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후두개

검색결과 127건 처리시간 0.024초

다양한 특징 파라미터와 선형변별분석을 이용한 후두암의 선별검사

  • 이원범;왕수건;권순복;전경명;전계록;김수미;김형순;양병곤;조철우
    • 대한음성언어의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음성언어의학회 2003년도 제19회 학술대회
    • /
    • pp.149-149
    • /
    • 2003
  • 후두질환 감별용 음성 분석방법인 multi-dimensional voice program (MDVP)으로 분석이 불가능할 정도로 주기성이 크게 훼손된 후두암 말기의 음성 에 대하여 효과적인 감별을 하기 위하여, 몇 가지 켑스트럼(cepstrum) 파라미터를 비롯하여, 주기성 및 그 동요 정도, 영교차율(zero-crossing rate, ZCR), 스텍트럼 중심 (spectral centroid, SC) 등 다양한 특징 파라미터를 이용한 감별 실험을 수행하였다. 후두암 감별 실험을 위해 부산대학교 병원 이비인후과에서 수집한 정상 남자 음성 데이터 50개, 양성 후두질환 남자 음성 데이터 50개 및 남성 후두암 환자 음성 데이터 105개를 사용하였다. 음성 데이터는 단모음 /아/ 발성만을 사용하였고, 정상인과 양성후두질환 환자, 그리고 MDVP 분석이 가능한 후두암 환자 음성 데이터 중 2/3는 학습에, 나머지 113은 감별실험에 사용하였다. 후두암 감별을 위한 분류기로는 Gaussian Mixture Model(GMM) 분류기를 사용하였으며, 이때 모델의 복잡도를 표현하는 mixture 수는 1에서 10까지 가변시키면서 가장 좋은 성능을 나타내는 값으로 결정하였다. 또한 모든 실험에서 켑스트럼 분석의 차수는 동일하게 12차로 고정시켰다. (중략)

  • PDF

후두개 유표피낭종 1례 (A Case of Epiglottic Epidermoid Cyst)

  • 이종원;김성남;김성곤;권영춘;양한모
    • 대한기관식도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관식도과학회 1977년도 제11차 학술대회연제 순서 및 초록
    • /
    • pp.7.3-8
    • /
    • 1977
  • 이비인후과 영역에서 유표피낭종이 구강내에서 흔히 발생하지는 않으나 만약 존재한다면 보통 하악과 설골사이에 위치한다. 더구나 후두개에 발생한 유표피낭종은 드물게 보는 것으로서 최근 저자들은 후두개의 후두면에 발생한 유표피낭종 1례를 경험하고 경설골 인두절개술을 이용하여 종물에 접근하여 조대술을 시행한 후 성공적으로 치료된 1례를 보고하는 바이다. 환자는 46세된 남자로서 입원 이년전부터 간헐적인 인두통, 8개월부터 사성 및 1개월여의 호흡곤란을 주소로 내원하였다. 간접 후두경 검사로 후두개의 우측 후두면에 둥글고 표면이 매끄러우며 탄력성이 있고 그 크기가 구난 크기인 종물을 발견 할 수 있었다. 생검조직검사 결과 상피세포성 폴립으로 판명되어 입원하고 경설골 인두절개술을 이용하여 낭종의 조대술을 실시하였다. 술후 조직검사 결과 유표피낭종으로 판명되었고 경과가 양호하여 아무런 후유증 또는 합병증이 없이 퇴원하였기에 보고한다.

  • PDF

생체 발성모형에서 발성시 공기양의 변화가 음성 지표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ir Flow Change on Voice Parameters: In Vivo Canine Laryngeal Model)

  • 최홍식
    • 대한음성언어의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음성언어의학회 1993년도 제1회 학술대회 연제순서 및 초록집
    • /
    • pp.9-9
    • /
    • 1993
  • 후두 형태에 이상이 없는 잡종개 2마리를 정맥 마취한 상태에서 생체 발성 모형을 만들었다. 경부 피부를 수직절개하고 후두 및 기관을 노출시킨 후, 기관에 상, 하 두 개의 기관절개를 가하고 두개의 삽관튜브를 삽입하였다. 아래 튜브로는 호흡을 유지하게 하였고, 위의 튜브로는 공기를 후두 방향으로 보내면서, 상후두신경의 외지와 반회신경 및 반회신경의 최종 분지인 갑상피열 분지에 전극을 각각 부착하여 일정한 정도의 전기자극을 가함으로써 소리가 유발되도록 하였다.(중략)

  • PDF

협착음과 수유시 청색증 및 성장 장애를 보인선천성 후두개 낭종(vallecular cyst) 1예 (A case of congenital vallecular cyst associated with gastroesophageal reflux presenting with stridor, feeding cyanosis, and failure to thrive)

  • 양미애;강민재;홍지나;신승한;김상덕;김이경;김한석;최중환;권택균;김인원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1권7호
    • /
    • pp.775-779
    • /
    • 2008
  • 후두개 낭종은 신생아 및 영아에서 협착음을 일으킬 수 있는 드문 질환이지만, 이 질환에 이환된 환아는 갑작스런 기도 협착을 일으켜 사망할 수도 있다. 따라서, 협착음을 보이는 환아에서 후두개 낭종을 감별해 냄으로써 갑작스런 기도 협착으로 인한 사망을 방지할 수 있다. 후두개 낭종은 협착음, 쉰목소리, 흉골 함몰, 무호흡, 수유시 청색증 및 성장 장애를 일으킬 수 있는 질환으로 이 질환이 의심되면 굴곡성 후두경으로 진단해야 한다. 이 질환의 치료는 $CO_2$ 레이저를 이용한 후두미세수술이며, 적절한 치료를 통해 재발을 방지할 수 있다. 저자들은 협착음, 쉰목소리, 흉골 함몰, 수유시 청색증 및 성장 장애를 주소로 전원된 1개월 남아에서 굴곡성 후두경을 통해 후두개 낭종을 진단하였고, $CO_2$ 레이저를 통한 후두미세수술 후 증상이 호전된 증례 1예를 경험하였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피열근에서 상후두신경에 의한 운동신경 지배

  • 김영모;조정일;한창준
    • 대한기관식도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관식도과학회 1997년도 대한이비인후과학회 종합학술대회 초록집
    • /
    • pp.118-118
    • /
    • 1997
  • 갑상피열근이나 피열근에 대하여 상후두신경과 반회후두신경의 이중지배(dual supply)는 오랜동안 논란이 되어왔다. 특히 피열근에 분포하는 신경은 반회후두신경의 피열분지에 의해 지배되며 또한 상후두 신경의 내지의 일부인 ramus preforantes에 의해서도 이중지배를 받는다고 알려져왔다. 그러나 한편 이러한 피열근의 운동신경지배 중 상후두신경의 역할에 대해서 적지않은 보고가 후두의 신경해부학적인 고찰 및 전기적 자극을 통한 연구에서 단지 피열근 근처에서 twig을 형성할 뿐, 직접적인 운동지배 현상은 보이지않음을 입증하여 피열근은 오직 반회후두신경에 의해서만 실질적으로 운동지배된다고 주장하였다. 저자는 양측 반회후두신경을 절단한 개 모델에서 피열근에 대하여 HRP 역행성 착색법 후 뇌간에서 살펴본 결과 후두의 운동신경원인의 핵에서 양성으로 표현되는 것을 관찰하였다. 또한 상후두신경의 내지에 대하여 운동신경섬유의 표식자로 여겨질 수 있는 Cholineacetyl transferase(CHAT) 면역염색을 시행한 결과 피열근의 운동신경에 상후두신경이 괸여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고양이에서 상후두신경자극에 의한 후두뇌간유발반응에 대한 실험적 연구 (EXPERIMENTAL STUDY OF LARYNGEAL BRAIN STEM EVOKED RESPONSE IN CAT)

  • 김광문;김기령;윤주헌;김창규;박용재
    • 대한기관식도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관식도과학회 1991년도 제25차 학술대회 연제순서 및 초록
    • /
    • pp.14-14
    • /
    • 1991
  • 후두의 생리적 기능은 하기도를 보호하는 방어기능과 호흡기능 그리고 발성기능으로 대별할 수 있는데 이 가운데 계통발생적으로 가장 원시적이지만 중요한 기능은 하기도 방어기능으로 이는 다른 기능과 달리 전적으로 불수의적이고 반사적으로 이루어진다. 이 기능은 후두내 점막에 존재하는 촉각 수용체(tactile receptor)가 자극되면서 후두근육이 수축 반사를 일으켜 성문이 닫히는 성문폐쇄반사(glottic closure reflex)로서 다접합뇌간반사(polysynaptic brain stem response)이다. 현재까지 후두의 신경장애에서 그 부위나 정도 또는 신경재생 상태 등을 검사하는 방법으로 근전도검사가 주로 쓰여져 왔으나 그것이 주는 정보가 극히 제한되어 있다. 그러나 최근 청각뇌간유발반응과 같이 후두뇌간유발반응 이라 명명된 wave가 존재한다는 사실이 밝혀져 이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어 이것이 임상에 쓰여질 수 있다면 현재 성문폐쇄반사의 소실이나 이상이 원인으로 사료되는 idiopathic laryngospasm, gastroesophageal reflux, spastic dysphonia, stuttering, sudden infant death syndrome과 같은 질환의 진단과 치료에 커다란 진전이 있을 것이다. 이에 저자들은 고양이 6마리를 이용하여 상후두신경을 전기적으로 자극하여 유발되는 반응을 far field recording을 이용 평균 가산법으로 그 wave를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상후두신경자극(2㎃, stimuli frequency 3/s, Band filter 320-1000, 0.2 ㎳ duration)에 의한 반회신경에의 유발 반응을 기록하였고 그 잠복시간은 평균 8.2 ㎳ 였다. 2. 상후두신경을 자극하여 후두뇌간유발반응을 기록하였고 후두뇌간유발반응은 4개의 양 wave와 4개의 음 wave로 구성되었다. 3. 각 wave의 평균 잠복시간은 P1은 0.8㎳, P2는 2.3㎳, P3는 3.6㎳, P4는 4.3㎳였고 N1은 1.5㎳, N2 은 2.7㎳, N3는 3.9㎳, N4는 5.5㎳ 였다.

  • PDF

성인의 급성 후두개염

  • 김중강;김희준;박기철;송달원;김덕준
    • 대한기관식도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관식도과학회 1997년도 대한이비인후과학회 종합학술대회 초록집
    • /
    • pp.115-115
    • /
    • 1997
  • 성인에 있어서 급성 후두개염의 발생빈도는 점차 증가하고 있다는 보고들이 있다. 일명 성문상부염(supraglottitis)이라고도 불린다. 이는 비단 후두개뿐만 아니라, 성문상부 구조물의 광범위한 염증을 흔히 동반하기 때문이다. 항생제의 발달로 과거와 같은 심각한 호흡곤란및 급성 상기도 증상을 일으켜, 기관지 절개술 등을 필요로 하는 경우는 많이 줄었다 하더라도 여전히 급성상기도 폐쇄를 일으킬 수 있는 응급질환 중의 하나이다. 저자들은 최근 18년동안 본교실에서 급성 후두개염으로 진단받고 치료받은 성인환자 103례중 77례를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임상적 특징, 검사소견, 치료성적 등을 비교, 분석하였다. 문헌고찰과 아울러 보고하고저 한다.

  • PDF

개 후두 점막에서 분비세포의 분포와 점액 당단백질의 조성

  • 유우정;박영학;김민식;조승호
    • 대한기관식도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관식도과학회 1996년도 대한이비인후과학회 종합학술대회 초록집
    • /
    • pp.87-87
    • /
    • 1996
  • 상기도 점막의 분비세포와 이로부터 분비되는 점액은 각 부위에 따라 형태학적, 기능적 특성이 다르다. 특히 후두의 성대부위는 발성시 고속의 마찰진동이 있게 되어 성대상피를 보호하기 위한 윤활제 역할의 점액이 필요하다. 점탄성과 밀접한 연관이 있는 점액당단백질 분비세포의 조성비율과 밀도를 알기 위해서 개 10마리의 후두, 기관, 상악동, 비강점막을 채취하여 periodic acid-Schiff, alcian blue 1.0, alcian blue 2.5, high iron diamine-alcin blue염색을 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후두점막에서 선포의 밀도는 성문부의 후두실 상부에서 가장 높았다. 2. 후두점막에서 점액세포의 조성은 성문상부에서 가장 높았고, 장액세포의 조성은 성문부에서 가장 높았다. 3. 황화점액의 조성비는 성문부가 성문상부, 성문하부보다 유의하게 높았고, 후두의 세 부위와 기관에서 상악동과 비강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4. 타액점액의 조성비는 성문부에서 성문하부보다 유의하게 낮았으며, 성문부는 성문상부에 비해서도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으나 낮은 경향을 보였다. 5. 상기도의 각 부위에서 당단백질의 조성비는 모든 부위에서 중성점액이 가장 높았고 산성점액중 성문부에서는 황화점액이 타액점액보다 유의하게 높았으며 성문하부, 상악동, 비강에서는 타액점액이 황화점액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이상의 결과에서 성문부에서 나타나는 높은 장액세포의 비율과 점액당단백질 조성의 특징이 성문부 점액의 성대운동에 대한 윤활작용에 적합한 생리적 역할을 담당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 PDF

노령 환자에서 발견된 후두개 이형성증 1예 (A Case of Dysplastic Epiglottis in Elderly Patient)

  • 임성환;김승우
    • 대한두경부종양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71-73
    • /
    • 2017
  • Dysplastic epiglottis is extremely rare congenital malformation, which usually occurs in association with other laryngeal anomalies. Hypoplasia is the most common type in epiglottic malfomations. Other abnormalities include rudimentary, aplasia and bifid etc. Mostly, they are found in infancy and early childhood, and diagnosis at adulthood is extremely rare. A 69-year-old man with chronic cough and globus sense visited our clinic. Laryngoscopic findings revealed a unique form of epiglottis. He had no history of laryngeal trauma, tumors, head and neck surgery, and radiation. There was no another anomaly in the laryngo-pharynx. Because of a mass-like lesion at the apex of epiglottis, we performed the laryngeal microsurgery. The pathology revealed as granulation tissue. We report a rare and unique case of dysplastic epiglottis in elderly patient with a brief literature review.

후두개 후두면에 발생한 망상형 신경섬유종 1예 (A Case of Plexiform Neurofibroma Arising from Laryngeal Surface of Epiglottis)

  • 김소연;김태환;이상혁;진성민
    • 대한후두음성언어의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37-140
    • /
    • 2015
  • Neurofibroma is characterized as a benign, slow growing neoplasm, originating from Schwann cells or fibroblast in peripheral nerve sheaths. It may appear as a solitary tumor or have multiple localizations in von Recklinghausen disease. They are commonly found in the gastrointestinal tract and laryngeal neurofibromas are extremely rare, accounting for only 0.03 to 0.1% of benign tumors of the larynx. The aryepiglottic fold and arytenoid are the common site of occurrence for laryngeal neurofibroma, because the branch of the superior laryngeal nerve is involved. We present a case of solitary plexiform neurofibroma arising from the laryngeal surface of epiglottis in a 55-year old female who found the lesion incidentally. We removed the tumor completely by transoral laser surgery and no recurrence was found after 7 months. The case of solitary neurofibroma arising from laryngeal surface of epiglottis has not been reported in Korea. We report this case regarding the diagnosis and treatment with review of literatures.

  • PDF