should be performed in sitting position. The authors report a case of successful tracheostomy using high flow nasal cannula which help to maintain stable oxygen saturation and respiration in patients with laryngeal cancer.

Clinical Significance of the Expression of Oncosuppressor Gene Protein and Epidermal Growth Factor Receptor in Squamous Cell Carcinomas of Larynx (후두 편평세포암에서 암억제유전자 단백 및 상피성장인자 수용체 발현의 임상적 의의)

  • 정광윤;최종욱
    • Proceedings of the KOR-BRONCHOESO Conference
    • /
    • 1993.05a
    • /
    • pp.85-85
    • /
    • 1993
  • The clinical staging system for laryngeal cancers is not sufficient for prognosticator due to different biologic characteristics and their microenvironment according to primary sites. For determining the prognosticators, the authors peformed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to EGFR, p53 protein, and pRB in 40 cases of surgically treated squamous cell carcinomas of larynx in our institute during the past 5 years. The results are as followings; 1. The positive expression rate of p53 protein and negative expression rate of pRB showed correlations with clinical parameters. 2. The three-year survival rate for p53 protein positive cases was worse than the p53 protein negative cases. 3. Expression rate of EGFR was not correlated with the clinical parameters. As a conclusion, expression rates of p53 protein and pRB not only reflect well the biologic behavior of laryngeal cancer, but correlate closely with the tumor factors. Therefore they may be useful as the prognosticator to predict the malignant potency of laryngeal squamous cell carcinomas.

  • PDF

Staining patterns of squamous cell carcinomas of the larynx by monoclonal anti-cytokeratin antibodies (Monoclonal anticytokeratin antibodies 에 의한 후두편평세포암의 발현양상)

  • 도남용;전세영;이성재;최봉남
    • Proceedings of the KOR-BRONCHOESO Conference
    • /
    • 1993.05a
    • /
    • pp.88-88
    • /
    • 1993
  •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for keratin proteins may be useful as a diagnostic parameter in head and neck neoplasm. Our study evaluates the keratin antibody staining properties of normal tissues and squamous cell carcinoma of the vocal folds from surgical procedures performed on 27 cases. In normal epithelia, low molecular weight cytokeratins were strongly positive in basal layer but apparently reduced in suprabasal layers and completely negative in superficial layer. In invasive squamous cell carcinomas, low molecular weight anti-ck Ab were positive in all carcinoma cells of poorly differentiated carcinomas. On the other hand, high molecular weight anti-ck Ab were positive in almost carcinoma cells of well differentiated carcinoma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